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성씨별관향

무안유씨(務安兪氏)

야촌(1) 2012. 7. 5. 03:13

■ 무안유씨(務安兪氏)

    [본관] 무안(務安)

    [본관소재지] 전라남도 무안군 (全羅南道 務安郡 )

    [시조명] 유천우(兪千遇)

------------------------------------------------------------------------------------------------------------------

●본관연혁

   무안(務安)은 전라남도 무안군 일대에 위치한 지명으로 백제 때 물아혜군(勿阿兮郡)이라 불렸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무안군(務安郡)으로 개칭하였고, 함풍(咸豊)· 다기(多岐)· 해제(海際)· 진도(珍島) 등의 영현(領縣)을 관할하였다.

 

944년(고려 혜종 1) 물량군(勿良郡)으로 고쳤으며, 991(성종 10)에는 다시 무안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 나주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감무(監務)를 두었고, 1391년(공양왕 3)에는 성산극포권농방어사(城山極浦勸農防禦使)를 겸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무안현으로 개편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면천(綿川)·면성(綿城) 등의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군이 되었으며 1897년 무안부(務安府)로 승격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목포부(木浦府)를 독립시키고 나머지 지방은 무안군이 되었다.

 

1957년에 면성면이 무안면으로 개칭되고, 1979년 무안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83년에 일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83년에 망운면 운남출장소가 운남면으로 승격하였다.

 

●씨족사의 개요(氏族史의 槪要)

 

  고려 원종 때 간신 최의(崔誼)를 축출하는데 공을 세운 유천우(兪千遇)가 무안 유씨의 시조이다. 유천우의 자는 지일(之一), 호는 퇴사재(退思齋)이다. 그는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삼중대광(三重大匡) 도첨의(都僉議) 겸 정당문학(政堂文學)과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를 역임했고, 찬성사(贊成事)에 까지 올랐다.

 

사후에 무안부원군(務安府院君)에 추봉되었고 문도(文度)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는 또한 삼중대광(三重大匡) 검교소부소감(檢校小府少監)을 지내고 장사군(長沙君)에 봉해진 유순직(兪舜稷)의 증손이다. 따라서 후손들이 장사(長沙)에서 분적하여 무안(務安)을 관향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유영원(兪永元)은 유천우(千遇)의 아들로서 이부상서(吏部尙書)와 좌복사(左僕射)를 지냈으며, 그의 아들 유윤수(兪允粹)는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와 우문관 대제학((右文館大提學)을 역임하였다.

 

송은(松隱) 유천(兪蕆)은 유윤수(兪允粹)의 아들로 태조(太祖) 1년 조선 개국으로 고려가 망함을 한탄하며, 태조 이성계가 누차 예조판서(禮曹參判: 正二品)의 벼슬을 주며, 불렀으나 사양하고 황해도 금천(黃海道 金川)에 은거 하였다.

 

죽촌(竹村) 유서(兪瑞)는 고려말 대호군(大護軍)을 지내고, 조선개국후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從三品)에 제수하였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아니하였다. 역암(易菴) 유희익(兪希益)은 세조(世祖) 1년 등과하여 성균관대사성(成均館 大司成-正三品)에 올라 무안유씨(務安兪氏)의 기틀을 다젔다.

 

그는 성리학(性理學)과 역학(易學)에 정통하여 인지의(印地儀=축척의 원리를 이용하여 거리와 높낮이를 측량하던 장치)의 발명과 도성(都城) 측량을 최초로 하는등 커다란 공적을 세웠으며, 효행으로 복호(復戶)가 내려지고, 정려(旌閭)가 명해지는 등 문장과 덕행이 뛰어났다고 한다.

 

우산(牛山) 유세호(兪世豪)는 성종때,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從二品)을 지냈다. 그는 학파(學派)의 대립을 외면하여, 사화(士禍)를 면하였고, 자손들에게 붕당(朋黨)을 멀리하게 함으로서 당쟁의 소용돌이에서 벗으나게 하는등 선견지명이 있었다.

 

홍은(洪隱) 유여정(兪汝貞)은 유세호(兪世豪)의 아들로 응교(應敎-正四品)에 올랐으나 분거(分居)하기위해 호서(湖西=충청도를 달리 이르는 말)로 낙향하여 연산군(燕山君-조선의 제10대왕, 재위1494~1506)의 폭정을 면하였다.

 

대덕(大德) 유복립(兪復立)은 선조(宣祖-조선의 제14대왕)때 수찬(修撰-正六品)을 지내다가 광해군이 등극한후 정치가 어지러워지자 이를 피하여, 청양 저운리(靑陽 貯運里)에 은거하여 후진양성에 힘써 산중재상(山中宰相)으로 칭호되었다.

 

유환방(兪煥邦)은 중추원의관(中樞院醫官)으로 있을 때, 경술국치(庚戌國恥=한일합방)를 당하자 항일조직인 애국단충남도단장(愛國團忠南道團長)을 지내면서 아들 유경재(兪暻在)와 함께 항일투쟁을 하다가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정부에서 이들부자(父子)에게 건국공로표창(建國功勞表彰)을 추서하고 충남 청양군 저운리(忠南 靑陽郡 貯運里)에 의사비(義士碑)를 세웠다.

