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익재이제현선생

익재공 화상 자료 모음

야촌(1) 2011. 3. 10. 11:44

조선왕조실록

 

세조 44권, 13년(1467 정해 / 명 성화(成化) 3년) 10월 24일(병진) 5번째기사 

 

최영. 이제현과 같은 옛신하들의 진영을 구해 오게 하다.

 

 

세종대왕이 명하여 최영(崔瑩)· 이제현(李齊賢)과 같은 옛날 신하들의 진영(眞影)을 구하여 오게 하였다.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8책 136면

[분류]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예술-미술(美術)

 

▲익재난고 유상(益齋亂稿 遺像)


右先祖遺像。卽詩集中所謂 我昔留形影。靑靑兩鬢春。是也。三山有宗人胤。傳奉是本。歲久破壞。幾不堪傳。迺倩工摹寫。謹奉藏焉。以圖垂之永遠。且摹刻小像于本集卷首。使後裔之覽是集者。人得以瞻仰敬慕云。時辛丑九月日。
   
삼산(三山 : 충북 報恩의 옛 지명)의 종인(宗人) 윤(胤 : 청호공 후손)이 이 초상 본을 대대로 모시고 있었는데 세월이 오래되자, 이리저리 파손되어 거의 전할 수 없었으므로 화공을 불러 다시 모사하여 삼가 봉안(奉安)해서 영구히 전하게 하고, 다시 소상(小像)을 그려 문집 첫머리에 붙여서 후손들에게 이 문집을 볼 때마다 우러러보고 사모하게 하였다.


신축(辛丑) 9월 일
신축년은 1601년(선조 34)이며 벽오공(碧梧公) 께서 경주에서 익재집을 간행시 지(誌)를 남기셨다.

--------------------------------------------------------------------------------------------------------------------------------------

●學生 휘  오(墺) 墓表.윤(胤)의 손자로 청호공 후손이다.

 

    宋子大全卷一百九十四 / 우암송시열 저 

 

■ 學生李君墓表

   (휘는 오(墺)이고, 윤(胤)의 손자로 청호공 후손이다).

 

仲厚之亡。倏忽八年于玆矣。其子覃慶等。來求表壙之文於余。嗚呼。微余孰知仲厚之賢哉。仲厚是非晢於中而處之若愚。利害交於前而視之如瞽。不與人往還。無以世歆羨。事親以誠而不顯著。慈子異常而勤策勵。一言蔽之則悃愊無華。嘗從余講書。旣受室抱子而來有請。余誦古訓曰。敎婦初來。敎子嬰孩。仲厚於座三復而深味焉。其後諸子以孝聞而旌閭者三人。其心服古訓之效乎。仲厚之世。始於羅祖功臣謁平。至麗氏。有益齋先生齊賢。益齋有傳神一簇相 傳四百年而藏貯篋笥。仲厚別立一間屋奉安焉。過者入而瞻拜之。同宗或摸勒以去。其傳遂廣。夫四百年間。益齋所不知者幾何人。而仲厚先擧其所未遑。斯可謂事出名上者歟。考復益。祖胤。曾祖貞宗。外祖漢陽趙龜祥。娶司果李光立女。國姓也。生男覃慶,昌慶,元慶,鳴慶,有慶。卽旌閭者也。四女適朴履寅,金  ,金以成,郭棨。一女幼。仲厚有一姊。事之如母。哭其亡致哀。因以病終不起。得年五十八。葬在報恩之九屛山下負酉之原。嗚呼。其頹然處順之容。今不可復見矣。

 

崇禎旃蒙赤奮若仲春日。恩津 宋時烈 述。

(숭정 을축(1685년,숙종 11) 음력 2월에 은진 송시열 지음)

 

●위의 자료 우암 송시열 선생께서 찬술한 묘표를 살펴보면 익재공 영정이 4백여년 간 대바구니 상자에 모셔졌다

    가 중후『휘 오()』께서 1칸 별업을 지어 익재공 영정을 봉안했으며, 지나가는 사람들이 들어와 참배를 했으

    며, 동족 문중에서 모사를 하여 널리 전파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가승기록에는 눌헌공(휘 사균, 이조판서, 참찬)께서 익재공 영정을 봉안해 왔다는 기록이 있다

●청구야담에 익재공께서 현몽으로 백사공을 구했다는 기록이 나옵니다.

