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행록 4

익재집 보물로 지정(역옹패설과 익재난고 )

↑1432년(세종 14) 원주에서 두 번째로 간행한 익재집 ■ 익재집(益齋集) 보물로 지정 고려시대 최고의 명신(名臣)이요, 대학자인 이제현(李齊賢,1287~1367)선생이 지은 익재난고(益齋亂藁)는 보물 제1892호로 역옹패설(櫟翁稗說)은 보물 제1893호로, 지정됐다고 2016년 2월 22일(월요일) 문화재청이 발표했다. 고려후기 이인로(李仁老,1152~1220)의 파한집(破閑集/說話文學集)과 최자(崔滋,1188~1260)가 엮은 보한집(補閑集/詩話集)과 더불어 고려3대 문학비평서인 역옹패설(櫟翁稗說)은 이제현선생의 나이 56세 때인 1342년(충혜왕 3) 관직에서 물러나 자택에 머물면서 익재난고(益齋亂藁)와 함께 집필한 책이다. 이 책의 《초간본》은 저자 이제현(李齊賢)의 77세 때인 1363년(공..

익재 이제현의 저작(著作)

↑보은 장산영당 소장의 익재 영정(충북 유형문화재 제72호) ↑일본 천리대학 소장 이제현의 초상화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인 이제현의 초상화이다. 33살의 이제현이 충선왕과 함께 중국을 유람하던 1319년에 충선왕이 진감여(陳鑑如)라는 원나라 화가를 시켜 그린 것이라 한다. 이제현은 귀국할 때 이 그림을 가져오지 못했다가 21년 후에 우연히 그림을 다시 보게되자 그 감회를 시로 읊었다고 한다. 그림에는 이 시가 그림에 대한 원나라 문장가 탕병룡의 찬과 함께 쓰여 있다. ↑익재집 ■ 역옹패설(翁稗說) ◈저작동기 및 의의 은 고려 말기 문신 이제현이 지은 시화, 잡록 집으로 4권 1책의 목판본이다.고려시대에 이 책이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전하는 것은 없고, 다만 온전한 모습으로 볼 수 있는 것은 萬..

益齋集 七刊本 木板刻(익재집칠간본목판각)

■ 익재문집 제七간본 목판각(益齋文集弟七刊本 木板刻) 익재집 《칠간본》.은 병인(丙寅) 1926년에 저자의 19대손 이규석(李圭錫)이 하겸진(河謙鎭)의 서(序)를 받아 연활자(鉛活字)로 경북 안동(安東) 노림재(魯林齋)에서 6책으로 간행하였다. ↓아래 목판각은 1926년 안동 노림재에서 6책으로 간행된 익재집 목판각 이다. ↑역옹패설 목판각(櫟翁稗說 木板刻) ↑익재난고 목판각(益齋亂藁 木板刻) ↑발(跋) * 지(誌) * 습유(拾遺) ↑효행록 목판각(孝行錄木板刻) ------------------------------------------------------------------------------------------------------------------------------------- ■ 역..

益齋의 著作

■ 역옹패설(櫟翁稗說) ● 저작동기 및 의의 은 고려 말기 문신 이제현이 지은 시화, 잡록 집으로 4권 1책의 목판본 이다. 초간본은 저자 이제현(李齊賢)의 77세 때인 1363년(공민왕 12)에 막내아들 이창로(李彰路)와 장손 이보림(李寶林)이 편집하고 이색(李穡)의 서(序)를 받아 경주에서 처음 간행하였다 그러나 이 《초간본》은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그 후 1432년(세종 14)에 세종대왕의 명으로 집현전학사들이 선사(繕寫)해 만든 원고 본을 강원도 감영이 있던 원주에 내려 보내 간행한 것으로 역옹패설 말미에 편성 및 출판과정을 설명한 집현전 응교 김빈(金鑌)의 발문이 있다. 이 원주본의 《중간본》부터 익재난고와 역옹패설을 합하여 익재집(益齋集) 이라고 한다. 이 중간본을 2016년 2월 22일(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