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성씨별관향

전주최씨(全州崔氏)

야촌(1) 2012. 7. 16. 09:45

■전주최씨 개요(全州崔氏)

 

●연혁(沿革)

전주(全州)는 전라북도 중앙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대 마한(馬韓)의 원산성(圓山成)에서 유래하며, 백제시대에 완산(完山) 또는 비사벌(比斯伐)‧비자화(比自火) 등으로 불렸다가, 555년(위덕왕 2)에 완산주(完山州)로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완(完)을 의역(意譯)하여 전주(全州)로 고쳤고, 900년(효공왕 4)에 견훤(甄萱)이 무주(武州: 光州)로부터 이곳으로 후백제의 도읍을 옮겨 백제 부흥의 노력을 하였다. 936년(고려 태조 19)에 후백제가 망하자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가 설치되었다가 940년에 다시 전주로 회복되었다.

 

983년(성종 2)에 12목 가운데의 하나인 전주목이 설치되었으며, 993년에 승화(承化)로 개칭하고 절도안무사(節度安撫使)를 두었다. 995년에는 강남도(江南道) 관하의 전주순의군절도사(全州順義軍節度使)가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다시 안남대도호부로 승격되고, 1022년에 전주목으로 개칭되어 1곳의 속군과 11곳의 속현을 포함하는 큰 고을이 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전주로 강등되고, 1355년(공민왕 4)에는 부곡으로 강등되었다가 이듬해에 완산부(完山府)로 복구되었다. 1392년(태조 1)에 전주이씨의 본향지라 하여 완산부유수(完山府留守)로 승격되었으며, 1403년(태종 3)에 전주부(全州府)로 개칭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전주군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 전주군으로 개편된 이래 1935년 전주면이 부로 승격하여 독립하고 1949년 전주시로 개칭되었다.

 

●역사(歷史)

전주최씨는 동성동본(同姓同本)이면서도 시조를 달리하는 4파가 있어 비교적 복잡하다.

즉 순작(純爵)을 시조로 하는 문열공파(文烈公派), 균(均)을 시조로 하는 사도공파(司徒公派), 아(阿)를 시조로 하는 문성공파(文成公派), 군옥(群玉)을 시조로 하는 문충공파(文忠公派) 등 4파가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인물은 사도공파(派)에서 나왔다.

전주최씨는 조선시대에 상신 3명, 대제학(大提學-正二品) 2명, 청백리(淸白吏)3명, 문과급제자 109명을 배출하였다. 중흥(中興) 조(祖)로는 유경(有慶)을 들 수 있다. 상신(相臣)· 대제학(大提學)· 청백리(淸白吏)가 모두 그의 자손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대표적 인물은 명길(鳴吉)인데, 그는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1등공신으로 대제학· 영의정(領議政-正一品)을 역임했으며, 그의 손자 석정(錫鼎: 숙종 때 영의정)· 석항(錫恒: 경종 때좌의정(左議政-正一品) 형제도 정승을 지냈다.

 

특히 석정(錫鼎)은 당시 소론(少論)의 영수로서 당론의 소용돌이 속에서 6차례나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한편 군옥(群玉)의 후손으로는 고려 말기의 절신(節臣)으로 《두문동(杜門洞) 72현록(賢錄)》에도 들어 있는 양(瀁)이 있다.

 

그 밖의 인물로는 고려 말기의 좌참찬(左參贊-正二品) 부(府), 태종 때의 예문관직제학(藝文館直提學-從三品)덕지(德之), 선조 때의 황해도 관찰사관찰사(觀察使-從二品)를 역임한 철견(鐵堅) 등이 있고, 임진왜란(壬辰倭亂)을 전후하여 크게 활약한 기필(琦弼)· 균(均)· 경행(敬行) 등도 있다.

