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재집 7

익재집 - 이제현 저

1814년(순조 14) 년보(年譜)에 사실(事實)을 추가하고 습유(拾遺)를 첨록(添錄)하여 경주에서 보판(補板) 간행하였다. ↑익재집(益齋集) 고려 말의 학자 이제현[李齊賢,1287년(충렬왕 14)∼1367년(공민왕 16)]의 문집인 익재집이다. 그의 시문을 모은 [익재난고(益齋亂藁)]와 문학론을 담은 [역옹패설(櫟翁稗說)], 그리고 [습유]로 구성되었다. 저자의 77세 때인 1363년(공민왕 12)에 막내 아들 이창로(李彰路)와 장손 이보림(李寶林)이 수집ㆍ편차하고 이색(李穡)의 서(序)를 받아 역옹패설 4권 1책과 익재난고 10권 4책을 목판본으로 경주에서 처음 간행하였다《초간본》. 그러나 이 초간본은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집필 이재훈

익재집 보물로 지정(역옹패설과 익재난고 )

↑1432년(세종 14) 원주에서 두 번째로 간행한 익재집 ■ 익재집(益齋集) 보물로 지정 고려시대 최고의 명신(名臣)이요, 대학자인 이제현(李齊賢,1287~1367)선생이 지은 익재난고(益齋亂藁)는 보물 제1892호로 역옹패설(櫟翁稗說)은 보물 제1893호로, 지정됐다고 2016년 2월 22일(월요일) 문화재청이 발표했다. 고려후기 이인로(李仁老,1152~1220)의 파한집(破閑集/說話文學集)과 최자(崔滋,1188~1260)가 엮은 보한집(補閑集/詩話集)과 더불어 고려3대 문학비평서인 역옹패설(櫟翁稗說)은 이제현선생의 나이 56세 때인 1342년(충혜왕 3) 관직에서 물러나 자택에 머물면서 익재난고(益齋亂藁)와 함께 집필한 책이다. 이 책의 《초간본》은 저자 이제현(李齊賢)의 77세 때인 1363년(공..

익재 이제현의 저작(著作)

↑보은 장산영당 소장의 익재 영정(충북 유형문화재 제72호) ↑일본 천리대학 소장 이제현의 초상화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인 이제현의 초상화이다. 33살의 이제현이 충선왕과 함께 중국을 유람하던 1319년에 충선왕이 진감여(陳鑑如)라는 원나라 화가를 시켜 그린 것이라 한다. 이제현은 귀국할 때 이 그림을 가져오지 못했다가 21년 후에 우연히 그림을 다시 보게되자 그 감회를 시로 읊었다고 한다. 그림에는 이 시가 그림에 대한 원나라 문장가 탕병룡의 찬과 함께 쓰여 있다. ↑익재집 ■ 역옹패설(翁稗說) ◈저작동기 및 의의 은 고려 말기 문신 이제현이 지은 시화, 잡록 집으로 4권 1책의 목판본이다.고려시대에 이 책이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전하는 것은 없고, 다만 온전한 모습으로 볼 수 있는 것은 萬..

익재선생문집(益齋先生文集)

◈ 품 명 : 익재선생문집(益齋先生文集) ◈ 크 기 : 18.5Cm x 28.5Cm ◈ 판 사 항 : 목판본(木板本 ) ◈ 발행사항 : 慶州 : 鷄林府, 肅宗 19(1693)刻, [後刷] ◈ 형태사항 : 10卷3冊 : 四周雙邊 半郭 20.1 x 15.8 cm, 有界, 半葉10行18字 註雙行, 內向2葉 花紋魚尾 ; 30.2 x 20.2 cm ◈ 저 자 : 이제현(李齊賢:1287~1367) ◈ 주기사항 : ◇備考 : 第1-4張 落 ◇益齋는 李齊賢의 號임 ◇刊記 : 崇禎丙子後伍拾染年癸酉(1693)正月鷄林府重刊 ◇重刊識 : 癸酉(1693)...許경書 ◇紙質 : 楮紙 ◇表題 : 益齋先生文集 益齋亂藁. 卷1-10 / 李齊賢(高麗) 著 10권 4책. 저자가 살아 있을 때인 1363년(공민왕 12) 아들 창로(彰路) ..

고려 충선왕이 티벳으로 유배간 이유는?

1. 700년전.... 충선왕은 티벳으로.... 만 오천리의 유배길을 갔다. 고려 26대왕인 충선왕! 마흔 여섯이 되던 1320년, 예기치 못한 운명을 맞게 된다. 한 나라의 국왕인 그에게 유배 명령이 떨어진다. 충선왕의 유배지는 당시의 토번으로, 지금의 티벳! 그곳에 도착하는데만도 반 년이 걸리는 멀고도 험난한 길이었다. 그럼 고려 충선왕이 티벳까지 유배를 간 이유는 무엇일까? 「고려 26대 충선왕! 공민왕이나 혹은 조선 시대 여러 왕들처럼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인물은 아니죠. 그런데 그는 우리 역사상 그 어느 왕보다도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왕입니다. 먼 이국 티베트까지 유배를 갔다는 것만으로도 그의 삶이 순탄치 않았다는 것을 짐작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티벳이라면 여기, 아시아 서쪽 끝이죠. 지도상으..

益齋의 著作

■ 역옹패설(櫟翁稗說) ● 저작동기 및 의의 은 고려 말기 문신 이제현이 지은 시화, 잡록 집으로 4권 1책의 목판본 이다. 초간본은 저자 이제현(李齊賢)의 77세 때인 1363년(공민왕 12)에 막내아들 이창로(李彰路)와 장손 이보림(李寶林)이 편집하고 이색(李穡)의 서(序)를 받아 경주에서 처음 간행하였다 그러나 이 《초간본》은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그 후 1432년(세종 14)에 세종대왕의 명으로 집현전학사들이 선사(繕寫)해 만든 원고 본을 강원도 감영이 있던 원주에 내려 보내 간행한 것으로 역옹패설 말미에 편성 및 출판과정을 설명한 집현전 응교 김빈(金鑌)의 발문이 있다. 이 원주본의 《중간본》부터 익재난고와 역옹패설을 합하여 익재집(益齋集) 이라고 한다. 이 중간본을 2016년 2월 22일(월..

益齋公派 世界圖.

경주이씨 익재공파세계도(益齋公派世系圖) 17世 제현(齊賢) │ │ 18世 서종(瑞種)-달존(達尊)-창로(彰路) 밀직공파조 시랑공 운와공 밀직공 (侍郞公) (雲窩公) (密直公) │ ┌─┘ │ │ │ 덕림(德林)-수림(壽林)-학림(學林) 19世 │ │ ┌─┘ ┌───┘ │ │ │ ┌┘ │ │ │ 담(擔) 20世 │ │ │ │ │ │ │ 희(暿) 21世 │ │ │ 청호공파조(淸湖公派祖) │ │ │ │ │ │ │ │ 숭의(崇義)-영도(崇道)-인도(仁道) 20世 │ │ │ ┌──┘┌───┘ │ │ │ │ ┌─┘ │ │ │ │ 빈(彬) 21世 │ │ │ │ │ │ │ │ │ 지하(之夏) 22世 │ │ │ │ │ │ │ │ │ │ │ │ │ │ 산수(山壽) 23世 │ │ │ │ │ │ │ │ │ │ │ │ │ │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