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문집.고서.문헌

송암 김면선생유고.

야촌(1) 2010. 5. 17. 20:31

■ 송암선생유고(松菴先生遺稿)

 

>형태서지

권수제 송암선생유고(松菴先生遺稿)
판심제 송암선생유고(松菴先生遺稿)
간종 활자본(木活字)
간행년 1885년경 간행
권책 3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3.0×17.0(cm)
어미 上三葉花紋魚尾
소장처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도서번호 811.97/김면/송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속 5

>저자

성명 김면(金沔)
생년 1541년(중종 36)
몰년 1593년(선조 26)
지해(志海)
송암(松菴)
본관 고령(高靈)
특기사항 조식(曺植), 이황(李滉)의 문인. 정구(鄭逑), 김우옹(金宇顒), 박성(朴惺) 등과 교유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중종 36 1541 신축 嘉靖 20 1 4월 2일, 高靈郡 良田洞에서 태어나다.
명종 5 1550 경술 嘉靖 29 10 洛川 裵紳에게 朴惺과 함께 수학하다.
명종 6 1551 신해 嘉靖 30 11 2월, 東岡 金宇顒과 공부하다. ○ 11월, 李滉을 찾아뵙다.
명종 9 1554 갑인 嘉靖 33 14 鄭逑와 龍龜寺에서 공부하다.
명종 12 1557 정사 嘉靖 36 17 5월, 全州李氏 李煌의 딸과 혼인하다. ○ 7월, 曺植을 찾아뵙다.
명종 13 1558 무오 嘉靖 37 18 3월, 崔永慶을 방문하다. ○ 4월, 김우옹, 정구, 박성 등과 寬洞亭에서 시를 창수하며 교유하다.
명종 15 1560 경신 嘉靖 39 20 10월, 이황에게 수학하다.
선조 1 1568 무진 隆慶 2 28 8월, 조식이 저자가 새로 지은 外齋의 명칭을 ‘松菴’이라 하고 직접 현판을 써 주어, 이를 號로 삼다.
선조 2 1569 기사 隆慶 3 29 5월, 부친이 임소인 咸鏡道 慶源에서 졸하다.
선조 3 1570 경오 隆慶 4 30 12월, 이황을 곡하다.
선조 5 1572 임신 隆慶 6 32 2월, 조식을 곡하다. ○ 8월, 孝廉으로 道薦되다.
선조 6 1573 계유 萬曆 1 33 8월, 효렴으로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
선조 7 1574 갑술 萬曆 2 34 7월,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
선조 10 1577 정축 萬曆 5 37 12월, 공조 좌랑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
선조 11 1578 무인 萬曆 6 38 아우 金滋의 아들 金毅立을 양자로 삼다.
선조 13 1580 경진 萬曆 8 40 1월, 모친상을 당하다.
선조 17 1584 갑신 萬曆 12 44 1월, 부인 이씨의 상을 당하다.
선조 22 1589 기축 萬曆 17 49 12월, 기축옥사에 연루되어 17일간 조사를 받고 풀려나다.
선조 24 1591 신묘 萬曆 19 51 2월, 隱逸로 공조 좌랑에 제수되어 사은하였으나, 모친의 봉양을 이유로 나아가지 않다.
선조 25 1592 임진 萬曆 20 52 4월, 왜적을 막기 위해 募兵하다. 가족들을 安陰 水勝洞으로 피란 시키다. ○ 5월, 陣을 居昌으로 옮기다. ○ 6월, 茂溪 전투의 승리로 陜川 郡守에 제수되다. ○ 7월, 牛脊峴 전투에서 승리하다. ○ 8월, 거창에서 승리하고, 3차의 星州城 전투로 성을 탈환하다. ○ 9월, 掌樂院 正에 제수되다. ○ 11월, 첨지중추부사, 義兵都大將에 제수되다.
선조 26 1593 계사 萬曆 21 53 1월, 慶尙右道兵馬節度使 兼 晉州牧使에 제수되다. ○ 3월 11일, 陣中에서 병으로 졸하다. ○ 고령 선영에 장사 지내다.
선조 40 1607 정미 萬曆 35 5월, 宣武 原從功臣에 錄功되고, 이조 판서에 추증되다.
현종 7 1666 병오 康熙 5 2월, 道巖書院에 봉안되다.
정조 10 1786 병오 乾隆 51 木活字로 「松菴實紀」가 印行되다.

 

>편찬 및 간행

저자의 遺文은 사후 200여 년이 지날 때까지 家藏되어 오다가, 1772년에 후학 韓邦胤이 道巖書院의 원우들과 함께 서원에 보관하고 있던 金氏 문중의 家藏에서 詩文과 日錄을 수습하고 文緯의 「茅谿手記」 및 同時 諸賢의 문집 등에서 事實을 모아, 1774년에 崔載億, 李悔根이 1권으로 부집(裒輯)하였다.

 

1785년에 이 稿本을 增刪 編次하여 遺稿, 事蹟, 附錄으로 편차하고, 金重祚의 서문, 家狀, 尹宣擧의 行狀, 洪重鉉의 諡狀 등을 추가하여, 1786년에 방후손 金尙普와 韓邦胤이 木活字로 印行하였다.《松菴實紀》 이 본은 현재 규장각(古4650-170)에 소장되어 있으며, 傍孫 金隆燾, 울산의 李秉稷 등이 소장하고 있다.

