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문집.고서.문헌

쇄미록(鎖尾錄) - 吳希文 著

야촌(1) 2010. 7. 12. 16:29

■ 임진왜란의 생생한 증언 기록,「쇄미록(鎖尾錄)」

 

「쇄미록」은 조선중기의 학자 오희문[吳希文 : 1539(중종 34)~1613(광해군 5)]이 쓴 일기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인 1591년(선조 24) 11월부터 시작하여 1601년(선조 34) 2월까지 9년 3개월간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제목을 「쇄미록」이라 한 것은 『시경(詩經)』의 ‘쇄혜미혜(瑣兮尾兮) 유리지자(遊離之子)’에서 나온 것으로, 유리기(遊離記) 또는 피난의 기록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쇄미록』은 장기간에 걸쳐 쓴 전란의 기록물이며, 생활사 연구에 단서가 되는 다양한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쇄미록」의 전반부는 임진왜란의 발발과 여러 지역을 전전하는 힘겨운 피난 행적이 중심을 이룬다. 일기를 보자.

 

☞16일 : 전하는 말에 왜선(倭船) 수백 척이 부산에 모습을 나타냈다 하더니 저녁에는 부산과 동래가 모두 함락되었다는 소문이 들리니 놀라움을 이길 수가 없다. 생각큰대 성주(城主)가 굳게 지키지 못한 까닭이다.

[十六日 : 傳道倭船數百隻 現形於釜山 夕聞釜山東萊見陷 不勝驚愕 意爲城主之不堅守也]

 

☞[19일 : 영남에서 변의 보고가 하루에 세 번이나 왔는데, 용맹스러운 장수와 강한 군사가 왜병의 소식만 듣고 먼저 무너지고, 큰 고을과 견고한 성이 하루도 못되어 함락되었다고 한다. 왜병은 세 길로 나누어 바로 서울로 향하여 산을 넘고 강을 건너서 마치 사람이 없는 데로 들어가듯이 한다.

 

신립(申砬), 신립(李鎰) 두 장수는 조정에서 믿는 바로 견고하게 지킬 줄 알았는데, 부월(斧鉞)을 받고 와서 지키다가 중도에서 패배당하여 조령의 요새를 지켜내지 못하였다. 이에 적이 중원(中原)으로 들어가서 대가(大駕)가 서쪽으로 파천(播遷)하고 도성을 지키지 못했으니 슬프다.

 

우리 생령(生靈)들이 모두 흉한 칼날 앞에 피를 흘리고 늙은 어머니와 처자가 흩어져 이리저리 떠돌게 되어 생사를 알지 못하니 밤낮으로 통곡할 뿐이다.

 

[十九日: 嶺南之報變 日夕三至 猛將猂卒 聞風而先潰 大府堅城不日而失守 分兵三路 直向京城 踰山越江 如入無人 申李兩將 朝廷之所恃而爲固 受鉞來禦 中道見`敗 鳥嶺失險 賊入中原 大駕西巡 都城不守 哀我生靈 盡爲凶鋒之膏血 老母妻子 遊離飄落 未知生死 日夜痛哭而已]

 

 

1592년 7월의 여름은 오희문에게 무척이나 더웠다. 피난의 고통이 처절했던 것은 7월 초부터 한 달 이상 거의 매일을 산 속 바위 밑에서 지낸 것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초 4일: 산 속에서 바위 밑에서 잤다.

 

☞초 5일: 산 속 바위 밑에 있었다. 아침에 사람을 보내서 현에 가서 적의 소식을 알아오게 하고 또 두 종을 보내서 감추어둔 바위구멍에서 옷을 가져다가 추위를 막을 계획을 세웠다.

 

☞초 6일: 산 속 바위 밑에 있었다.…… 꿈에 경여 내외를 보았으니 이는 무슨 까닭인가?

 

☞초 7일: 골짜기 산 속 시냇가에서 잤다. 이 날은 곧 칠석 가절(佳節)이다.…… 갓모를 쓰고 밤을 새웠다. 이 밤의 괴로움은 입으로 형용해 말할 수가 없다. 꿈에 윤겸이 보이는데 딴 사람은 관동(館洞) 별실에 있고 윤겸이 밖에서 들어오더니 기둥 밖에서 절을 했다.

