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형적인 초가마을로, 당시 마을 주변에 버드나무들이 많았었다.
↑어머니와 아이들
↑손으로 하루 종일 모내기 하고나면 허리도 이웃집과 품아씨로 함께 모여 모내기 했었다.
↑당시엔 수리시설이 잘되어있지 않아 가물면 논가에 우물을 파고 물을 퍼 올렸다.
↑동네 아이들의 노는 모습...여름이면 매미잡고 구슬치기하고 놀았다(1968년 수원)
↑예날엔 벼를 지면에서 약 20mm 높이에서 낫으로 벤후 현지에서 건조시킨후 탈곡이 용이하게끔 께딴을
묶어 각자 집에서 탈곡을 하였었다. 탈곡후 집단은 집동이라 해서 잘 저장한 후 지붕도 이고 동절기 소 여
물(사료)로 사용했다.
↑보리와 콩은 도리깨로 타작을 하고, 타작 후엔 바람개비나 풍구로 알곡을 골라내었다.
↑식량 증산운동의 일환으로 마을 마다 풀베기 운동(퇴비용)을 했습니다.
↑새마을 모자를보니 생각이 납니다. 예전에 구로공단내 공장 새마을 연수원에서
공장새마을 지도자 교육도 받았습니다. 당시 수료증 아직도 보관하고 있어요.ㅎㅎ
4H 구락부기도 보이네요.
남녀노소 불문하고 산과 들에서 풀을 베어 지게에 지고 새마을기를 든 마을이장이나,
작업반장의 뒤를 따라 긴 행렬을 이루며 집합장소로 이동하던 그때...높은 분들이 지
나가면 잘 보이도록 도로 옆 가장자리에 산더미처럼 최대한 높게 쌓아 실적에 따라
마을별로 시상도 하였던 기억이 납니다.
↑내년에 심을 씨앗들 처마에 매달아 보관하였죠......
↑도리깨로 콩타작 하는 모습.
↑당시에는 농가 일들이 대게 수작업으로 하기 땜에 잔일이 참 많았다.
↑수확한 옥수수를 자연 건조하는 모습.
↑탈곡기로 가을 수확하는 모습
↑여름날 지하수로 이렇게 등목을 치면 참 시원했었다.
↑당시 농가에는 이렇게 다양한 모습의 장독대가 있었다.
↑예전의 농가 부엌 모습(경상도에서는 정지라 한다)
↑고부지간 맷돌에 메밀을 갈고 있는 모습(밀가루 제조)
↑짚신 장사가 시장에 내다팔, 집신 역는 모습.
↑당시 소가 없으면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시대! 농가엔 소가 재산목록 1호이다.
↑무거운 짐들도 소가 다 운반한다.
↑가을걷이에 새참을 나르고 있는 아낙네 모습. 배가 허리에 달라붙으면 힘을 쓸 수 없으니 새참을
나르는 아낙의 발걸음이 바쁘다. <끝>
'■ 기타 > 그때 그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 옛날 장날 풍경 (0) | 2011.04.06 |
---|---|
임화수의 사형집행과 야인시대 실존 인물들의 사진들 (0) | 2011.02.17 |
일제 강점기 때의 우리나라 주요 도시모습 (0) | 2011.01.14 |
1960년대의 추석 귀향풍경 (0) | 2010.09.25 |
장세동 전 안기부장 이야기 (0) | 2008.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