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경주이씨 명인록

이상정(李相定) - 독립운동가

야촌(1) 2011. 3. 13. 12:45

■ 39世 이상정(李相定)

 

   [세 계] 익재공 후 소경공파

   [생몰년] 1897년(광무 1). 6. 10~1947년. 10. 27]

   [세계도] 경주이씨 익재공후→21世 소경공→28世 논복공(論福公)→32世 무실(茂實)공의 7대손임.

   [배우자] 권기옥(權基玉)>한국독립운동가 및 한국최초의 여자비행사.

 

   [동생]

   ◇민족시인 이상화(李相和·尙火)·

   ◇한국최초의 IOC위원 이상백(李相佰)·

   ◇우리나라 최초의 수렵인 이상오(李相旿)가 있다.

 

 

이상정

 

독립운동가로. 본관은 경주(慶州). 별명은 연호(然浩)· 직(直). 호는 청남(晴南)· 산은(汕隱). 대구부 본정 2정목 12번지, 지금의 주소로는 대구광역시 중구 서문로 2가 12번지에서 아버지 우남(又南) 이시우(李時雨)와 모친 김신자(金愼子-김해김씨)의 4형제 중 장남(長男)으로 출생했다.

조부 금남 이동진(錦南 李東珍,1836~1905)은 구한말 무일푼에서, 시작하여 서문시장의 시전(일종의 돈놀이)과 낙동강 무역을 통해 삼천석의 거부가 된 인물이었고, 민족시인 상화(相和)· 학자인 상백(相佰)· 문필가인 상오(相旿)의 형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큰아버지 소남 이일우(小南 李一雨 : 손자 李相武도 안중근을 도와 독립운동) 밑에서 교육을 받았다.

큰아버지가 경영하던 그 당시 신학문과 민족정기의 요람이었던 강의원(講義院)에서 공부한 뒤 1912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의 성성중학교(成城中學校: 육군유년학교)를 마치었다.

 

또한 미술학교·상업학교를 거쳐 고쿠가쿠인대학(國學院大學)에서 역사학을 전공하였다.

졸업 후 1919년 귀국하여 약 3년간 행동적 사도(師道)로서 오산(五山)·경신(儆新)·계성(啓聖)·신명(信明) 등의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민족정신을 고취시켰다.

 

당시 그는 조국에서의 독립운동에 한계를 느껴, 1923년 만주로 망명, 북만주에서 약 2년간 민족교육을 통한 항일독립운동을 한 뒤 유동열(柳東說)·최동오(崔東旿) 등과 함께 중국 펑위샹(馮玉祥) 장군의 서북국민부대의 장성참모로서, 그 뒤 장개석(蔣介石)군대와의 통합으로 국민정규군 소장참모로서 항일전선에 참전하였다.

 

그 뒤 상해와 난징(南京)을 중심으로 쑤저우(蘇州)·항저우(杭州)·우창(武昌)·북경까지 독립의 일념으로 중국의 군벌·학자들과 만나면서, 또 김구(金九)·김규식(金奎植) 등의 독립지사들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윤봉길(尹奉吉)에게 폭약을 구해주는 등 독립운동에 전념하였으며, 1932년 흥사단(興士團)에 가입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장개석 국민정부의 초청으로 충칭육군참모학교(重慶陸軍參謀學校)의 교관을 지내고, 1938년 김구·김규식 등과 더불어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의원 및 외교위원으로 활동하는 한편, 유동열 등과 신한민주혁명당(新韓民主革命黨)을 조직하여 중앙위원 겸 군사부장에 취임하였다.

 

1941년 중국 육군유격대훈련학교의 교수를 거쳐 1942년 화중군사령부(華中軍司令部)의 고급막료로 난징전(南京戰)·한커우전(漢口戰)에 참전하였다. 그 뒤 이른바 태평양전쟁의 종결과 동시에 육군중장으로 승진되어 일본국 북지나방면 최고사령관 및 그 장병들의 무장해제를 담당하였고, 연합군 동경진주의 중국군사령부의 막료로 임명되었으나, 소망인 일본군 타도가 실현되었으므로 모든 지위를 사퇴하였다.

 

충칭에서 광복된 조국의 앞날을 신익희(申翼熙) 등과 토론, 상해로부터 급히 와서 도와달라는 교민들의 요청으로 그곳에 가서 중국인들의 한국인 박해로부터 교민보호에 진력하던 중 1947년 10월 어머니의 사망소식에 귀국하였다.