☞초 8일: 골짜기 속 시냇가에서 잤다. 이 날은 곧 선군의 생신이다.

 

☞초 9일, 10일: 골짜기 속 시냇가에서 잤다.

 

☞11일, 12일: 산 속 바위 밑에서 잤다. 대개 적의 형세가 번져서 전일에 진안에 있던 적은 웅현(熊峴)을 넘어서 전주 땅에 진을 쳤고 영남의 적은 이미 무주 경계에 이르렀으니 반드시 합세해서 진주성을 삼키려는 것이다.

 

☞8월 초 1일: 산 속 바위 밑에서 잤다. 내가 산 속에 들어온 후로 장차 한 달이 넘어 절기가 중추로 접어드니 찬 기운이 사람을 엄습하여 갑절이나 처량하다. 깊이 노모와 처자를 생각하면 지금 어느 곳에 있으며 아직도 보존하고 있는지? 생각이 여기에 미치니 어찌 비통하지 않으리오.

壬辰 八月 初一日: 在山中 宿岩下 自余入山 今將月餘 節入 中秋 寒氣襲人 倍常淒冷 深思老母妻子 今在何處 而尙得保存乎 念及於此 寧不悲痛]

 

 

 

↑쇄미록 : 문화재청 홈페이지 인용

 

전쟁에서 저자 오희문(吳希文=영의증을 지낸 추탄 오윤겸의 아버지)이 경험한 여러 참상들에 대한 기록들은 당대에도 전쟁이 얼마나 인간을 비참하게 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 어제 오는 길에 7, 8세 되는 아이를 보니 큰 소리로 통곡하고 있고, 여인 하나는 길가에 앉아서 역시 얼굴을 가리고 슬피 울고 있었다. 괴이해서 그 까닭을 물어보니 대답하기를, 지금 내 남편이 우리 모자(母子)를 버리고 갔다고 한다. 

 

무엇 때문에 버리고 갔느냐고 물었더니 대답하기를, 세 사람이 떠돌면서 걸식했는데 이제는 더 빌어먹을 곳이 없어서 장차 굶어 죽게 되었으므로 내 남편이 우리 모자를 버리고 갔으니 우리 모자는 정녕 굶어 죽게 되었기에 우는 것이라 한다.……

 

슬프다. 창생이 장차 다 없어지고 하나도 남지 않으려는가. 탄식함을 이기지 못하겠다.

[癸巳 七月 十五日: 且昨日來 路見 七八歲兒童 鼓聲痛哭 有女左路傍 亦掩面悲泣 怪而問之 則答曰 金刻我夫棄我母子而去 余曰 何以棄去 又曰 三人遊離乞食 而今則乞不得 將爲餓死 故我夫棄我母子而獨去 我將此饑死丁寧 以此哭之云云……哀我蒼生 其將盡而靡遺矣 可勝歎哉]

 

☞길에서 굶어 죽은 시체를 거적으로 말아서 덮어둔 것을 보았는데, 그 곁에 두 아이가 앉아서 울고 있다. 물었더니 그 어미라 한다. 어제 병으로 죽었는데 그 뼈를 묻으려 해도 비단 저들 힘으로 옮길 수 없을 뿐 아니라 또 땅을 팔 도구를 얻을 수가 없다고 한다. 

 

조금 있다가 나물 캐는 여인이 광주리에 호미를 가지고 지나가므로 두 아이가 말하기를, 그 호미를 얻으면 땅을 파고 묻을 수 있다고 한다. 슬프고 탄식스러움을 이길 수가 없다.

