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당록(湖堂錄)
조선조때 세종-숙종 간에 인재양성제도의 하나로 호당(湖堂)이란 제도가 있었는데 글재주와 덕이 있고 장래가 유망한 젊은 초급관리 중에서 대제학이 엄히 선발하여 장기 휴가를 주어서 공부 즉 독서에 전념하도록 하는 제도였다.
그래서 이를 독서당(讀書堂) 또는 사가독서(賜暇讀書: 휴가를 내려서 독서하게 한다)라고도 불렀다. 요즈음으로 말하면 초급관리 연수 또는 보수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세종 20년(1428)에 임금이 집현전 대제학 변계량을 시켜서 권채 등 3인을 뽑아서 장의사(藏義寺: 지금의 서울 구기동 구기초등학교 자리에 있었다 함)에서 공부하게 한 것을 시작으로 총 38회 269인이었다.
최초는 장의사, 세종24년의 2차는 진관사(현재 북한산 비봉 북쪽 진관내동에 있음) 등 한적한 산사(山寺)를 택하여 공부하게 하다가 중종 10년(1515)에 두모포(豆毛浦: 지금의 옥수동)에 건물을 짓고 [湖堂](호당)이란 현판을 붙였기 때문에 이때부터 호당(湖堂)이라 불렀다.
호당에 선발된 사람은 조선조 관리중의 엘리트로 인정 받는 것이기 때문에 등과에 비할 수 없는 큰 가문의 영광이다.
따라서 호당에 선발된 사실은 당연히 족보에 기록된다. 보통 ‘賜暇讀書’, ‘讀書堂’, ‘選湖堂’등으로 기록된다.
‘湖堂(호당)’이란 글자 그대로 하면 ‘호수가의 집’인데 두모포 즉 지금의 옥수동 한강 가에 독서당을 지어놓고 호당이라 한 것이다. 왜 하필 호당이라 하였을까? 한강이 한양을 지나면서 여러 개의 이름을 얻는다.
용산강(龍山江: 지금의 한강대교 부분), 마포강(麻浦江: 지금의 마포대교 부분), 서강(西江: 지금의 서강대교 부근) 등인데 유독 동강(東江)은 없고 동호(東湖)가 있다. 지금의 동호대교 부근을 말한다. 다른 곳은 모두 ‘강(江)’이라 불렀는데 이 곳 만은 ‘호(湖)’라 한 것이다.
지금은 하류 행주나루 아래 수중보를 막아서 한강의 어디를 보나 강 같지않고 호수같이 잔잔하다.
그러나 옛날에는 강 폭이 좁은 곳은 물살이 빠르고, 강폭이 넓은 곳은 물살이 없이 잔잔하고 조용하였다.
금호대교 위를 전철을 타고 지나며 유심히 보노라면 이 곳 강폭이 다른 어느 곳보다 넓다.
그래서 한강에 수중보가 없던 옛날에도 이 곳은 강처럼 물살이 빠르지 않고 호수처럼 조용하고 잔잔했다.
이 것이 이 부분을 ‘동강(東江)’이라 하지 않고 ‘동호(東湖)’라 하게 된 이유다.
호수 같은 잔잔한 물결이 마치 비단을 펼쳐 놓은 것처럼 아름다우니 ‘금호(錦湖)’라 하였는데, 거기에다 당시로는 서울의 맨 상류이니 물이 맑기가 마치 옥(玉) 같으니 ‘옥수(玉水)’라 하였다.
이런 강물의 이름들이 지금의 동호대교, 금호동, 옥수동의 이름이 된 것은 말 할 것도 없다.
이 호수(湖水) 같은 물가에 독서당 집(堂)을 지어 ‘호당(湖堂)’이라 부르는 것은 극히 자연스러운 일이 아니겠는가.
또 이 곳에는 두모포(豆毛浦)라는 포구(浦口)가 있었다. 지금의 옥수동이다.