 

그 후 「송암실기」에서 1714년에 홍중현이 지은 諡狀, 家狀, 倡義事蹟의 내용 일부를 삭제하고, 〈壬辰倡義時同苦錄〉, 〈公忠道各邑儒生通文〉 등을 추가하여 목활자로 「松菴遺稿」를 인행하였다.《초간본》 이 본은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811.97/김면/송〉, 국립중앙도서관(한46-가501),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性齋集」에 실려 있는 저자의 諡狀은 1884년 겨울에 허전(1797~1886)에게 부탁하였으나 문집 간행 기일에 쫓겨 미처 본집에 싣지 못하였다(〈請諡請額疏草〉後識)고 한 것으로 보아, 초간본의 간행은 서문을 부탁한 1884년 겨울에서 허전이 졸한 1886년 9월 이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972년에 1책으로 만들어진 寫眞本 「松菴先生年譜」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인조 연간(1624~1649)에 再從弟 金演이 單卷으로 遺集을 창간했다고 했으나, 연보가 후대에 이루어졌고 근거도 제시되어 있지 않아 사실로 보기 어렵다.

 

1978년에 고령문화원에서 저자의 일대기인 「松菴先生實錄」을 펴냈고, 2005년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송암 김면 학술총서로 「松菴 金沔의 生涯와 義兵活動」, 「松庵 金沔과 壬亂義兵」을 간행하였다.

 

본서의 저본은 「松菴實紀」를 증보 재편하여 1885년경에 목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으로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장본이다.

--------------------------------------------------------------------------------------------------------------------------------------

>자료수집 정리 인물소개

 

● 崔載億

● 李晦根

고령군 개진면 양전리 출신으로 성은 경주이씨(慶州李氏)다.

고려말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의 후손으로. 조선 인조때의 형조판서(刑曹判書) 벽오 이시발(碧梧 李時發)의 6대 손이고, 조(祖)는 성균 진사 이성일(李聖一)로 고령의 입향조(入鄕祖)이다,

 

공(公)의 자(字)는 현보(顯甫), 호(號)는 수백당(守白堂)으로 향시에 4번 장원하고 영조 30년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임금께 사은숙배 하니 크게 칭찬 하였다. 시(詩)와 문장(文章)이 출충 하여 당대 이름이 있었고. 저서로 수백당 문집( 守白堂 文集)2권이 전한다.

기사전거 : 諡狀(許傳 撰, 性齋集 卷32), 異本, 本集內容 등에 의함

--------------------------------------------------------------------------------------------------------------------------------------

>구성과 내용

본집은 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目錄, 1774년에 金守默이 지은 서문, 1785년에 金重祚가 지은 서문이 있다. 권1은 詩文, 권2는 補遺, 권3은 附錄이다.

 

권1은 詩 24題, 書 6편, 文 2편이다. 시는 중간에 많이 유실된 듯 44세 때 친구 鄭逑를 생각하며 지은 〈過檜淵懷鄭道可〉를 시작으로 만년에 지은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與鄭寒岡諸賢汎舟開山江〉은 李起春, 鄭逑, 朴惺 등과 교유하며 지은 시이며, 〈行軍到新倉有感〉과 〈軍中有感〉은 1592년에 의병 활동을 하며 陣中에서 느낀 소회를 시로 읊은 것이다.

 

편지 중에는 1592년 7월에 陣中에서 의병장 곽재우에게 보낸 것과, 당시 초유사였던 김성일에게 戰況을 전하는 편지 등이 있다. 文은 1592년에 호남을 순찰한 權慄에게 보낸 移文과 왜란 중에 先塋에 고하는 글이다.

 

권2는 補遺로, 倡義事蹟, 壬辰倡義時同苦錄, 各處戰地, 松菴精舍諸賢詩, 挽章 18수 등이다.

창의사적은 金氏 家狀과 朴世采의 「海東師友錄」, 유성룡의 「懲毖錄」, 李睟光의 「芝峯類說」 등에서 뽑은 저자의 의병 활동 기록이다.

 

임진창의시동고록은 임진왜란 때 의병에 참가하여 동고동락했던 인물들의 성명과 약력을 적은 인명록이다.

송암정사제현시는 정구, 김우옹, 박성, 郭䞭 등이 지은 시이다. 만장은 李魯, 尹景男 등이 지었다.

 

권3은 附錄으로, 敎書 2편, 諭書 1편, 狀啓 3편, 賜祭文 2편, 祭文 3편, 行狀, 神道碑銘, 道巖書院의 重修上樑文ㆍ奉安文ㆍ移建時告文, 〈請諡請額疏草〉, 〈公忠道各邑儒生通文〉이다. 교서는 1592년에 합천 군수, 의병대장에 제수하는 것이고, 유서는 1593년에 右兵使에 제수하는 것이다. 행장은 윤선거가, 신도비명은 채제공이 지었다.

 

〈청시청액소초〉는 崔興璧이 지었는데, 저자에게 시호를 내려 주고 봉안된 서원을 사액해 줄 것을 청하는 疏草이다. 소초의 말미에 구본에서 洪重鉉이 지은 諡狀을 산삭한 이유와 다시 1884년에 허전에게 부탁한 시장을 미처 싣지 못하고 간행하게 된 과정을 서술하였다.

--------------------------------------------------------------------------------------------------------------------------------------

■ 송암선생실기(松庵先生實紀)

 

[저자] : 김면(金沔)

[판사항] : 석인본(石印本)

[간행년도] : 1920-30년경

[권수] : 2권

[광곽] : 四周雙邊, 半郭;19.7×15.3㎝, 有界, 10行20字,註雙行

[판심] : 上下向二葉花紋魚尾 [크기] : 27×19.3㎝

 

'■ 보학 > 문집.고서.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종때의 관보  (0) 2010.05.19
18세기 사대부가의 장서  (0) 2010.05.18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0) 2010.05.15
조선후기 서적수입과 장서가들  (0) 2010.05.15
동인지문오칠(東人之文五七)  (0) 201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