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순신을 만든 사람들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까닭은 이순신의 척근에서 그를 도와 전쟁을 승리로 이끈 7인의 숨은 영웅들이 있었기때문인데, 이름은 다음과 같다.
● 나대용(羅大用 : 1556~1612) : 조선 과학 기술의 꽃인 거북선을 만든 사람.
본관 금성(錦城). 자 시망(時望). 전라 나주 출생. 일찍이 문장이 뛰어났으나 나라의 장래를 근심하여 무예수업에 전념하여 28세 때 훈련원 별시(別試)에 병과로 합격하였다.
임진왜란 1년 전인 1591년(선조 24)에 전라좌수영 수사(全羅左水營水使)로 있는 이순신장군을 찾아가 그 동안 연구한 거북선의 설계도를 보이는 한편 국방에 대한 계책을 아뢰었다.
충무공은 크게 기뻐하여 그를 막하(幕下)에 두고, 거북선 건조를 위시한 모든 전구(戰具)의 준비 계획과 추진에 참여시켰다. 그는 병선건조에 온갖 정력을 쏟는 한편, 충무공과 함께 옥포(玉浦) ·당포(唐浦) ·사천(泗川) 등 15여 회의 해전에서 왜적과 왜선을 도륙하는 큰 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후에도 새 전함인 창선(鎗船)을 창안 건조하였고, 남해현감(南海縣監)으로 있을 때는 쾌속정인 해추선(海鰌船)을 발명하였다.
● 정걸(丁傑 :1514.12.2~1597) : 조선 최고의 해전 전문가.
본관은 영광(靈光), 자는 영중(英中), 호는 송정(松亭)이다. 1514년(중종 9) 12월 2일, 지금의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浦頭面)에서 태어났다. 1544년 무과에 급제한 뒤, 훈련원 봉사(奉事)를 거쳐 선전관(宣傳官)을 지냈다.
1553년(명종 8) 서북면 병마만호(兵馬萬戶)를 지낸 뒤, 1555년 을묘왜변때 달량성(達梁城)에서 왜군을 무찌른 공으로 남도포(南桃浦) 만호가 되었다. 이듬해 부안현감을 거쳐, 1561년 온성도호부사, 1568년(선조 1) 종성부사로 있으면서 여진 정벌과 국경 수비에 공을 세웠다.
그 뒤 1572년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1577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1578년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1581년 절충장군, 1583년 전라도 병마절도사, 1584년 창원부사, 1587년 전라우도 수군절도사 등 수군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591년에는 전라좌수영 경장(조방장)으로 임명받았으며 조선 수군의 주력 전선인 판옥선을 만들었고 화전, 철령전 등 여러가지 무기를 만들었다. 이듬해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李舜臣)과 함께 각종 해전에 참가해 많은 공을 세웠다.
특히 1592년 5월 7일, 이순신 함대의 첫 해전인 옥포해전에서 전공을 세운 이래, 7월의 한산도대첩에 이어, 9월 1일의 부산포해전에서도 큰 공을 세웠다. 1593년 2월에는 충청도 수군절도사로 있으면서 행주대첩에 참가해, 화살이 거의 떨어져 가는 아군에게 화살을 조달해 승리로 이끄는 데 이바지한 뒤, 다시 서울 탈환작전에 참가하였다.
같은 해 6월, 이순신의 요청으로 한산도에서 왜적을 방어하고, 12월에는 전라도방어사로 부임해 남서 해안에서 왜적 토벌에 전념하였다. 1595년 관직에서 물러난 뒤,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7년 여름 83살의 나이로 죽었다. 포두면 안동사(安洞祠)에 배향되었다.
● 어영담(魚泳潭 : 1532~1594) : 평생 물길을 연구한 물길 전문가.
본관은 함종(咸從). 자(字)는 경유(景游). 그러나 고향이 어디인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진 게 없으나 경상도 함안(咸安)에서 거주했다고 한다.
무예에 능하고 담력과 지략이 뛰어나 일찍이 여도만호(呂島萬戶)에 특채되고, 1564년 식년무과에서 병과 제3인(전체 제11인)으로 합격했다. 진해 등 여러 진관(鎭管)의 막료(幕僚)로 있으면서 해로(海路)를 익혔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양(光陽)현감으로서 이순신(李舜臣) 휘하에서 수로향도(水路嚮導)로 활약, 옥포싸움에서 우리 수군이 첫 승리를 거두는데 공을 세우고, 합포해전· 당항포해전· 율포해전 등에서도 공적을 세웠다.
이듬해 이순신에 의하여 조방장(助防將)에 임명되었다.
1594년 전염병에 걸려 한산 통제영에서 세상을 떠났다. 묘소는 경남 함안에 있다.
● 이봉수 : 임진왜란은 화약 전쟁이다. 화약은 내게 맡겨라(화약전문가)
본관은 경주(慶州)로, 성암공(誠庵公) 이인정(李仁挺)의 후손 으로 전쟁이 한창 진행될 무렵 조선 수군에 화약이 떨어지자 이순신은 급히 이봉수를 찾는다.
이봉수는 바다 속에 철쇄를 심을 때 나무 도르래를 이용하는 발상을 하기도 하고, 봉수대를 마치 예술품처럼 완벽하게 설치할 만큼 과학자 다운 역량을 보였던 인물이다. 이순신은 이봉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가 위기 상황이 닥치자 이봉수를 찾은 것이다.
이봉수는 애매한 기록 하나를 근거로 수없이 많은 실험을 거듭한 끝에 화약의 재료인 염초 제조에 성공하고, 따라서 조선은 승리의 폭죽을 다시 쏠 수 있었다.
