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편액 쓴 훈련대장 임태영 친필 발견
“명필 확인… 품격논란 끝내길”
↑새로 발견된 임태영의 친필편지, 고려말부터 조선 말 까지의 친필시와 서간을 모아놓은
<근묵(槿墨)>에도 실리지 않은 간찰이다.
편지 찾아낸 진태하 교수 “문자학 조예 깊었던 분… 복원과정에 문제있는 듯”
고종 때 경복궁 중건의 책임자로 광화문의 편액을 쓴 훈련대장 임태영(任泰瑛 1791∼1868)의 친필 글씨가 발견됐다. 재작년 광화문 복원 때 갈라진 ‘光化門’ 현판의 글씨는 1916년에 찍은 사진을 디지털로 복원한 것이었다.
디지털 복원 노력에도 불구하고 글씨의 상태가 좋지 않아 균열 사고 이후 ‘현판 글씨의 격(格)’을 둘러싼 논란까지 빚어졌고 정조대왕이나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집자(集字)해서 새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다시 등장했다. 여기에 ‘한자 현판이냐 한글 현판이냐’라는 논외의 공방까지 가세한 실정이다.
임태영의 글씨를 처음으로 발견한 진태하 전국한자교육추진연합회 이사장(인제대 석좌교수)은 “현판 글씨가 좋지 않다는 건 디지털 복원의 문제이지, 임태영의 친필을 직접 보니 바로 앞 시대를 살았던 다산 정약용에 못지않은 명필이다”라고 말했다.
진 이사장은 한 달여 전 고문서나 희귀본 등을 경매하는 ‘금요고서방’을 통해 임태영의 글씨를 찾았다.
철종 7년인 병진년(1856년), 임태영이 평안도 병마절도사에 임명된 직후 누군가에게 보낸 간찰(簡札·편지)이었다.
경복궁 중건이 1865년이니까 그보다 9년 전쯤 쓰인 편지다. 내용은 특별한 게 없다.
자기보다 더 높은 벼슬아치로부터 쪽지를 받고 잘 받았다고 대답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진 이사장은
“글씨뿐 아니라 편지 첫머리에 나오는 모(莫) 자 같은 글자를 보면 임태영이 자학(字學·한자 문자학)에도 조예가 깊었음을 알 수 있다”며
“글씨의 격을 둘러싼 시비는 이제 종지부를 찍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흔히 ‘없을 막’ 자로 사용하는 ‘莫’을 임태영은 ‘저물 모’의 뜻으로 쓰고 있는데, 그건 그가 고어(古語)에도 능통하다는 의미라고 진 이사장은 설명했다.
진 이사장은 또 편지 글씨 속에 나오는 ‘闖(틈)’을 예로 들며
“디지털로 복원한 현판의 ‘門’ 자와 삐침이 많이 다르다”며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면 임태영의 현판을 복원할 때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일보 김창혁 기자 chang@donga.com
--------------------------------------------------------------------------------------------------------------------------------
임태영(任泰瑛)
1791(정조 15)∼1868(고종 5),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공간(公澗). 아버지는 훈련대장 성고(聖皐)이다.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고, 1840년(헌종 6) 길주목사로 재직하던 중 함경도암행어사 이은상(李殷相)의 탄핵을 받고 삭직당하였으나 곧 복직되었다.
이듬해 경상좌도수군절도사가 되고, 1842년 전라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851년(철종 2) 좌포도대장으로 재임하던 중 견책을 당하였다.
185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에 이어 1858년 금위대장, 1861년 우포도대장, 1862년 총융사를 지냈다. 1863년 어영대장·좌변포도대장 등을 지내고, 1865년(고종 2) 경복궁을 중건하게 되자 훈련대장으로 영건도감제조(營建都監提調)를 겸하였다. 시호는 정의(靖毅)이다.
[참고문헌]
◼헌종실록(憲宗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금구록(金甌錄)
'■ 보학 > 서(書).간찰(簡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공순(徐公淳)선생 간찰 - 보재 이상설 선생의 장인 (0) | 2013.10.18 |
---|---|
李承熙 先生의 簡札. (0) | 2013.09.26 |
이준(李儁) 열사의 유묵 (0) | 2013.04.08 |
만량(漫浪) 이녕(李寗)선생의 간찰 (0) | 2010.06.25 |
정경세 처 진성이씨 한글 서간 (鄭經世 妻 眞城李氏 諺簡) (0) | 2007.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