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 관청명
◇경시서(京市署)
고려와 조선 때 중앙에 있는 시장과 도량형(度量衡), 물가조절등 상업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경연청(經筵廳)
조선 때 유교경전(儒敎經典)의 강론(講論)을 맡고 임금과 함께 사상(思想)을 토론하는 일을 맡은 관청.
◇공부(工部)
고려 때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6부중 하나로 공업과 농업을 맡아 관장하는 기관이며 지금의 통상산업부,
농림부.
◇공조(工曹)
조선 때 6조의 하나로 공업 또는 공사(工事) 영선(營繕: 건축물을 신축하고 수리하는일)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 하는 지금의 건설교통부.
◇관상대(觀象臺)
조선 때 천문(天文), 책력, 기후, 누각(漏刻:시간 측정) 등을 맡아보는 관청 지금의 기상대.
◇교서관(校書館)
조선 때 경적(經籍) 등을 간행하고 번포하며 향축(제사 때 쓰는 향과 축문), 인각(도장) 등을 맡은 관청.
◇국자감(國子監)
고려 때 국립대학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며 지금의 서울대학교와 같다.
◇군기감(軍器監)
또는 군기시(軍器寺) 고려 때와 조선 때 모든 군사에 필요한 병기를 제조하고 무기를 조달하던 관청.
◇군자감(軍資監)
조선 때 군수(軍需)물자의 저장과 출납에 관한 일을 맡아 보는관청.
◇규장각(奎章閣)
조선 때 임금의 어제(御製)에 대한 글과 서화, 선보(왕실의 족보) 등을 관리하며 내각의 서적을 맡아 보관
하는 기관.
◇내섬시(內贍寺)
조선 때 각 전(殿)과 궁(宮)에 제공할 음식물과 제물 등을 맡아보고 2품이상의 관원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일을 맡아보는 관청.
◇내수사(內需司)
조선 때 대궐에서 쓰는 물자를 공급하는 관청.
◇내시부(內侍府)
조선 때 대전(大殿)의 수라(임금의 식사)상을 감독하고 임금의 분부를 전달하고 청소를 담당하는 관청.
◇내의원(內醫院)
조선 때 대궐의 약과 화제(和劑:약의 처방전)을 다루는 기관.
◇내자시(內資寺)
조선 때 궁내의 술, 간장, 기름, 채소 등의 물자를 공급하며 연회 등을 주관하는 관청.
◇도화서(圖畵署)
조선 때 그림에 관한 일을 맡아서 관장하는 관청.
◇돈령부(敦寧府)
조선 때 왕실의 가까운 종친(宗親)간에 관계된 사무를 처리하는 관청.
◇밀직사(密直司)
고려 때 왕의 명령을 전달하고 궁중의 숙위(宿衛:궁중을 지키고 왕을 호위함), 군사기밀을 담당하는 관청.
◇병부(兵部)
고려 때 상서성 소속의 6부중 하나로, 국방문제와 육, 해군을 감독하고 무관(武官)의 인사 등을 맡아 관장
하는 지금의 국방부와 같은 관청.
◇병조(兵曹)
조선 때 6조의 하나로 무관(武官)에 대한 인사문제, 군사, 우편, 역, 병기 등의 사무를 관장하는 지금의 국
방부.
◇보문각(寶文閣)
고려 때 경연(經筵)과 장서(藏書) 등을 관리 하면서 왕을 모시고 경서를 강론하던 관청으로 후에 경연청
(經筵廳)으로 고침.
◇봉상시(奉常寺)
조선 때 국가의 제사(祭祀)와 시호(諡號)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관청.
◇비변사(備邊司)
조선 명종 10년에 창설하여 나라의 기밀과 그 계획 및 작전에 관한 군무(軍務)를 총괄하는 관청.
◇비서성(秘書省)
고려 때 왕의 측근에서 축문(祝文)과 경적(經籍)을 다루고 임금의 명령을 행하는 기관인데 지금의 대통령
비서실과 같은 관청.
◇빙고(氷庫)
궁중에서 쓰이는 얼음을 보관하는 창고를 관리하던 관청.
◇사간원(司諫院)
조선시대 때 임근의 잘못된 점을 올바르게 간(諫하)고 간쟁(諫爭), 논박(論駁:잘못된 것을 말함)을 맢은 관
청.
◇사도시(司 寺)
조선시대 때 궁내의 쌀, 곡식과 계자 등을 관리하던 관청.