세종 때 팔삭동이로 능직이로 출발하여 수양대군의 야심을 부채질하여 조카 단종을 몰아내 죽이고 임금이 되도록 한 공으로 정난(靖難), 좌익(佐翼), 익대(翊戴), 좌리(佐理) 4공신의 1등공신이 된 세조의 측근 중의 측근 한명회(韓明澮)가 만년에 이 곳 강 건너에 화려한 정자를 짓고 압구정(狎鷗亭)이라 하여 지금의 압구정동 이름을 낳았는데 그 위치도 강 차안에 두모포 포구가 있었기 때문에 이 곳으로 잡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호당에 선발되어 일정기간 독서(공부)하는 동안에 어떠한 교육이 이루어 지는지 자료를 구하지 못하였으나 좋은 환경 특히 개인적으로 구하기 힘든 도서들을 잘 갖추어 놓고 자유스럽게 독서하면서 자습하게 하였던 것 같다.
대동야승(大東野乘)에 1권 용제총화(慵齊叢話)의 기록에 따르면 “세종께서 처음으로 집현전을 설치하여 문학 하는 선비를 모아놓고 조석으로 불러 물으면서도 오히려 문학이 떨치지 못할까 걱정하시고 공궤(供憒) 하기를 심히 풍성하게 하였다.
정통(正統: 중국 명나라 영종 때 연호) 임술(壬戌:세종24년,1442)에 평양(平陽) 박인수(朴仁叟: 朴彭年), 고령(高靈) 신범옹(申泛翁: 申叔舟), 한산(韓山) 이청보(李淸甫: 李塏), 창년(昌寧) 성근보(成謹甫: 成三問), 적촌(赤村) 하중장(河仲章: 河緯地), 연안(延安) 이백옥(李伯玉: 李石亨)이 왕명을 받들어 삼각산 진관사(津寬寺)에서 독서 할 제 학업을 부지런히 하면서도 시문(詩文)을 지어 증답(贈答)하기를 쉬지 않았다”고 전하고 ‘고산방석(高山放石)’, ‘지등(紙燈)’, ‘문적(聞笛)’등 연구시(聯句詩; 한 개의 시제를 놓고 여러 사람이 돌아가면서 한 구절씩 지은 시) 14수나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배석했던 일암(一庵)이라는 스님이 적어서 전한 것이라 한다. ‘고산방석’ 한 수만 기록해 본다.
이처럼 호당은 자유스럽고 여유있는 가운데 자습을 통해 공부하기 때문에 함께 든 동료 간에는 돈독한 우정을 갖게 되고 선의의 경쟁을 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호당에서 공부한 사람들 중에서 삼공(三公: 政丞), 육경(六卿: 六曺判書), 문형(文衡: 大提學) 등 높은 관직에 오른 사람이 많다.
호당록(湖堂錄
연도 | 대제학 | 인원 | 호 당 |
세종 20년(1438) | 변계량(卞季良) | 3 | 권채(權採)=우승지 안동인, 남수문(南秀文)=직학 고성인, 신석조(辛碩祖)=이참 영산인 |
세종 24년(1442) | 권제(權踶) | 6 | 신숙주(申叔舟)=영상 고령인, 박팽년(朴彭年)=형참 순천인, 성삼문(成三問)=승지 창녕인, 하위지(河緯地)=예참 진주인, 이개(李塏)=직학 한산인, 이석형(李石亨)=판중 연안인 |
문종 1년(1451) | 정인지(鄭麟趾) | 15 | 홍응(洪應)=좌상 남양인, 최항(崔恒)=영상 삭녕인 , 박원향(朴元享)=영상 죽산인, 이영서(李永瑞)=교리 평창인. 김수온(金守溫)=영중추 영동인 , 서거정(徐居正)=문형 달성인, 유성원(柳誠源)=대사성 문화인, 이극감(李克堪)=형판 광주인, 이승소(李承召)=예판 양성인, 강희맹(姜希孟)=찬성 진주인, 허조(許造)=수찬 양천인, 박기년(朴耆年)=수찬 순천인 박팽년 제. 이파(李坡)=찬성 한산인 이개제, 성간(成侃)=수찬 창년인, 김수녕(金壽寧)= 호판.安東人 |
