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성씨별관향

영산김씨(永山金氏)/영동김씨(永同金氏)

야촌(1) 2014. 4. 10. 18:59

■ 영산김씨연원(永山金氏淵源)

 

시조(始祖) 김영이(金令貽)는 신라 신문왕(神武王)의 넷째 아들 익광(益光)의 후손이다. 고려 때 전객시령(典客寺令)을 지냈다. 그의 아들 김길원(金吉元)이 고려 공민왕 때 홍건적 토벌에 공을 세워 영산부원군(永山府院君)에 봉해졌다.

 

그 뒤 후손들이 영산을 본관으로 삼았다. 영산은 충청북도 영동의 옛 이름이다. 그래서 영동김씨(永同金氏)라고도 한다. 김길원의 아들 종경(宗敬)은 고려 정종때 문과에 급제하고 우찬성 겸 판의금부사를 거쳐 도총관을 지냈다. 김종경의 손자 김수온(金守溫)은 세종과 세조때의 명신으로 많은 일화를 남겼다.

 

그는 세종때 ‘치평요람’ 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하고 ‘석가보’를 증수했다. 김수온은 문장이 뛰어나 당시 서거정, 강희맹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김수온의 형 김수성은 신미(信眉)라는 불명으로 탈속하여 문장으로 명성을 떨쳤다. 속리산 성불사 복천암에 사리(舍利)를 남기고 있다.

 

김재두(1794~1868)는 통정대부로 낭천현감을 거쳐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을 지냈다. 문장이 출중하였고 도학군자로서 명성을 떨쳤다. 감찰에 증직된 김언건도 유명하다. 광해군 때 용궁현감을 지낸 김각(金覺)은 수군절도사 김득진, 부호군 김염근, 김호덕 등과 함께 가문을 더욱 빛냈다.

 

현대의 종교인 김두성(金斗性)은 법명이 성공(城空)이다. 한얼교 창교(創敎) 21명 중 한 사람인 그는 한얼교 이사, 도서출판 정화사 사장과 한얼교 대전개발궁 궁사직(宮士職)을 역임했다.

 

현대인물은 김철(金澈.상해임시정부요인), 김상헌(육군준장), 김종열(통일주체대의원), 김영옥(통일주체대의원), 김연표(산림청서기관), 김달근(군수), 김명로(태창방직주식회사상무, 운수학원재단이사장), 김우성(국회의원), 김동표(종친회장)씨 등이다. (무순, 전 현직 구분 안 됨)

 

주요파는 ▲보은파 ▲문의파 ▲장수파 ▲대덕파 ▲황간파 ▲옥천파 ▲온양파 ▲해미파 ▲태안파 ▲예산파 ▲당진파 ▲홍주파 ▲서산파 ▲송산파 ▲금산파 ▲영동파 ▲홍성파 ▲상주파 ▲대구파 ▲청도파 ▲청산파 ▲자산파 ▲참봉공파 ▲이천공파 ▲영광파 등이다.

 

본관 영산(永山)은 충청북도 영동군 일원의 옛 지명이다. 신라 때에 길동군(吉同郡)이라 불리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영동현(永同縣)으로 바꾸어 황간현(黃澗縣)과 양산현(陽山縣)을 관할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 영동군(永同郡)이 되었고, 1896년 충청북도 영동군이 되었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황간군(黃澗郡)이 폐지되어 영동군에 통합되었다.

 

집성촌은 충북 영동군 용산면 일원, 충북 보은군 일원, 충남 서산시 일원, 충남 당진군 당진읍 수청리, 충남 예산군 오가면 분천리, 경북 상주시 일원, 경북 청도군 일원, 전북 장수군 일원, 전남 영광군 일원, 전남 함평군 일원 등이다.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는 모두 43명으로, 문과 6명, 무과17명. 역과3명. 음관1명. 진사시7명. 생원시 9명이다.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산김씨는 1985년에는 총 3,597가구 15,115명, 2000년에는 총 5,349가구 17,120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5년 만에 가구는 1천8백여 가구가 늘었으며, 인구는 2천여 명이 늘어났다. 1985년 당시 전국의 지역별 인구는 서울 3,502명, 부산 561명, 대구 486명, 인천 637명, 경기 1,360명, 강원 183명, 충북 2,537명, 충남 3,644명, 전북 409명, 전남 384명, 경북 849명, 경남 426명, 제주 137명이다. 충북과 충남지역에 가장 많이 살고 있었다.

 

15년 뒤인 2000년 당시 지역별 인구는 서울 3,561명, 부산 565명, 대구 599명, 인천 1,066명, 광주 217명, 대전 1,934명, 울산 198명, 경기 3,044명, 강원 208명, 충북 2,177명, 충남 1,741명, 전북 305명, 전남 273명, 경북 655명, 경남 429명, 제주 148명이다. 대전, 충북, 충남지역에 가장 많이 살고 있다.

 

자료>충청일보 ㅣ정복규 2012-04-05 참조 편집함.