◇사복시(司僕寺)
고려와 조선시대 때 궁중의 가마와 마필, 목장 등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1308년에 태복시(太僕寺)를 사복
시로 바꾸었다.
◇사섬시(司贍寺)
조선 태종 원년에 설치하여 숙종 때 폐지하였는데 저화(楮貨:종이돈), 지전(紙錢:닦나무 껍질로 만든 종이
돈)을 만들고 지방에 있는 노비의 공포(貢布:세금으로 내는 베) 등을 관리하던 관청.
◇사역원(司譯院)
고려와 조선 때 외국어의 번역과 통역을 맡아 보던 관청.
◇사온서(司 署)
조선시대 때 궁중에 술을 만들어 공급하는 기관.
◇사옹원(司饔院)
조선시대 때 임금의 식사와 대궐안의음식을 만드는 기관.
◇사재감(司宰監)
조선시대 때 궁중의 생선, 고기, 소금, 땔감 등 물자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직서(社稷署)
조선시대 때 나라의 근본을 지키는 신을 모시던 기관.
◇사포서(司圃署)
조선시대 때 군중의 채소를 맡아 가꾸며 관리하던 기관.
◇사헌부(司憲府)
고려와 조선시대 때 정사를 논하고 백관을 감찰하며 기강과 풍속을 바로잡고 백성의 억울한 일을 살피는
관청.
◇삼사(三司)
고려 때 국가의 전곡(화폐와 곡식), 출납과 회계를 맡아보던 기관. 조선때는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을 합
해서 부르던 말로 관원은 학식과 인망이 두터운 사람으로 임명하였다.
◇상서성(常書省)
고려 때 행정기관의 최고기관으로 6부를 감독하고 모든 관리들을 통솔하는 관청.
◇상서원(常瑞院)
조선시대 때 임금의 옥새(玉璽:도장)와 영선(營線:건축물을 짓거나 고치는 일)에 관한 행정을 맡아보는 관
청. 지금의 건설교통부.
◇선전관청(宣傳官廳)
조선시대 때 완의 측근에서 왕을 호위하고 명령을 전단하는 기관으로 며기에 종사하는 사람을 선전관(宣
傳官)이라 한다.
◇선혜청(宣蕙廳)
조선시대 선조 4년에 창설되어 대동미(大同米)와 대동목(大同木) 등을 출납하는곳.
◇성균관(成均館)
고려말과 조선시대 때 최고 교육기관으로 유생(儒生)들에게 교육을 시키고 이들에게 훈련을 시키는 교육
기관.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
조선시대 때 왕세손(王世孫:임금의 손자)에게 교육을 시키며 강의를하는 일을 맡아보는 관청.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
조선시대 때 왕세손(王世孫:임금의 손자)을 보호하고 호위하는 일을 맡은 관청.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조선시대 때 왕세자를 모시고 경서와 사적을 강의하며 도의를 가르치는 담당한 관청.
◇세자익위사(世自翊衛司)
조선시대 때 세자를 호위하는 관청.
◇소격서(昭格署)
조선시대 때 도교(道敎)의 일월성신(日月星辰)을 나타내며 하늘과 땅, 별 등에 제사하는 기관.
◇소부감(小府監)
고려 때 나라의 모든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를 관리하는 관청으로 소부시(小府寺)라고도 한다.
◇수문장청(守門將廳)
조선시대 때 궁궐문의 출입을 총괄하던 관청.
◇수어청(守御廳)
조선시대 때 군영(軍營)으로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수축하고 그 부근을 중심으로 여러개의 진(鎭)을 지키
기 위하여 설치한 기관.
◇순군(巡軍)
고려 때 국내치안을 담당한 경찰의 직분을 맡았으며 지금의 경찰청과 같다.
◇숭문관(崇文館)
고려 때 문신중에서 학문이 뛰아난 자를 뽑아 학사(學士)로 임명하여 임금을 측근에서 모시도록 설치한 관
청.
◇승문원(承文院)
조선시대 때 다른나라와의 외교문서를 관리하던 관청.
◇승정원(承政院)
조선시대 때 왕명을 받들어 거행하는 관청으로 지금의 대통령 비서실과 같다.
◇액정서(液庭署)
조선시대 때 왕명의 전달과 임금이 쓰는 붓, 벼루의 공급, 대궐의 열쇠의 보관 대궐 뜰의 설비 등을 맡아
보더 관청.