단종 1년(1453) | 신숙주(申叔舟) | 5 | 노사신(盧思愼)=영상 교하인, 이숙함(李淑함)=이참 연안인, 임원준(任元濬)=참찬 풍주인, 어세겸(魚世謙)=좌상 함종인, 정난종(鄭蘭宗)=참찬. 東萊人 |
세조 1년(1455) | 최항(崔恒) | 6 | 홍귀달(洪貴達)=대제학 부계인(缶溪人), 최숙정(崔叔精)=부학 양천인, 노경동(盧瓊仝)=대헌 ?, 성현(成俔)=판서. 昌寧人 안침(安琛)=판서 순흥인, 표연수(表沿洙)=제학 신창인 |
성종 1년(1470) | 서거정(徐居正) | 16 | 채수(蔡壽)=대헌 평강인, 김흔(金訢)=공의 연안인, 조지서(趙之瑞)=증도승지 임천인, 양희정(楊熙正)=대헌. 南原人 유호인(兪好仁)=교리 고령인, 조위(曹偉)=호참 창녕인, 허침(許琛)=우상 양천인, 이의무(李宜茂)=사간 덕수인, 권건(權健)=승지. 安東人 신종호(申從頀)=예참 소령인, 최부(崔溥)=사간 나주인, 박증영(朴增榮)=교리 밀양인, 권경유(權景裕)=교리 안동인, 이달선(李達善)=知製敎. 光山人 이주(李胄)=정언 고성인, 이승건(李承健)=감사 우봉인 |
성종 23년(1492) | 어세겸(魚世謙) | 9 | 이종준(李宗準)=사인 慶州人 신용개(申用漑)=좌상 고려인, 김일손(金馹孫)=기사관 김해인, 강혼(姜渾)=판중 진주인, 최숙생(崔淑生)=찬성 경주인, 권오복(權五福)=교리 예천인, 김감(金勘)=찬성 연안인, 이희순(李希舜)=이좌 안악인, 이과(李顆)=대간. 全義人 |
성종 23년(1492) | 어세겸(魚世謙) | 6 | 홍언충(洪彦忠)=교리. 부계인(缶溪人) 정희량(鄭希良)=선무랑(宣務郞). 해주인, 김천령(金千齡)=직학 경주인, 박은(朴誾)=수찬 고령인, 임희재(任熙載)=정자 풍천인, 허즙(許즙)=지중 양천인 |
연산 1년(1495) | 홍귀달(洪貴達) | 6 | 김전(金詮)=영상 연안인, 권달수(權達手)=교리 안동인, 이원(李黿)=예조좌랑. 慶州人, 남곤(南袞)=영상 의령인, 성중엄(成重淹)=홍박 ?, 이목(李穆)=평사 평안인 |
중종 1년(1506) | 김감(金勘) | 8 | 이행(李荇)=좌상 덕수인, 김세필(金世弼)=이참 경주인, 이항(李沆)=찬성. 함평인(咸平人) 박상(朴祥)=목사. 忠州人 이희보(李希輔)=대성 평양인, 이장곤(李長坤)=찬성 벽진인, 김안국(金安國)=찬성 의성인, 이희증(李希曾)=수찬 합천인, |
중종 9년(1514) | 신용개(申用漑) | 18 | 이자(李耔)=참찬 한산인, 유운(柳雲)=대헌 문화인, 최세절(崔世節)=호참 강릉인, 김안로(金安老)=영상 연안인, 김정(金淨):형조판서. 慶州人 어영준(魚泳濬)=사인 함종인, 심의(沈義)=공조좌랑. 豐山人 민수천(閔壽千)=대성 여흥인, 김정국(金正國)=예참. 義城人 홍언필(洪彦弼)=영상 남양인, 성세창(成世昌)=좌상 창녕인, 소세양(蘇世讓)=대학 진수인, 정사룡(鄭士龍)=공조판서. 東萊人 황여헌(黃汝獻)=부사 장수인, 이언호(李彦浩)=觀察使. 韓山人 이여(李여)=수찬 고성인, 채침(蔡忱)=대헌 평강인, 신광한(申光 )=찬성 고령인 |