●백사공 어머니 전주최씨 부인은 눌헌공 외손녀가 됩니다.

●백사공 큰누님은 눌헌공 부인(장수황씨, 황희정승 현손녀)께서 한돌 지나서 데려다가 키웠다는 백사공께서 찬술

    한 묘지명기록이 있습니다 

●눌헌공께서 아들이 없어서 조카로 양자를 내세웠으며 보은 장산의 익재공 영정을 봉안한 후손들은 눌헌공 동생

    집안 입니다.

-------------------------------------------------------------------------------------------------------------------------------------

■ 익재공 영정 내력

     頭陀草冊二/담헌공 이하곤(화곡공 손자) 지음

 

    속리록(俗離錄) / 담헌공 이하곤  저

 

遠祖高麗文忠公益齋先生。文章道德。聞於天下。至今四百餘載。學士大夫誦之不衰。公從忠宣王在江南。王命杭州畫史陳鑑如寫公眞。湯北村炳龍爲之贊。其後失而復得。公作詩以識之。卽公集中所云此物非他物。前身定後身者也。今藏於十四世孫報恩士人李覃慶家。曾王考碧梧公摹一本。藏之於鷄林書院。且有和詩一章。覃慶尙今藏弆不失。王考華谷公持湖節時。又作祠奉安。四方之士過是邦者。亦必摩挲太息而去云。余自幼時。聞公像尙無恙。願得一過祠下瞻拜之。今年春作俗離之遊。歸路訪覃慶於長山里。焚香盥手。謁公之廟。則公廣顙隆準美鬚髯。骨格秀聳。一見可知其爲偉人傑士也。所着冠服類深衣幅巾。坐鏤花胡床。左右置一香爐一玄琴一部周易。精神奕奕。溢出楮墨之外。雖在千載之下。望之凜然有生氣。陳之筆法。亦可謂絶世也。噫。自公之沒。不知其幾經兵燹水火之禍。而畫猶完好若是。豈非公之精忠大節。足以感動天地。而得有鬼神者陰爲之呵護耶。仍与覃慶相對嗟歎。謹和元韵。以寓余平生愛慕之意云尒。

 

癸未孟夏。後孫夏坤再拜謹識。[계미년(1703년) 음력 4월에 후손 하곤 재배 근지]

 

즉 위의 글은 담헌공 이하곤(李夏坤) 께서 계미 1703년 초여름 음력 4월에 속리산 여행을 마치고 집에 돌아가는 길에 보은 장산에 들러 장산영당 익재공 영정을 참배한 후 내력을 적고 다음과 같이 시(詩) 한수를 읊으셨다.

瞻遺像肅。生氣尙千春。湯老詩堪誦。陳公筆有神。玄琴長与伴。古易不離身。先業何由繼。箕裘愧後人

 

그리고 충북 보은 장산영당(청호공파)에 익재공 영정을 봉안해 오던 내력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는데, 내용인적, 벽오공(휘 시발) 께서 영정 한 본을 모사하여 계림서원(경주 구강서원)에 봉안했으며, 화곡공께서 충청도 관찰사 시절에 장산영당 사우를 지어 영정을 봉안했다는 기록이다.

-------------------------------------------------------------------------------------------------------------------------------------

艮翁先生文集卷之二十一/간옹 이헌경 저

   

■ 龜岡書院 講堂記(구강서원 강당기)

 

