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조선시대 인물

신유한(申維翰)

야촌(1) 2010. 12. 12. 01:51

■ 신유한(申維翰)

 

   [문과] 숙종(肅宗) 39년(1713) 계사(癸巳)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35위/33세 입격  

   [진사시] 숙종(肅宗) 31년(1705) 을유(乙酉) 증광시(增廣試) 진사 2등(二等) 18위/25세 입격

--------------------------------------------------------------------------------------------------------------------------------------

 

1681년(숙종 7)∼1752년(영조 28). 조선 후기의 문신· 문장가. 본관은 영해(寧海). 자는 주백(周伯), 호는 청천(靑泉). 태시(泰始)의 아들로,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결혼 후 처가곳인 경북 고령군 개진면 양전리에서 살았다.

1705년(숙종 31) 진사시에 합격하고, 171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19년 제술관(製述官)으로서 통신사 홍치중(洪致中)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으며, 봉상시첨정(奉常寺僉正-從四品)에 이르렀다. 문장으로 이름이 났으며, 특히 시(詩)에 걸작품이 많고 사(詞)에도 능하였다. 최두기(崔杜機)와 친하였다. 저서로는 《해유록》·《청천집》·《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등이 있다.

-------------------------------------------------------------------------------------------------------------------------------------

 

●배>숙부인 고령김씨 종사랑 정중 여(淑夫人 高靈金 從仕郞 鼎重女) 從仕郞은 正九品의 문관에게 주던 품계(品階)이다. 

●묘소재지>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신곡2리 좌랑봉 상 손좌(巽座) 

 

●신유한 세계도

 

  15世  득청(得淸)

             판사공(判事公)

               ㅣ 

  16世   예(藝)─자형(自亨)─석(釋)

               ㅣ

  17世  영석(永錫)

               ㅣ

  18世   희(禧)

                ㅣ 

  19世  명령(命齡)

                ㅣ

  20世  종회(從澮)

                ㅣ

  21世  응용(應龍)

                 ㅣ

  22世   구연(龜年)

                 ㅣ

  23世   성오(省吾)

              죽계공(竹溪公) *진사(進士

                ㅣ

 24世   태시(泰始)─태래(泰來)

            밀와공             응재공

         (密窩公)        (凝齋公)

                ㅣ                  l

                ㅣ              유한(維翰)─유정(維楨)─(女)OO 25世

                ㅣ             出系   

                 l              張孝曾 妻

                 l

                 l

25世   유한(維翰)

           繼子>生父>태래(泰來)

             ㅣ

26世   몽기(夢騏)─몽준(夢駿)─(女)OO

           통덕랑            통덕랑            김세건 처

         (通德郞)       (通德郞)        (金世鍵 妻)

                                  出系 

-------------------------------------------------------------------------------------------------------------------------------------

靑泉 申維翰의 門人들과 그 문학적 성향

 

◇간행물명 : 한국학논집/김윤조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초록

   청천 신유한[靑泉 申維翰 : 1681(숙종 7)~1752(영조 28)]은 많은 제자를 길러내었다.

『청천집』의 부록에는 청천의「행장(行狀)」.「세가(世家)」.「유사(遺事)」.「언행실록(言行實錄)」.「묘지명(墓誌銘)」이 차례로 실려 있다.

 

「행장」은 두기 최성대(杜機 崔成大)의 손자인 최중순(崔重純)이.「세가(世家)」는 두기(杜機)가.「유사(遺事)」는 정창유(鄭昌兪)가.「언행실록(言行實錄)」은 정원시(鄭元始)가, 「묘지명」은 이미(李瀰)가 썼다. 이렇게 행장부터 묘지명까지, 더구나 「言行實錄」 같은 글이 갖추어 실리는 문집은 흔하지 않다.

 

마치 어떤 山林의 문집인 듯한데, 청천의 신분적 처지를 고려하면 의외다. 이것은 그의 교육자로서의 성공을 보여주는 일이다. 본고는 그 점에 초점을 맞추어, 신유한의 교육 방면의 활동과 그의 문인들을 검토하였다.

 

교육자로서 청천은 탁월한 바가 있었다. 그는 재능에 따라서 책을 정하여 가르쳤는데, 우선 교재를 그 자신이 직접 필사해서 가르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가장 적합한 제자를 선발해서 하나의 교재를 맡겨 교육하였다. 그 제자 가운데 여러 사람이 대소 과거에 급제하였다.

 

천의 제자들은 대략 30명 이상이 『청천집』에서 확인된다. 출신지에 따라 그들을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즉, 서울 경기와, 고령을 중심으로 한 영남 지역이다.

 

고령을 중심으로 한 대구 부근에서는 경주이씨, 현풍곽씨, 밀양손씨, 창녕조씨, 고령박씨, 남평문씨, 성산이씨 등, 유력한 문한가문들의 인사들이 망라되어 있다.

 

청천의 문하에 모인 제자들은 대구 인근의 유수한 집안 인재들이었던 바, 그들은 이후 지역 사회의 지도적 인사가 되었다.

 

청천 제자들의 문학적 성향은 문집을 남긴 이미[李瀰『함광헌고』]와 원경하[元景夏『창로집(蒼露集)』], 그리고 최천익[崔天翼『농수고(農叟稿)』], 박부곤[朴覆坤(『지촌유집』], 이사유[李思游『遯窩遺稿』]와 이회근[李晦根『수백당문집(守白堂 文集)』] 부자에게서 확인할 수 있다.

 

지역적으로 앞의 두 사람은 서울, 뒤의 네 사람은 영남 사람이고, 특히 이사유, 이회근 부자와 박이곤은 신유한과 동향인 고령 사람이다. 이들의 문학적 특징으로는 의고적 경향과 여성적 취향이라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 인물 > 조선시대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백겸(韓百謙)  (0) 2010.12.30
김상진(金相進)  (0) 2010.12.12
정기룡(鄭起龍) - 진양정씨  (0) 2010.12.08
옥산 이우선생 행력(玉山 李瑀 行歷)  (0) 2010.12.06
최립(崔笠)  (0) 2010.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