중종 11년(1516) | 남곤(南袞) | 22 | 한충(韓忠)=수사 청주인, 김구(金絿)=홍문관부제학. 光山人 윤자임(尹自任)=승지 파평인, 최두(崔두)=사인 광양인, 심언광(沈彦光)=이판 삼척인, 박세희(朴世熹)=승지 상주인, 정응(鄭應)=전적 동래인, 유성춘(柳成春)=이좌 선산인, 이약수(李若水)=生員. 廣州人 기준(奇遵)=응교 행주인, 장옥(張玉)=判校(正三品). 덕수인, 조광조(趙光祖)=대헌 한양인, 남주(南趎)=전적 고성인, 황효헌(黃孝獻)=이판 장수인, 이충건(李忠楗)=이좌 성주인, 양팽손(梁彭孫)=교리 제주인, 구수복(具壽福)=이정 능성인, 권운(權雲)=교리 안동인, 윤형(尹衡)=사성 해남인, 심사순(沈思順)=副提學. 豊山人 임백령(林百齡)=右贊成. 善山人, 송순(宋純)=右參贊. 新平人=지금의 당진 |
중종 18년(1539) | 이행(李荇) | 12 | 윤풍형(尹豊亨)=감사 칠원인, 허백기(許伯琦)=참판 김해인, 민제인(閔齊鱗)=찬성 여흥인, 송인수(宋麟壽)=대헌 은진인, 홍서주(洪敍疇)=충감 남양인, 허항(許沆)=이참 양천인, 주세붕(周世鵬)=참판 상주인, 허자(許磁)=찬성 양천인, 박홍린(朴洪鱗)=대헌 함양인, 최연(崔演)=판윤 江陵인, 엄흔(嚴昕)=한림 영월인, 홍춘경(洪春卿)=감사 남양인 |
중종 26년(1531) | 김안로(金安老) | 5 | 조사수(趙士秀)=이판 양주인, 박충원(朴忠元)=이판 밀양인, 홍섬(洪暹)=영상 남양인, 송기수(宋麒壽)=이판 은진인, 송구수(宋具壽)=이판 은진인 송기수 제 |
중종 33년(1538) | 소세양(蘇世讓) | 9 | 임세(任說)=판윤 풍천인, 김기(金祺)=수찬 연안인, 정응두(鄭應斗)=찬성 나주인, 오상(吳祥)=이판 해주인, 이승효(李承孝)=수찬 전의인, 임형수(林亨秀)=목사 전의인, 남응룡(南應龍)=공의 의령인, 윤인노(尹仁怒)=호참 파평인, 윤현(尹鉉)=호조판서.청백리 坡平人 |
중종 39년(1544) | 성세창(成世昌) | 16 | 나세찬(羅世纘)=대헌 나주인, 이황(李滉)=대제학 진보인, 정유길(鄭惟吉)=좌상 동 래인, 이홍남(李洪男)=공의 ?, 유희춘(柳希春)=부제학 선산인, 민기(閔箕)=우상 여흥인, 김주(金澍)=예참 안동인, 민기문(閔起文)=부제학 여흥인, 박승임(朴承任)=대사간 반남인, 김인후(金麟厚)=교리 울산인, 이담(李湛)=감사 용인인, 윤희성(尹希聖)=이정 파평인, 이원록(李元祿)=공의 德水人, 이행(李荇)의 子 노수신(盧守愼)=영상 광주인, 윤춘년(尹春年)=이판 파평인, 윤결(尹潔)=수찬 남원인 |
명종 8년(1553) | 신광한(申光漢) | 11 | 한지원(韓智元)=이좌 청주인, 박민헌(朴民獻)=참판 반남인, 심수경(沈守慶)=우상 풍산인, 허엽(許嘩)=觀察使. 陽川人 유순선(柳順善)=감사 진주인, 김귀영(金貴榮)=좌상 상주인, 김홍도(金弘度)=전한 안동인, 김질충(金質忠)=교리 광산인, 윤의중(尹毅中)=참찬 해남인, 김계휘(金繼輝)=대사헌 광산인, 안수(安璲)=홍문관박사. 순흥인 |