 

●주요 세거지(世居地)와 변천

   유천우(兪千遇)의 자손들은 당시의 수도인 개성(開城)에서 살다가 고려조가 망하자 금천(金川-지금의 황해도 금천군)땅으로 옮겨가 살게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유천우(兪千遇)의 5대손 유정(兪定)의 대에 이르러 양주(楊州-지금의 경기도 양주시)로 가 그곳에 처음으로 터를 굳혔으며, 이후 누대에 걸쳐 세거해 왔다.

 

그러다가 유정(兪定)의 현손인 유세호(兪世豪)가 장차 파쟁(派爭)에 휘말려 들것을 염려하여 세 아들을 분거(分居)케하니, 맏아들 유여옥(兪汝沃)은 경상도로, 둘째아들 유여정(兪汝貞)은 충청도로 낙향(落鄕)하였고, 세째아들 유여흡(兪汝洽)은 그대로 양주(楊州)에 머물러 살았다.

 

뒤에 유여정(兪汝貞)의 자손들이 청양(靑陽)과 보령(保寧)에 나뉘어 정착 세거하였고, 유여흡(兪汝洽)의 자손들은 양주(楊州)의 회천(檜泉)에 많이 모여 살게되었다고 믿어진다.

 

1930년경 무안유씨(務安兪氏)는 충남 청양군 대치면(忠南靑陽郡 大峙面)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으며, 오늘날에는 아래의 지역에 많이 살고있다.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大峙面) 이화리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大峙面) 형산리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靑陽邑). 정산면(定山面). 비봉면(飛鳳面)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禮山邑)

◇충청남도 홍성군 은하면(銀河面)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利仁面).

◇충청남도 온양시(溫陽市)

◇경기도 양주시 회천동(檜泉洞)

◇경기도 포천시 소흘면(蘇屹面)

◇강원도 철원군 갈매면(葛梅面)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무안유씨는 2,092가구 총 6,629명. 그 중 남자는 3,213명. 여자는 3,416명인 것으로 나타나 있다.

 

●무안유씨 제차 항렬표(務安兪氏 第次 行列表)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濟◯ ◯植 炳◯ ◯朝 善◯ ◯洙 榮◯ ◯熙 志◯ ◯鎔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淳◯ ◯采 然◯ ◯老 鎭◯ ◯漢 本◯ ◯燁 基◯ ◯鎬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51세 52세 53세 54세 55세
求◯ ◯杓 性◯ ◯載 鏞◯ ◯雨 根◯





 

●역대주요인물

 

◯고려조

◇유순직(兪舜稷): 군호: 장사군(長沙君). 관직: 소부소감(小府少監)

◇유천우(兪千遇): 字: 지일(之一). 호: 퇴사재(退思齋). 시호: 문도(文度). 관직: 평장사(平章事)

◇유영원(兪永元): 이부상서吏部尙書)

◇유윤수(兪允粹): 대사성(大司成)

◇유천(蕆): 호: 송은(松隱). 관직: 예의판서(禮儀判書)

◇유서(瑞): 호: 축촌(竹村). 관직: 대호군(大護軍)

 

◯조선조

◇유희익(兪希益); 자: 이렴(而濂). 호: 역암(易菴). 관직: 대사성(大司成).

◇유세호(兪世豪): 자: 사언(士彦). 호: 우산(牛山). 관직: 제학(提學).

◇유여정(兪汝貞): 자: 계열(季烈). 호: 홍은(洪隱). 관직: 응교(應敎)

◇유복립(兪復立): 자: 이길(爾吉). 호: 대덕(大德). 관직: 수찬(修撰)

 

◯과거급제자

◇고려조: 유천우(兪千遇)/고종조 문과

◇조선조: 유희익(兪希益)/세조 1년 문과 성균관 대사성

 

 

●유적(遺蹟)

◇시조제단소: 경기도 양주시 회천동(舊: 檜泉邑 玉井里 茂山)

◇재우(齊宇): 추원단(追遠壇). 송산서원(松山書院)

◇ 비(碑): 대사성공 유희익 묘비(大司成公 兪希益 墓碑)

◇수찬공 유복립 묘비(修撰公 兪復立 墓碑)

 

 

●족보간행년도(族譜刊行年度)

◇甲子譜): 순조 4년/1804. *계축보(癸丑譜): 철종 4년/1853 *갑술보(甲戌譜/1934년)

  *신축보(辛丑譜/1961년)

◇무진보(戊辰譜/1988년)

 

●시조향사(始祖享祀) : 매년 음력 10월 5일

 

[참고문헌]

◇《성씨(姓氏)의 고향》 (중앙일보사, 1989)

◇통계청 2000년 인구 조사표

 

李在薰

'■ 보학 > 성씨별관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구 안동김씨의 차이점  (0) 2013.07.03
전주최씨(全州崔氏)  (0) 2012.07.16
평양조씨(平壤趙氏)  (0) 2012.07.04
전주류씨(全州柳氏)  (0) 2012.05.28
전주류씨 연원(全州柳氏 淵源)  (0) 2012.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