我東近日出之域。於五德屬木。於四序屬春。是宜文明之運先於四方。而反後於中華何也。豈以地理有偏全。風氣有蚤暮。三光五嶽之精。散而不聚歟。以中華言之。則自五帝三王歷秦漢晉隋唐宋。文質幾統矣。理亂幾局矣。我東猶尙顓蒙其俗。咿嗢其語。檀君神焉而缺於文字。箕子聖焉而闕於傳紀。唐之晩。始得崔孤雲。元之季。始得益齋先生。靡二賢我東其終於天荒乎。然孤雲北學中原。頗尙笁敎。惟益齋先生以間世豪傑之才。得六經聖人之道。德行聞於華夷。功烈見於危亂。筆削之例。暗合於紫陽。闢異之旨。密傳於二程。當元朝議置征東省於我東也。演九經之義。投都堂之書。終使三韓之民。得免左袵之俗。其有功於東方。豈居夷吾下哉。且其文章。渾厚博大。淸遒雅健。固已振衰世之陋。追作者之古。而西聘川蜀。南游吳楚。極山川瓌壯之觀。又長一格而增倍價矣。是以先生之名。振於天下。中國學士莫之或先。姚遂,閻復,元明善,趙孟頫諸人。皆爲紵縞之交。北村湯先生亦元朝名學士也。贊先生畫像曰。爲人之宗。爲儒之通。於學則充。於道則隆。牧隱李先生撰行狀曰。正大高明之學。東人仰之若泰山北斗。又曰東方學文之士。袪其靡陋而稍爾雅。皆先生化之也。由玆以譚。道德事功文章。古之所謂三不朽者。先生實兼之。而倡起斯文。啓佑我聖朝儒化。使羣賢比盛於濂洛。偏邦匹美於趙宋。則孰知麗季之降先生。猶周末之現奎宿耶。先生生於松京。仕於松京。故松京之傍郡金川。建院以祀先生。我肅宗十五年己巳。嶠南章甫颺言于衆曰。我東以偏隅而名小中華者何故。咸曰父師敎條之化。而亦惟先生興起之功乎。惟我嶠南自羅麗以還。以騷墨立名字者雖亦千里出一士。百年推一儒。而六經之學。蔑之聞焉。今也丕變之俗。家絃戶誦。非程朱不師。非周孔不法。蔚然爲鄒魯之鄕者何故。咸曰圃隱冶隱之派。而亦惟先生䟽導之力乎。然則自偏隅而中華。自中華而鄒魯。不翅齊一變至魯。而顧我嶠南獨無報祀其賜者乎。况雞林實先生之貫而采也。柌烏可已也。咸曰諾。於是龜岡叶吉。院宇隆成。以越明年庚午九月。妥先生之祠板而祭之。先生之後孫明徵南走數百里。得先生遺像於湖西宗人覃慶家。摸寫以歸。揭虔祠中。四方來觀者大龢會相慶。于後百年。至今己酉。李斯文宇嵒甫自雞林來京師。請記其事於完山李獻慶。且請扁額之號。獻慶曰噫。先生東人之先師也。於贊揚先師乎何辭。而抑不佞老禿翁耳。髦言不足以華奈何。屢辭請益懇。卒叙其顚末爲記。名其廟曰文始。堂曰覿醉。東西齋曰時還曰是遵。門曰宗仰。顧名而思。庶幾得其義哉。宇嵒亦先生之後裔云。上之十三年己酉 嘉平節 嘉善大夫 行禮曹參判 完山李獻慶 慶謹記。 後孫 通政大夫 行吏曹參議 集斗 謹書。<끝> 

 

●위의 경주 구강서원 강당기 내용을 살펴보면 익재공 후손 휘 명징(明徵)께서 수백리 떨어진 호서(충북 보은) 종

    인 담경(覃慶 : 청호공 문중)에서 익재공 유상을 모사하고 돌아와 사우를 지어 모셨다는 기록이 보인다.

 

●두타초의 속리록에 벽오공(碧梧公)께서 영정 한 본을 모사하여 계림서원(구강서원)에 봉안했다는 기록과 일치

    한 내용 입니다.

-------------------------------------------------------------------------------------------------------------------------------------

頭陀草冊十二 / 담헌공 이하곤(1677 ~ 1724 ) 저 / 화곡공 손자

 

■ 益齋先生畫像記(익재 선생 화상기)

 