명종 10년(1555) | 정사룡(鄭士龍) | 10 | 이량(李樑)=이판 전주인, 박계현(朴啓賢)=예판 밀양인, 양응정(梁應鼎)=대사성. 濟州人 홍천민(洪天民)=도승지. 南陽人 강극성(姜克誠)=사인. 晉州人 박응남(朴應南)=대사헌 반남인, 유전(柳琠)=영상 문화인, 강사필(姜士弼)=감사. 晉州人 박순(朴淳)=영상 청주인, 최옹(崔顒)=예판 반남인 |
명종 18년(1563) | 홍섬(洪暹) | 5 | 이후백(李後白)=이판 연안인, 기대승(奇大升)=대사헌 행주인, 이산해(李山海)=영상 한산인, 신응시(辛應時)=부제학 영월인, 심의겸(沈義謙)=觀察使. 靑松人 |
명종 22년(1557) | 박충원(朴忠元) | 6 | 윤근수(尹根壽)=문형 해평인, 구봉령(具鳳齡)=이참 능성인, 정철(鄭澈)=좌상 연일인, 이해수(李海壽)=부제학 전의인, 이이(李珥)=병판 덕수인, 홍성민(洪聖民)=대제학. 南陽人 |
선조 3년(1570) | 박순(朴淳) | 2 | 정유일(鄭惟一)=승지. 동래인, 유성룡(柳成龍)=영상 풍산인 |
선조 6년(1573) | 김귀영(金貴榮) | 4 | 김효원(金孝元)=부사 선산인, 김우옹(金宇顒)=이참 의성인, 허부(許符)=전한(典翰). 양천인 홍적(洪迪)=집의 남양인 |
선조 7년(1574) | 김귀영(金貴榮) | 4 | 이성중(李誠中)=호판 광산인, 김성일(金誠一)=감사 의성인, 이발(李潑)=대사간 광주인, 유근(柳根)=찬성 진주인 |
선조 8년(1575) | 김귀영(金貴榮) | 4 | 김응남(金應南)=좌상 나주인, 김첨(金瞻)=교리 안동인, 이길(李洁)=응교.光山人.이발(李潑)의 第 최운부(崔雲溥)=한림 강릉인 |
선조 16년(1583) | 이이(李珥) | 7 | 심희수(沈喜壽)=좌상 청송인, 홍이상(洪履祥)=대사헌 풍산인, 정창연(鄭昌衍)=좌상 동래인, 이항복(李恒福)=영상 慶州人, 이덕형(李德馨)=영상 廣州人, 이정립(李廷立)=참판. 廣州人 오억령(吳億齡)=판서 동복인 |
선조 18년(1585) | 이산해(李山海) | 1 | 이호민(李好閔)=예판 연안인 |
선조 22년(1589) | 유성룡(柳成龍) | 2 | 한준겸(韓浚謙)=우상 청주인 , 정경세(鄭經世)=대제학 진주인 |
선조 24년(1591) | 유성룡(柳成龍) | 6 | 이경전(李慶全)=참찬 한산인 이산해 자, 이유징(李幼澄)=지사 전주인, 이상홍(李尙弘)=교리 여흥인, 임몽정(任蒙正)=이의 풍천인, 김선여(金善餘)=한림 강릉인, 기자헌(奇自獻)=영상 행주인 |
선조41년(1608) | 유근(柳根) | 12 | 이이첨(李爾瞻)=대제학 광주인, 홍서봉(洪瑞鳳)=영상 남양인, 김상헌(金尙憲)=좌상 안동인(新), 조희일(趙希逸)=참판 임천인, 김치(金緻)=감사 안동인, 유소(柳瀟)=부학 고성인, 정광성(鄭廣成)=형판 동래인 정창연 子, 목대흠(睦大欽)=승지 사천인, 이지완(李志完)=형판 驪州人, 이민성(李民宬)=승지 영천인, 이후(李厚)=정랑 한산인 이산해 손자, 28세요절 이구(李久)=한림 한산인 이산해 손, |
광해 8년(1616) | 이이첨(李爾瞻) | 12 | 박정길(朴鼎吉)=참판. 密陽人 손강(孫綱)=집의 밀양인, 유활(柳活)=정랑 興陽人=지금의고흥, 유숙 제, 유희발(柳希發)=이조참의. 文化人 유희량(柳希亮)=예참. 文化人. 유희발 제, 고용후(高用厚)=判決事. 長興人 홍도(朴弘道)=승지 죽산인, 정준(鄭遵)=義州府尹. 海州人 임성지(任性之)=.부덕(輔德). 豊川人 이위경(李偉卿)=부제학 전의인, 김기국(金耆國)=예판 청풍인, 유약(柳瀹)=형조정랑. 興陽人=전남고흥 |