-----------------------------------------------------------------------------------------------------------------------------

●문과급제자

01. 김수온(金守溫) 세종(世宗) 23년(1441) 신유(辛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위(4/33)

〃세조(世祖) 3년(1457) 정축(丁丑) 중시(重試) 을과(乙科) 2[亞元]위(2/21)

〃세조(世祖) 12년(1466) 병술(丙戌) 발영시(拔英試) 1등(一等) 1[壯元]위(1/40)

〃세조(世祖) 12년(1466) 병술(丙戌) 등준시(登俊試) 1등(一等) 1[壯元]위(1/12)

02. 김화(金澕) 세조(世祖) 12년(1466) 병술(丙戌) 발영시(拔英試) 3등(三等) 20위(36/40)

03. 김지복(金知復) 인조(仁祖) 2년(1624) 갑자(甲子)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2위(5/38)

04. 김익겸(金益謙) 숙종(肅宗) 39년(1713) 계사(癸巳)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25위(35/51)

05. 김재두(金載斗) 헌종(憲宗) 1년(1835) 을미(乙未)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27위(37/37)

06. 김관효(金觀孝) 헌종(憲宗) 9년(184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8위(38/52)

-----------------------------------------------------------------------------------------------------------------------------

●무과급제자

01. 김대성(金大聲) 인조(仁祖) 15년(1637) 정축(丁丑) 별시(別試) 병과(丙科) 151위(252/5506)

02. 김향남(金香男) 인조(仁祖) 15년(1637) 정축(丁丑) 별시(別試) 병과(丙科) 342위(443/5506)

03. 김천룡(金天龍) 인조(仁祖) 15년(1637) 정축(丁丑) 별시(別試) 병과(丙科) 1222위(1323/5506)

04. 김대습(金大習) 인조(仁祖) 15년(1637) 정축(丁丑) 별시(別試) 병과(丙科) 1226위(1327/5506)

05. 김죽지(金竹只) 인조(仁祖) 15년(1637) 정축(丁丑) 별시(別試) 병과(丙科) 3575위(3676/5506)

06. 김성회(金成回) 인조(仁祖) 15년(1637) 정축(丁丑) 별시(別試) 병과(丙科) 3764위(3865/5506)

07. 김춘남(金春男) 인조(仁祖) 15년(1637) 정축(丁丑) 별시(別試) 병과(丙科) 4986위(5087/5506)

08. 김생립(金生立) 인조(仁祖) 15년(1637) 정축(丁丑) 별시(別試) 병과(丙科) 5334위(5435/5506)

09. 김괄(金适) 효종(孝宗) 2년(1651) 신묘(辛卯) 별시(別試) 병과(丙科) 203위(234/1236)

10. 김업동(金業東) 현종(顯宗) 11년(1670) 경술(庚戌) 별시(別試) 병과(丙科) 83위(114/365)

11. 김선(金善) 현종(顯宗) 11년(1670) 경술(庚戌) 별시(別試) 병과(丙科) 148위(179/365)

12. 김시주(金時胄) 숙종(肅宗) 28년(1702) 임오(壬午) 별시(別試) 을과(乙科) 6위(7/90)

13. 김성걸(金成傑) 숙종(肅宗) 34년(170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88위(96/116)

14. 김성진(金聲振) 숙종(肅宗) 37년(171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66위(76/100)

15. 김의육(金義堉) 정조(正祖) 8년(1784) 갑진(甲辰) 정시(庭試) 병과(丙科) 34위(38/2692)

16. 김인육(金仁堉) 정조(正祖) 8년(1784) 갑진(甲辰) 정시(庭試) 병과(丙科) 35위(39/2692)

17. 김종완(金鍾完) 순조(純祖) 13년(1813) 계유(癸酉)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55위(63/255)

-----------------------------------------------------------------------------------------------------------------------------

●음관(蔭官)

김관효(金觀孝)

-----------------------------------------------------------------------------------------------------------------------------

●역과(譯科)

01. 김원려(金元麗) 중종(中宗) 20년(152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1위

02. 김석려(金碩麗) 중종(中宗) 35년(154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6위

03. 김석우(金錫禹) 영조(英祖) 20년(174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8위

-----------------------------------------------------------------------------------------------------------------------------

●진사시합격자

01. 김사악(金師諤) 중종(中宗) 2년(1507) 정묘(丁卯) 증광시(增廣試) [진사] 1등(一等) 3위(3/100)

02. 김언건(金彦健) 중종(中宗) 35년(154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0위(40/100)

03. 김각(金覺) 선조(宣祖) 즉위년(156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34위

04. 김요(金遼) 인조(仁祖) 8년(1630)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58위(88/100)

05. 김세유(金世維) 숙종(肅宗) 4년(1678) 무오(戊午) 증광시(增廣試) [진사] 2등(二等) 8위(13/100)

06. 김광철(金光澈) 영조(英祖) 26년(1750)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6위(11/100)

07. 김진권(金鎭權) 고종(高宗) 19년(188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14위(19/123)

-----------------------------------------------------------------------------------------------------------------------------

●생원시합격자

01. 김석우(金錫禹) 중종(中宗) 2년(1507) 정묘(丁卯)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4위(34/100)

02. 김지복(金知復) 광해군(光海君) 4년(1612) 임자(壬子) 증광시(增廣試) [생원] 2등(二等) 20위(25/100)

03. 김신덕(金愼德) 광해군(光海君) 7년(1615) 을묘(乙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59위(89/100)

04. 김곤(金滾) 인조(仁祖) 2년(162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59위(89/100)

05. 김득기(金得沂) 현종(顯宗) 14년(1673) 계축(癸丑)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35위(65/100)

06. 김세준(金世俊) 현종(顯宗) 14년(1673) 계축(癸丑)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38위(68/100)

07. 김영갑(金永甲) 숙종(肅宗) 31년(1705) 을유(乙酉) 증광시(增廣試) [생원] 2등(二等) 9위(14/100)

08. 김석범(金錫範) 영조(英祖) 49년(1773) 계사(癸巳) 증광시(增廣試) [생원] 2등(二等) 21위(26/100)

09. 김기준(金基準) 순조(純祖) 13년(1813) 계유(癸酉)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22위(52/100)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