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각국사 3

백화도량발원문약해(白花道場發願文略解)

작성일 : 2020. 02. 29 ■ 백화도량발원문약해(白花道場發願文略解) [저자] 의상(義湘)/나옹선사(懶翁禪師) [간행 및 역주] 체원(體元) /목암(木庵)/향여(向如)/각해대사(覺海大師) [종 목] 국보 제206-25호 [명 칭] 백화도량발원문약해(白花道場發願文略解) [분 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수량/면적] 7판 [지정일] 1982. 05. 22 [소재지]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해인사 ]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 해인사 [관리자] 해인사 이 목판은 해인사 고려각판 중의 하나로, 모두 7판으로 되어있다. 현재 해인사 대장경판전 사이에 있는 동·서 사간판전(寺刊版殿)에 보관되어 있다. 이 목판의 내용은 의상(義湘)이 지은 『백화도량발원(白花道場發願)』에 대하여 1328년..

체원의 저술

■ 체원의 저술 체원(體元)이 지은 4종의 주석서는 ① 『백화도량발원문약해(白花道場發願文略解)』, ② 『화엄경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華嚴經觀自在菩薩所說法文別行疏)』, ③ 『화엄경관음지식품(華嚴經觀音知識品)』, ④ 『삼십팔분공덕소경(三十八分功德疏經)』이다. ①은 1328년(충숙왕 15) 10월 해인사에서 ③·④는 1331년에 저술된 것이 확인되며 ②는 ①보다 먼저 저술된 것으로 보이지만 그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이들 4종의 저술은 모두 해인사 사간본(寺 刊本)으로 남아 있다. 특히 ①은 의상(義湘,625~702)이 찬술한 『백화도량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을 약해한 것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 가치를 지니고 있다. 4종 저술에 나타난 특징을 종합해 보면, 14세기 전반기의 해인사를 중심한 화엄사상계가 관..

대각국사집 번역 단상(短想)

■ 대각국사집 번역 단상(短想) [1] 아, 장부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쓰임이 되려고 하는 법이다. 가령 돌아가신 국사(國師)를 다시 일으켜드릴 수만 있다면, 머리카락을 땅에 깔아서 발로 밟고 가시게 하더라도 흠모하며 기꺼이 할 것인데, 더구나 문자(文字)를 가지고 비석(碑石) 아래에 신의 이름을 걸게 하시니, 이 어찌 영광이요 행운이라고 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학술(學術)이 고루하고 사어(辭語)가 거칠어서 그윽한 덕의 숨겨진 빛을 드러내어 후예들에게 보여줄 수 없으니, 이것이 한스러울 따름이다.[噫 士爲知己者用 假令死而可作 雖布髮而藉足 亦所忻慕焉 況以文字挂名於碑石之下 豈不論榮幸也哉 而學術固陋 辭語澁吶 不能發幽德之潜光 以示來裔 是所恨焉] 이는 『대각국사 외집(大覺國師外集)』제12권에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