[甲午 二月 十四日: 且路見餓屍 以藁席掩覆 傍有兩兒坐立 問之則曰 其母也 昨日病餒 而死 欲埋其骨 非但力不能移動 又不得堀土之具云 頃之有菜女 持筐荷鋤而過去 兩兒曰 若借得此鋤 則可以掘土而埋之云 聞來不勝哀歎哀歎]

 

전쟁의 참상은 사람을 서로 잡아먹는 전언에 이르러서 절정에 달하고 있다. ‘그윽히 들으니 영남과 경기에서는 사람들이 서로 잡아먹는 일이 많아서, 심지어 육촌의 친척도 죽여가지고 씹어 먹는다 하기에 항상 상서롭지 못하다고 했더니, 이제 다시 들으니 서울근처에서 전일에는 비록 한 두 되의 쌀을 가진 자라도 죽이고 빼앗는데, 근 일에는 사람이 혼자 가면 쫓아 가서라도 죽여 놓고 먹는다.’

「갑오일록」, 갑오 4월 2일)는 표현에서는 전쟁이 인간을 얼마나 극한 상황까지 몰고 갈 수 있는지를 접하게 한다.

 

위에서 「쇄미록」의 내용의 일부를 소개해 보았다. 우선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오희문의 철저한 기록정신이다. 전쟁 속에서도 거의 매일의 일기를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자신이 직접 경험한 피난 생활을 비롯하여 조정에서 들은 전황과 의병의 활약상, 각종 제사와 상업 행위, 질병과 치료, 여가 생활 등 다양한 내용들을 모두 담았다. 

 

이러한 기록들은 임진왜란이라는 전쟁의 상황과 그 속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생생히 전달하고 있다.

이외에도 「쇄미록」에는 오희문의 관직에 대한 집념, 가문의 영광을 위한 모색, 외가와의 인연, 아들에 대한 기대, 딸과의 친분, 꿈속에 등장하는 가족 등 오희문 개인의 생각을 보여주는 내용들이 다수 기록되어 있다. 

 

한 개인의 일기 기록이지만 당대의 사회상과 그와 함께 살아갔던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된다. 조선중기 생활사의 보고(寶庫)가 되는『쇄미록』에 대한 활발한 연구들을 기대한다.

 

글쓴이 : 신병주(건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

●오희문(吳希文)의 세계도

  

  1世(始祖) 오인유(吳仁裕) *고려 검교군기감(高麗 檢校軍器監)

                       ㅣ

  2世            주예(周裔) 內庫副使

                       ㅣ

  3世           민정(民政) 秘書省監(文科出身)

                      ㅣ

  4世            찰(札) 太子詹事(文科出身)

                      ㅣ

  5世            승(昇) 東大悲院錄事

                    ㅣ

  6世          효순(孝純)-효충(孝冲)

                 (知白州事) (倉丞) 

                   ┌────

  7世        사운(士雲)--사렴(士廉)--광정(光廷)

               (泰安郡守)    (書雲觀正)  (工曹典書)

                                        ㅣ

  8世                            희경(吳希敬)--희보(希保)

                                    (中和郡事)     (領護軍)

                    ┌───────

  9世         중로(重老)

                    ㅣ

 10世        계선(繼善)-계종(繼宗)

                    ㅣ

 11世        옥정(玉貞)

                     ㅣ

12世        경안(景顔)-경순(景醇)-경민(景閔)                                           

                 縣監            縣監                ㅣ

              (進士試)                 13世   희문(吳希文)-희인(希仁) 出系

                                                             ㅣ

                                              14世  윤겸(允謙)-윤해(允諧-出系)---여(女)--------윤함(允諴)-윤성(允誠)

                                                        추탄공                                           (申應槼 妻)    縣監             縣監

                                                     (楸灘公)                                                                (進士試) 

                                                      領議政                

                                                    配位 慶州李氏 ----측실 덕수이씨(側室德水李氏)

                                                         ㅣ                           ㅣ

                                                         ㅣ                           ㅣ

                                                         ㅣ                        달조(達朝)-달원(達遠)-달사(達士)

                                                         ㅣ

                                                         ㅣ

                ┌────────┘                                                                 

 15世    달천(達天)-달주(達周)--여(女)---------여(女)     

             군수공          현령공           정두망 처       구봉서 처

          (郡守公)      (縣令公)      (鄭斗望 妻)   (具鳳瑞 妻)

 

작성자>이재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