인조 1년(1623) | 김류(金瑬) | 14 | 조익(趙翼)=좌상 풍양인, 이식(李植)=대제학 덕수인, 이민구(李敏求)=예조참판 全州人 이명한(李明漢)=대제학 연안인, 장유(張維)=우상 덕수인, 정백창(鄭百昌)=감사 진주인, 임숙영(任叔英)=지평 풍천인, 정홍명(鄭弘溟)=대제학. 延日人 김세렴(金世濂)=호판 선산인, 오숙(吳䎘)=天坡監司. 해주인, 이경여(李敬輿)=영상 전주인, 이경의(李景義)=이판 연안인, 이경석(李景奭)=영상 완산인, 이소한(李昭漢)=형참 연안인 명한 제, 윤지(尹墀)=감사. 海平人 |
인조 6년(1628) | 장유(張維) | 3 | 조경(趙絅)=대제학 한양인, 조석(趙錫)=대사헌 백천인, 박의(朴漪)=교리. 潘南人=지금의羅州임. |
인조 10년(1632) | 최명길(崔鳴吉) | 3 | 채유후(蔡裕後)=대제학 평강인, 구봉서(具鳳瑞)=감사 능성인, 이상질(李尙質)=弘文館校理. 전주인 |
효종 6년(1655) | 채유후(蔡裕後) | 6 | 김수항(金壽恒)=영상 안동인, 남용익(南龍翼)=대제학 의령인, 이은상(李殷相)=형조판서. 연안인, 홍위(洪葳)=감사 남양인, 이단상(李端相)=부제학 연안인, 안후세(安後說)=승지 광주인 |
숙종 8년(1682) | 이민서(李敏敍) | 6 | 조지겸(趙持謙)=부제학. 豊壤人 임영(林泳)=대제학 나주인, 오도일(吳道一)=대제학 해주인, 이여(李여 )=영상 덕수인, 박태보(朴泰輔)=파주목사. 반남인, 서종태(徐宗泰)=영상 대구인 |
숙종 15년(1689) | 민암(閔黯) | 7 | 이현조(李玄祚)=대사간. 全州人 민창도(閔昌道)=대사성. 여흥인 유세명(柳世鳴)=교리 풍산인 유성룡 현손, 김문하(金文夏)=이좌 청풍인, 권중경(權重經)=감사. 安東人 홍숙(洪塾)=응교 남양인, 채팽윤(蔡彭胤)=부제학. 平康人 |
숙종 35년(1709) | 강경(姜鏡) | 6 | 이해조(李海朝)=감사 연안인, 이조(李肇)=이판 전주인, 이재(李縡)=대제학, 牛峯人=황해도금천임. 임상덕(林象德)=교리 나주인, 임수간(任守幹)=승지 풍천인, 홍만우(洪萬遇)=교리 풍산인 홍복상 증손 |
숙종 39년(1713) | 이복원(李福源) | 6 | 박종갑(朴宗甲)=형판 반남인, 정범조(鄭範祖)=형판 나주인, 민종현(閔鐘顯)=판서 여흥인, 서유신(徐有臣)=대제학. 達城人. 유언호(兪彦鎬)=우상 기계인, 홍상간(洪相簡)=승지. 南陽人 |
계 38회 | 269명 |
'■ 인물 > 조선시대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靑泉 申維翰 年譜 (0) | 2014.10.04 |
---|---|
신유한의 저작 및 행력 (0) | 2014.09.26 |
조선시대 청백리 녹선수(錄選數) (0) | 2014.09.05 |
우의정 정순붕(右議政 鄭順朋) (0) | 2014.08.05 |
정렴(鄭磏) (0) | 2014.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