귀국 후 40여일 만에 뇌일혈로 죽었다. 유고로 《산은유고 (汕隱遺稿 》《표박기(飄泊記)》가 있고, 시(詩)· 서(書)· 화(畵)에 능하였으며, 전각(篆刻)에 뛰어났다. 1977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飄泊記 殉國先烈全書(趙靈嚴, 先烈全書刊行會, 1965)

韓國獨立史(金承學, 獨立文化社, 1965)

晴南李相定將軍考(申東根, 承南李重熙敎授回甲學術論文選集, 1979)

 

 

 

↑이상정 선생이 10여년 동안 쓴 글을 엮은 ‘표박기(飄泊記)’

 

↑이상정 장군이 망명시절 지녔던 가방.

 

중국군 복장의 이상정

 

↑이상정 선생 고택(李相定古宅)/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 2가 90번지

    草阿(초아)의 삶과 문화산책

-------------------------------------------------------------------------------------------------------------------------------------

2017년 4월의 독립운동가 _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의 숨은 공로자 이상정

2917. 04..06

 

독립기념관, 2017년 4월의 독립운동가 선정 및 전시회 개최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의 숨은 공로자 이상정(李相定, 1896.6.10~1947.10.27) -

 

독립기념관(관장 윤주경)은 국가보훈처와 공동으로 독립운동가 이상정을 2017년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고 공훈을 기리는 전시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한다.

 

개 요】
기간 : 2017. 4. 1. ~ 4. 30.(한 달간)
장소 : 독립기념관 야외 특별기획전시장(제5?6관 통로)
내용 : 이상정 관련 사진 12점

 

이상정은 1896년 대구에서 4형제 중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그의 형제들은 모두 한국 근대사에 족적을 남긴 인물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지은 시인 이상화(1901~1966)가 둘째이며, 셋째 이상백(1904~1966)은 역사학자이자 사회학자, 넷째 이상오(1905~1969)는 수렵가이자 저술가이다.

 

그는 1910년대 초 일본에 유학하여 역사학과 미술, 상업, 군사학 등을 배웠다. 특히 예비군사교육기관의 성격을 가진 성성중학교(成城中學校)에서 수학한 경험은 훗날 중국군에 복무할 수 있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1917년 경 국내로 돌아와서는 대구 계성학교의 미술 교사로 재직했고, 1920년대 초에는 평안북도 정주의 오산학교와 평양의 광성고보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1925년에는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망명하였고, 그 이듬해에는 한국 최초의 여성비행사로 알려진 독립운동가 권기옥과 결혼하였다.

 

이들은 광복이 될 때까지 내몽고와 베이징, 상하이, 난징, 충칭 등 중국 대륙을 다니며 부부이자 동료로서 독립운동을 함께하였다.

 

 

↑이상정의 어머니와 형제들

 

중국으로 망명한 이후 이상정은 중국군과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여 항일전선의 선두에서 활동하였다.

1926년 중국 국민당 펑위샹(馮玉祥) 군 참모부에서 근무하였고, 중일전쟁 이후에는 중국 국민정부 육군참모학교의 소장교관으로 취임하여 한중연대에 주력하였다.

 

 

↑중국 군벌의 비행기를 접수하기 위해 동행한 이상정부부

 

 

1937년 조선민족전선연맹의 결성을 주도하여 한국독립운동 진영의 민족통일전선운동에 적극 나섰으며, 1942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외무부 외교연구위원에 선임되고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이상정의 임시의정원 의원 당선증서

 

그는 임시정부의 개조와 통합을 주장하여 변화를 모색하였고, 중국군이 한국광복군의 활동을 제약하려 할 때는 자주적 관점에서 강력하게 이를 비난하였다. 광복 직후에는 상하이로 가서 한인의 권익 보호에 힘썼다.

 

1947년 7월 모친상으로 9월에 귀국하였으며, 10월에 뇌일혈로 별세하였다.

유고집으로 『표박기(飄泊記)』가 있어 그의 예술가적 면모를 엿보게 한다.

1977년에 독립장에 추서되었다.

 

□ 이상정 공적 내용
 - 1917년 대구 계성학교 교사.
 - 1926년 중국 국민당 펑위샹(馮玉祥) 군 참모부 활동.
 - 1937년 조선민족전선연맹 결성 주도.
 - 1938년 중국 국민정부 육군참모학교 교관.
 - 1942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경상도 의원.
 - 1945년 신한민주당 창당 참여, 흥사단 입단.

'■ 경주이씨 > 경주이씨 명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백(李相佰)  (0) 2011.03.13
이상화(李相和) - 민족시인  (0) 2011.03.13
이시득(李時得)  (0) 2011.03.08
이상언(李尙彦) - 재정공파  (0) 2011.03.06
이시발(李時發)/28世  (0) 2011.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