■ 경주이씨/선세자료

경주이씨 실전세계

야촌(1) 2011. 5. 12. 23:51

■ 慶州李氏失傳世系(경주이씨 실전세계)의 자구(字句) 수정

 

→ 표시 부분

 

1世 始祖謁平(시조 알평)

儒理王恩烈王封侯(유리왕은열왕봉후)→ 太宗武烈王(태종무열왕)

攝津都尉使(섭진도위사)→ 攝律都尉(섭률도위)

 

5世 奭(석)

大司冠(대사관)→ 大司寇(대사구) 

 

7世 昉(방)

攝徒尉令(섭도위령)→ 攝律都尉(섭률도위). 令(령)→ 領(령) 

*攝律都尉領尙書事(섭률도위령상서사)- 領의 뜻은 거느리다. 받다의 뜻.

섭률도위 관직에서 상서사 관직을 받다. 거느렸다.

 

9世 綏(수)

千生頭(천생두)→ 千牛頭(천우두).

 

11世 美(미)

政事忠直(정사충직)→ 政事堂(정사당). *政事堂(정사당)- 신라 각료 회의기구

雲梯先生(운제 선생)→ 雪梯先生(설제 선생).

 

15世 傑(걸)

復令參預通政事(복령참예통정사)→ 參預通政事(참예통정사)

*復令(복령)- 관직명이 아니고 재직하였던 관직을 다시 맡을 때

 

16世 宣璋(선장)

太常寺博士郞(태상사박사랑)→ 太常寺博士侍郞(태상시박시시랑)

中恭政事堂(중공정사당)→ 忠恭政事堂(충공정사당)- 政事堂(정사당. 회의기구).

弟百結先生(제 백결 선생)- 백결 선생을 휘 선장의 동생으로 기록하나 백결선생(411년~?)은 신라 때 거문고의 명수로 재상 박제상의 아들이며 이름은 ‘부도지’에 의하면 박문량(朴文良)이다. 삭제되어야 한다.

 

17世 基瞻(기첨)

侍大農承令(시대농승령)→寺大農承令(시대농승령)-대농시에서 농령(農令)관직을 이어받다

*寺(사)- 관직일 때는‘시’로 읽는다.

 

18世 仁興(인흥)

攝津都尉(섭진도위)→ 攝律都尉(섭률도위). 平林使(평림사)→ 平林侯(평림후)

 

22世 泰暉(태휘)

課議大夫(과의대부)→ 諫議大夫(간의대부)

 

23世 友榮(우영)

太衛(태위)→ 大衛(대위)

 

24世 駿(준)

字尙氏(자 상씨)→ 字尙民(자 상민).  配承昌夫人(배 승창부인)→ 配永昌夫人(배 영창부인)

 

25世 紹(소)

大傳光祿大夫(대전광록대부)→ 太傅光祿大夫(태부광록대부) *大傳(대전)이 아니고 太傅(태부)

 

27世 頊(욱)

翰林侍中(한림시중)→ 翰林侍郞(한림시랑). 信忠功臣(신충공신)→ 忠信功臣(충신공신).

 

31世 祹(도)

號第溪先生(호제계선생)→號茅溪先生(호모계선생). 諡號文爾(시호문미)→諡號文肅(시호문숙).

 

32世 嗣彦(사언)

左課議大夫(좌과의대부)→ 左諫議大夫(좌간의대부).

復領樂預政事(복령낙예정사)→ 叅預政事(참예정사).

 

34世 禧斗(희두)

中靑尙書事(중청상서사)→ 中書尙史(중서상사)

 

35世 誡(계)

휘 誠(성)→ 誡(계). 中書課議大夫(중서과의대부)→ 中書諫議大夫(중서 간의대부).

侍中領(시중령)의 ‘領’은 관직명이 아니고 ‘받다.’라는 뜻으로 시중 관직을 받다. 라는 뜻.

 

* 벼슬명도 2-3개로 구분되어야 하는데 1개의 관직명으로 올려 잘 모르는 종친님들은 길게 된 관직명을 하나의 관직명으로 알고 그렇게 읽는 줄로만 알 것 같습니다.

-------------------------------------------------------------------------------------------------------------------------------------

 

※이이록(이우)11.05.13. 21:39

 

어디까지나 '28대로 된 실전 세계'와 '35대로된 실전 세계'는 참고용이지 사실적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올라있는 관직명이 거의 90% 이상이 고려시대와 중국관직명입니다.

 

실전 세계의 전 시기가 신라 통일 이전과 통일이후 그리고 신라 말 멸망시기 얼마 전까지를 망라한 시기인데 이 시기에 조상님들의 관직이 신라시대 관직이어야 하는데 기록된 관직은 신라 시대 관직이 몇 개뿐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중앙화수회에서도 이는 사실적이 아니나 참고용으로 대종보에 싣는다고 하였습니다.

 

출처 : 명문 경주 이씨 종친회 카페 글쓴이 : 이이록(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