● 정사준(鄭思竣 : 1553~?) : 일본의 조총을 뛰어넘은 정철통총을 만든사람.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호(號)는 성은(城隱)이고, 자는 근초(謹初)이다.
경상도수군우후를 지낸 정승복(鄭承復)의 아들로 전라도 순천(順天)에서 태어났다.
1584년(선조 17) 별시무과에서 을과로 급제하여 선전관 등을 역임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훈련주부(訓鍊主簿)가 되어 전라좌도수군절도사 이순신(李舜臣)의 휘하에서 활약하였다.
이순신의 명령을 받아 소형대포인 승자총과 조총을 절충한 화승총을 고안하여 솜씨 있는 대장장이들을 뽑아 이를 제작하였다. 1599년(선조 32) 결성현감(結城縣監)으로 재임 중 탐학하다는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전남 순천의 옥계서원에 배향되었으며 병조참의에 증직되었다.
● 이운룡(李雲龍 : 1562~1610) : 한산대첩을 승리로 이끈 천재 전략가.
경상북도 청도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재령(載寧)이다. 무과에 급제,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옥포만호(玉浦萬戶)에서 패전한 원균(元均)이 도망하려는 것을 저지, 이순신(李舜臣)에게 원병을 청하여 위기를 모면케 하고 이순신의 막하(幕下)로 들어가 여러 해전(海戰)에서 전공을 세웠다.
이듬해 웅천(熊川) 현감에 승진, 1596년 이순신의 천거로 경상좌도 수군절도사가 되었다가 이듬해 정유재란에 원균이 패사(敗死)하고 수군이 전멸당하자 영천(永川)·창암(蒼巖) 등지의 육전(陸戰)에 참가하였다.
1602년 모친상으로 진(鎭)을 비웠다가 탄핵을 받아 서생포(西生浦)에 장류(杖流)되었으나 곧 풀려나와 1604년 선무(宣武)공신으로 식성군(息城君)에 봉해졌으며 도총부(都摠府)부총관·포도대장·화기도감제조(火器都監提調)를 겸하고 비변사(備邊司) 유사당상(有司堂上)에 올랐다.
그 후 다시 탄핵으로 은퇴하였으나 1607년 오랑캐들이 북쪽 변방에 침입하자 함경도병마절도사가 되어 이를 진압하고 충청도수군절도사로 나갔으나 1610년(광해군 2) 또다시 탄핵을 받고 퇴관, 고향에 돌아갔다. 병조판서가 추증되었다.
● 이억기(李億祺 : 1561~1597) : 이순신이 빚진 장수 - 전라우수사.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경수(景受)이다. 아버지는 심주군(沁洲君) 연손(連孫)이다. 어려서부터 무예에 뛰어나고 용맹하여 17세에 사복시내승(司僕寺內乘)이 되고 그 후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
21세 때 경흥부사(慶興府使)를 역임하였는데 이는 당시에도 파격적인 인사였다.
북방의 여진족이 두만강을 건너 남하하자 전투가 벌어졌고 이들을 물리쳐 공을 세웠다. 26세 때 온성부사(穩城府使)로 임명되었다.
1587년 여진족이 경흥 부근으로 침입하여 큰 피해를 입게되자 당시 경흥부사였던 이경록과 조산만호 이순신이 체포되자 이억기는 이들을 변호하였으며 이때 이순신과 인연을 맺기시작하였다.
1591년(선조 24) 32세 때 순천부사를 거쳐 전라우도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가 되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李舜臣)과 협력하여 당항포·옥포해전에 출정하여 크게 승리하였다.
이순신이 원균(元均)의 참소로 하옥(下獄)되자 이항복(李恒福)·김명원(金明元) 등과 함께 무죄를 변론하였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원균 휘하의 좌익군(左翼軍)을 지휘하여 용전하다가 칠천량(漆川梁) 싸움에서 원균과 함께 전사하였다.
전투에 패하게 되자 패전한 장수로서 바다에 투신 자결을 선택하였다.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에 완흥군(完興君)으로 추봉되고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여수 충민사(忠愍祠)에 이순신과 함께 배향되었다. 시호는 의민(毅愍)이다.
● 결론
사라지지 않을 영원한 영웅, 이순신이렇듯 자신의 꿈을 소중히 여겼던 숨은 영웅들은 실력만을 존중했던 이순신 장군을 만나 그 능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었다. 조총으로 무장하고, 수년 간 준비 끝에 조선을 침략한 일본이 단 한 사람, 이순신 앞에 무릎꿇은 비밀이 바로 여기에 있다.
끝으로 이순신 장군이 일생 동안 흔들림 없이 지켰던 몇 가지 신념을 중심으로 진정한 영웅의 면모를 낱낱이 볼 수 있다. 이순신은 어릴 적 골목대장 시절부터 ‘싸움은 힘이 아니라 과학’임을 몸소 깨닫는다.
이때의 깨달음이 훗날 최고의 전술가요, 지장(智將)의 명성을 그에게 선물한다.
이순신은 실력과 상관없이 정쟁의 소용돌이에 좌우되는 문관보다는 실력으로 정정당당하게 평가받는 편이 낫다는 생각에 무관의 길을 선택할 만큼 다른 어떤 것보다 실력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았다.
‘어떤 경우에도 실력만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원칙, 철저한 유비무환의 자세, ‘죽고자 하면 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바로 이러한 점들이 우리로 하여금 그를, 사라지지 않을 영원한 영웅으로 기억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 인물 > 조선시대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권(朴權) - 생몰년 미상 (0) | 2010.02.18 |
---|---|
이인행(李仁行) (0) | 2010.02.06 |
병자호란과 이경선(李慶善) (0) | 2009.12.23 |
맹사성(孟思誠) (0) | 2009.12.13 |
이경선(李慶善) (0) | 2009.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