◇양현고(養賢庫)
조선시대 때 성균관 유생(儒生)들의 식량을 공급하는 기관.
◇어사대(御史臺)
고려 때 관청으로 왕의 잘못을 간(諫)하고 백관의 과오와 비행을 규탄하는 기관.
◇어영청(御營廳)
조선시대 때 왕실(王室)을 호위하고 대궐을 지키는 일을 맡은 관청.
◇예문관(藝文館)
고려와 조선시대 때 임금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을 기록하고 왕명을 받들어 글을 짖고 문학을 관장하
는 관청.
◇예부(禮部)
고려 때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6부중 하나로 외교관계와 백성의 교육 등을 관장 하는데 지금의 외무부와
교육부.
◇예빈시(禮賓寺)
고려와 조선시대 때 나라의 손님을 접대하고 연회를 베풀며 종실 및 재상을 접대하는 관청.
◇예조(禮曹)
조선 때 6조의 하나로 예악(禮樂), 제사(祭祀). 향연, 조례(朝禮), 학교, 과거 등에 관한 사무를 맡은, 지금
의 외교부, 교육부와 같은 관청.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조선시대 때 5위(五衛:군대의 조직)의 군무(軍務)를 총괄하넌 관청으로 병도에서 독립한 기관. 5위: 의흥
유(義興 衛:중위), 용양위(龍 衛:좌위), 호분위(虎賁衛:우위), 충좌위(忠佐衛:전위), 충무위(忠武衛:후위)
◇용호영(龍虎營)
조선시대 때 궁중의 숙직과 왕을 호종(임금을 모시고 따라다님)하는 임무를 수행하던 군영.
◇의금부(義禁府)
조선시대 때 왕명을 받들어 추국(推鞫:죄인을 심문함)하는 일을 맡았으며 형옥(形獄)을 다스리고 재판하
는 기 관.
◇의빈부(儀賓府)
조선시대 때 공주(公主)나 옹주(翁主) 등과 결혼한 부마(駙馬:왕의 사위)들을 위하여 세운 관청.
◇의영고(義盈庫)
조선시대 때 기름, 꿀, 후추, 과일 등의 물품을 관리하는 관청.
◇의정부(議政府)
조선시대 때 최고의 관청으로 고관들이 모여 국무(國務)를 상의하고 회의하며 모든 정치와 관리들을 총괄
하는 관청.
◇이부(吏部)
고려시대 때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6부중 하나로, 관리의 인사관계와 지방의 관청을 감독하는데, 지금의
내무부, 총무처와 같은 관청.
◇이조(吏曹)
조선시대 때 6조(六曹)의 하나로 모든 문관의 인사를 담당하고 훈봉에 관한 사무를 집행하던 관청으로 지
금의 내무부, 총무처와 같은 관청.
◇장악원(掌樂院)
조선시대 때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장예원(掌隸院)
조선시대 때 노예에 관한 문서와 재판 관계를 다루는 관청.
◇장원서(掌苑署)
조선시대 때 궁중의 과일과 화초의 관리를 맡은 기관.
◇장흥고(長興庫)
조선시대 때 유지(油脂), 종이 등을 관리하는 관청.
◇전옥서(典獄署)
고려, 조선시대 때 죄수를 가두어 두는 곳으로 지금의 교도소와 같다.
◇전의감(典醫監)
조선시대 때 의술과 약을 관리하던 관청.
◇전중성(殿中省)
고려시대 때 대궐안의 모든 사무를 맡은 기관.
◇전함사(典艦司)
조선시대 때 배를 만들고 수리하며 관리하는 관청.
◇제용감(濟用監)
조선시대 때 마포, 모시, 나사(羅紗) 등 옷감을 맡아보고 직조에 관한일을 맡아보던 관청.
◇조지서(造紙署)
조선시대 때 종이를 만들고 관리하던 관청.
◇종부시(宗簿寺)
조선시대 때 녹찬(錄撰)과 종실(宗室)에 관한 사무, 왕실의 족보 등을 조사 연구하는 기관.
◇종친부(宗親府)
조선시대 때 역대 국왕의 계보(系譜)와 초상화를 보관하고, 왕과 왕비의 의복을 관리하며 모든 군(君: 임금
의 아들)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기관.
◇종학사(宗學司)
조선시대 때 왕족의 교육을 맡아 주관하는 관청.