惟我先祖益齋文忠公。事高麗忠宣忠肅諸王。官至三重大匡門下侍中。年八十一而卒。自公之歿。至今四百餘年。公之聲名文章。學士大夫誦之不衰。元延祐間。公從忠宣王在燕都。王搆萬卷堂。招延一時文 學之士。如姚公端甫,閻公子靜,趙公子昂,元公複初,張公養浩。皆出入王門下。公相與周旋於翰墨尊俎之間。其文雅風流。亟爲諸公所穪賞。又嘗西至巴蜀。南抵吳會。覽其山川之奇秀。民物之殷富。城郭樓臺之瓌瑋巨麗。登臨俯仰。筆墨淋漓。奇辭傑句。膾炙人口。雖窮徼遐裔之人。莫不知東國有益齋先生。可謂盛矣。然此未足以盡公之平生。而爲公之奇節也。余嘗讀公遺集及牧隱李公所撰公墓誌。槩得公之本末。當忠宣之被讒西遷也。麗之群臣無一人爲其主抗言卞誣者。獨公沬血飮泣。奔走叫號於當時執政 貴近者。而其與元郞中書則論列歷朝事大之禮。上王翊戴之功。辭意尤剴切懇惻。故見者莫不憐公之忠感公之誠。竟白王無罪。得量移內地。及夫曺頔之亂。其黨之在元者。將欲甘心于忠惠。禍機不測。人心危惧。公又奮然不顧曰。吾知吾君之子而已。遂從王如元。一一辨析王受誣狀。卒獲無事。夫公値國危主辱之日。能以忠義感服豺狼之心。有大功於社稷者再。此豈全軀命保妻子之所可辦哉。由是觀之。雖古之寗兪貫高輩。何以過此。然而今之穪公者。徒以文章之美。游覽之富。名位之赫舃而已。至於公之忠義 功烈。可以炳日星而軒天地者。世又不穪何也。惜乎。勝國文献。殘缺散佚。獨有鄭麟趾高麗史一書。又極口訿毁。不少假借。至曰心術不端。處事不合理。雖其書踈謬舛駁。無可取信者。然世之學者以蹸趾去公近。不復爲疑。不深考公事實。又焉知其言之爲誣也。且好議人長短。不樂表章先輩行節。又孰肎爲公辨也。嗚呼。忠宣忠惠之際。讒人交亂。國主被執。王氏之祚不絶僅如一綫。當此之際。麗之爲麗。未可知矣。能視死如歸。脫其君於乕口。使五百年血食之祀。得以復續者。伊誰之力歟。假令公眞有如麟趾言者。不過 爲長河之一曲。白玉之微瑕。於公固無毫髮所損。而况其精忠大節奇偉卓犖者旣如彼。則又何心術行事之可論乎。此似出於當時不悅者之口。麟趾遂筆之信史。以斷公平生。徒見其妄也。當公之時。賢而有識者莫如牧隱。而其穪公之辭曰天資重厚。輔以學問。高明正大。故其發於議論。措諸事業者。燁然可觀也。又曰道德之首。文章之宗。功在社稷。澤流生民。其所以尊穪者。若是其至矣。而牧隱之不信。信其不悅公者。其無知識如此。若麟趾者。烏足以知公也。彼徒讀麟趾之書。而不知公者。又何怪乎。余尙論麗之人 物。前公而得姜公邯贊。後公而得鄭公夢周。夫姜公以功。鄭公以節義。而使公生乎二公者之世。則獨不足以奏龜州之捷。辦竹橋之死也哉。士各隨遭遇之不同。而所樹立亦有彼此之殊庸。衆人不察其所存。不考其所就。徒欲詆毁之。悲夫。公舊有畫像。藏于十四世孫報恩李覃慶家。卽古杭陳鑑如筆。湯北村炳龍爲之贊。公嘗失之復得。作詩以識之。公集中所謂此物非他物。前身定後身者是也。歲戊戌。余大父華谷公持湖節。始建廟奉安。覃慶又以十月上旬。歲一祭云。余嘗過覃慶家。得瞻拜庙下。則廣顙隆準。儀像 凜然。一見可知其爲間世之傑也。畫亦中間閱兵燹之禍者不知其幾何。猶完好可復百年。意者公之忠義之氣。固不腐朽磨㓕。而得有鬼神者爲之陰護耶。四方之士過是庙者。亦必摩挲太息而不忍去。况爲公後孫乎。其景仰愛慕之心。又何如哉。余與再從兄某。方謀倩工摹寫數本。以廣其傳。遂叙其所嘗慨然者。以爲公畫像記。

 

  崇禎紀元後六十三年丙戌正月日。十五世孫夏坤再拜書

(숭정기원후육십삼년병술년(1706년)1월15세손하곤 지음}

 

●익재공의 오래된 화상을 14세손 이담경(李獻慶)가에 소장하고, 있었으며 무술년(1658년)에 화곡공(휘 경억)께

    서 충청도 관찰사 시절에 보은 장산에 묘당을 건립하여 영정을 봉안했으며, 10월 상순에 제사를 모셨다고 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