 

전주최씨는 경기 화성(華城), 전북 남원(南原)· 김제(金堤)· 부안, 전남 영암(靈巖) 등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2000년 국세조사에서는 인구수 39만 2548명, 가구수 12만 2147가구로, 최씨의 18%를 차지한다.

-----------------------------------------------------------------------------------------------------------------------------

●전주최씨 주요인물(全州崔氏主要人物)

영관(永寬) 최강(崔堈) 최경악(崔景岳) 최경행(崔敬行) 최계훈(崔繼勳)
최관(崔寬) 최광벽(崔光璧) 최균(崔均){1} 최균(崔均){2} 최기남(崔起南)
최기필(崔琦弼) 최내길(崔來吉) 최덕중(崔德重) 최덕지(崔德之) 최명길(崔鳴吉)
최명룡(崔命龍) 최문도(崔文度) 최방언(崔邦彦) 최병심(崔秉心) 최보순(崔甫淳)
최부(崔府) 최비일(崔毗一) 최사강(崔士康) 최사의(崔士儀) 최산휘(崔山輝)
최석문(崔錫文) 최석정(崔錫鼎) 최석진(崔錫晉) 최석항(崔錫恒) 최성대(崔成大)
최성지(崔誠之) 최송년(崔松年) 최수경(崔守慶) 최수로(崔守魯) 최순영(崔淳永)
최승우(崔昇羽) 최승태(崔承太) 최안(崔安) 최양(崔瀁) 최여관(崔汝寬)
최여녕(崔汝寧) 최여달(崔汝達) 최영림(崔榮林) 최우순(崔宇淳) 최욱영(崔旭永)
최유(崔濡){3} 최유경(崔有慶) 최윤개(崔允愷) 최은창(崔殷昌) 최응룡(崔應龍)
최응일(崔應一) 최이형(崔履亨) 최익남(崔益男) 최익수(崔益秀) 최재(崔宰)
최재덕(崔載德) 최재유(崔在裕) 최전구(崔銓九) 최정길(崔廷吉) 최정원(崔正元)
최지(崔池) 최창대(崔昌大) 최척경(崔陟卿) 최천건(崔天健) 최철견(崔鐵堅)
최칠석(崔七夕) 최탁(崔濯) 최탁(崔琢) 최팔용(崔八鏞) 최현(崔晛)
최혜길(崔惠吉) 최호진(崔虎鎭) 최후량(崔後亮) 최후상(崔後尙) 최후윤(崔後胤)
최희정(崔希汀) 휴정(休靜)

 

●분적 및 분파

문열공파는 예의판서공파(禮儀判書公波), 판윤공파(判尹公波), 양도공파(襄度公波), 지평공파(持平公波) 등의 지파로 나뉘고, 문성공파는 안렴사공파(按廉使公波). 대호군공파(大護軍公波), 판서공파(判書公波), 중랑장공파(中郞將公波)로, 문충공파는 군수공파(郡守公波), 현령공파(縣令公波), 절도사공파(節度使公波)등의 지파로, 사도공파는 완성군파(完城君波), 판서공파(判書公波), 총랑공파(摠郞公波)로 나뉜다.

 

●주요세거지

경기도 화성군 동탄면 방교리
경기도 화성군 동탄면 산청리
경기도 화성군 정남면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봉암리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화산리
경상남도 의창군 귀산면 남포리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 소오리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대암동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면 신후리
전라북도 익산군 삼기면
전라북도 익산군 왕궁면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수청리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구일리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참고문헌]

◇《성씨(姓氏)의 고향》 (중앙일보사, 1989)

◇통계청 2000년 인구 조사표

◇한국학중앙연구원자료

'■ 보학 > 성씨별관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 안동김씨(新 安東金氏)  (0) 2013.07.04
신.구 안동김씨의 차이점  (0) 2013.07.03
무안유씨(務安兪氏)  (0) 2012.07.05
평양조씨(平壤趙氏)  (0) 2012.07.04
전주류씨(全州柳氏)  (0) 2012.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