◇준천사(濬川沙)
조선시대 때 서울 장안에 있는 개천과 사산(?山: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산)을 관리하던 기관.
◇중방(重房)
고려 때 이군(二軍), 육위(六衛)와 상장군(上將軍), 대장군(大將軍) 등이 모여 군사(軍事)를 논의하던곳.
◇중서문하성(中書問下省)
고려 때 국가의 행정을 총괄하는 관청으로, 왕의 조서(詔書)를 받들어 심사(審査)하고 시행하는 기관.
◇중추원(中樞院)
고려 때의 기관으로 왕의 자문(諮問)에 응하고 왕명의 출납 및 궁중의 모든 업무를 맡아보던 관청. 조선 초
왕명 출납과 병기, 군정, 경비 등을 맡아본 관청.
◇춘추관(春秋館)
조선시대 때 기록문서를 관리하고 정치와 역사에 관한 기록을 작성하고 관리하던 관청.
◇충훈부(忠勳府)
조선시대 때 국가에 공이 많은 사람들이 모여 국사를 의논하던 관청.
◇태복시(太僕寺)
고려 때 나라에서 사용하던 수레와 말을 관리하던 관청.
◇태사국(太史局)
고려 때 천문(天文), 역수(歷數), 측후(測候) 등을 맡아보는 관청.
◇통례원(通禮院)
조선시대 때 조하(朝賀), 제사(祭祀)나 임금을 회견하는 의식(儀式)에 관계된 사무를 담당한 관청.
◇평시서(平市署)
조선시대 때 서울에 있는 시장(市場)과 물자에 대한 행정, 말(斗), 자(尺), 저울 등의 도량형기(度量衡器)를
맡아 관리하던 관청.
◇포도청(捕盜廳)
조선시대 때 도둑을 잡고 수사하는 기관으로 현재의 경찰청과 같은 기관.
◇풍저창(豊儲倉)
조선시대 때 쌀, 콩 등 곡식과 거적자리, 종이 등을 맡아 관리하던 관청.
◇한림원(翰林院)
고려 때 임금의 명령을 받아서 문서를 꾸미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한성부(漢城府)
조선 태조 3년에 창설되어 서울 장안의 모든 행정을 맡아보는 관청으로 지금의 서울특별시청과 같다,
◇합문(閤門)
고려 때 국가의 의식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조선 때 통례원으로 고쳤다.
◇형부(刑部)
고려 때 상서성(尙書省)의 6부 중 하나로 사법(司法)을 담당했으며 지금의 법무부와 같은 관청.
◇형조(刑曹)
조선시대 때 6조(六曹)의 하나로 법률과 소송, 노비에 관한 사무를 관장 하였으며 지금의 법무부와 같은
관청.
◇혜민국(惠民局)
고려 때 백성의 질병을 고치기 위해서 설치한 의료기관.
◇혜민서(惠民署)
조선 때 의약(醫藥)과 일반 서민에 대한 치료를 맡아보던 관청.
◇호부(戶部)
고려 때 상서성 소속의 6부 중 하나로, 국가의 재정과 호구(戶口)를 맡아 관장하였으며 지금의 재경원과
경제기획원과 같은 관청.
◇호위청(護衛廳)
조선시대 때 임금을 호위하던 관청.
◇호조(戶曹)
조선시대 때 호구(戶口)와 납세(納稅), 식량과 화폐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기관으로 지금의 재경원과 경제
기획원과 같은 관청.
◇홍문관(弘文館)
고려와 조선시대 때 경적(經籍)과 문서(文書)를 다루고 왕의 고문에 응하는 기관.
◇훈련도감(訓練都監)
조선시대 때 5군영(五軍營)의 하나로 서울의 수비를 담당하였으며 군인들을 훈련 감독하는 기관으로 훈
국(訓局)이라고도 한다.
◇훈련원(訓練院)
조선시대 때 군사의 시재(詩才), 무예연습, 병서(兵書)와 전진(戰陳)의 강습을 맡아보던 기관.
'■ 보학 > 족보관련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권씨성화보』에 기록된 이제현 가계 사람들 - 이상국 (0) | 2021.02.01 |
---|---|
고금 관직 대조표(古今官爵對照表) (0) | 2021.01.25 |
내명부 직첩(內命婦職牒) (0) | 2021.01.20 |
교지(敎旨)와 첩지(牒紙) (0) | 2020.11.20 |
족보 보는 상식 (0) | 2019.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