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고궁,정려,서원

경회루기(慶會樓記) - 하륜

야촌(1) 2010. 6. 20. 00:43

■ 경회루 기(慶會樓記) 

 

하륜(河崙) 찬(撰)

 

전하『殿下, 태종(太宗)』 즉위 13년 봄 2월에 뒷 대궐 서루(西樓)가 기울어지고 또 위태하므로, 경복궁(景福宮)  제거사(提擧司)에서 의정부(議政府)에 보고하여 전하께 아뢰니, 전하께서는 놀래어 탄식하며 이르시기를,“우리 선고(先考)께서 창업(創業)하시고 처음으로 세우신 것인데, 이제 벌써 그렇게 되었단 말이냐.”하시고, 이내 공조판서 박자청(朴子靑) 등에게 하명(下命) 하시기를,“농사 때가 가까웠으니, 아무쪼록 놀고먹는 자들을 부려서 빨리 수리(修理)하도록 하라.”하였다. 

 

그래서 박자청 등은 지면(地面)을 헤아려서 살짝 서쪽으로 당기고, 그 터에 따라 약간 그 규모를 넓히어 새로 지었으며, 또 그 땅이 습한 것을 염려하여 누(樓)를 에워서 못을 팠다. 완성이 되자 전하께서 거동(擧動)하여 올라보시고 이르시기를,“나는 이전 형태를 그대로 두고 수리만 하려는 것이었는데, 이전보다 과하지 않느냐.”하시니, 박자청 등은 땅에 엎드려 아뢰기를,“신 등은 후일(後日)에 또 기울어지고 위태하게 될까 두려워서 이와 같이 하였사옵니다.”하였다. 

 

이에 종친(宗親)ㆍ훈신(勳臣)ㆍ원로(元老)들을 불러들여 함께 즐기시며 누의 이름을 경회(慶會)라 하고 인하여 신 하륜(河崙)에게 명하여 기(記)를 지으라 하시기에 나는 글이 졸렬(拙劣)하지만 감히 사양(辭讓)을 못하였다. 

 

내가 일찍이 들으니, 공자께서 노나라 애공(哀公)의 물음에 대답하시기를,“정사를 잘하고 잘못하는 것은 사람을 잘 얻고 잘못 얻는 데 있다.”하셨다. 대개 인군(人君)의 정사는 사람을 얻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 것이니, 사람을 얻은 뒤에라야 ‘경회(慶會)’라 이를 수 있을 것이다. 

 

삼가 생각건대, 우리 태조(太祖) 강헌 대왕(康獻大王)께서 성신 문무(聖神文武)의 덕으로써 온 나라를 편안하게 하시었고, 천자(天子)는 ‘조선(朝鮮)’이란 국호(國號)를 내렸기에 드디어 화산(華山)의 남쪽에 도읍(都邑)을 정하여 궁실(宮室)을 세우고 대궐(大闕) 이름을 근정(勤政)이라 하고, 또 그로써 문(門)의 이름을 하였으니, 나라의 근본을 만들어 놓으신 바가 지극하다. 

 

이제 우리 전하께서 능히 그 덕을 닮으시어 큰 업을 이어받으시고 더욱 대국(大國)을 정성껏 섬기어, 천자는 고명(誥命)을 내렸으며, 정교(政敎)가 아름답고 국내(國內)가 편안하며, 지금 누(樓) 하나를 수리하는 데 있어서도, 오히려 농사 때가 가까워졌다는 것을 염려하시어 놀고먹는 자들만 부리게 하여, 빠른 시일에 낙성(落成)을 보게 되었고 또 ‘경회(慶會)’라 이름 하였다. 

 

대개 정무(政務)의 여가(餘暇)에 도덕(道德)이 있고 정치(政治)의 대체(大體)를 아는 신하를 인견(引見)하는 것은 좋은 계획을 받아들이고 도의(道義)를 강론(講論)하여 정책을 마련하는 근원(根源)을 바르게 하려는 것이니, 이로써 더욱 전하께서 참으로 근정(勤政)의 근본을 알고 계심을 엿볼 수 있다. 

 

나는 적이 한 번 논해 보건대, ‘경회(慶會)’라는 것은 군신 간(君臣間)에 서로 덕으로써 만나는 것을 의미한 것이니, 마치 주역(周易) 건괘(乾卦)의 구오(九五)가 그 대덕(大德)으로써 구이(九二)의 대덕을 보고, 지기(志氣)가 서로 맞아서 그 도를 행하는 것과 같이 하면, 모든 어진 이가 부류대로 나와서 국가가 창성(昌盛)하게 될 것이니, 이른바 구름이 용을 따르고 범이 바람을 따른다는 것이다. 

 

만약 덕으로써 만나지 않으면 뭇 소인이 끼리끼리 나와서 국가가 혼란하게 되는 것이며, 간혹 덕 있는 이로서 나아온 자가 있더라도, 그 재주를 다 베풀지 못할 위치에 등용(登用)하고 또 뭇 소인들 틈에 끼어 놓으면 역시 암흑으로 돌아가고 말 것이다. 

 

옛일을 상고(詳考)하건대, 요(堯)ㆍ순(舜)ㆍ우(禹)ㆍ탕(湯)ㆍ고종(高宗)ㆍ문왕(文王)ㆍ무왕(武王) 같은 이가 임금이 되고 고요(皐陶)ㆍ기(夔)ㆍ백익(伯益)ㆍ이윤(伊尹)ㆍ부열(傅說)ㆍ여상(呂尙)ㆍ주공(周公)ㆍ소공(召公) 같은 이가 보좌(補佐)가 되면 참으로 경회(慶會)라 이를 것이다. 

 

이를테면 한고조(漢高祖)의 소하(蕭何)ㆍ조참(曹參)이나, 당태종(唐太宗)의 방현령(房玄齡)ㆍ위징(魏徵)이나 송태조(宋太祖)의 조보(趙普)도 경회(慶會)라 할 수 있으나, 덕에 순일(純一)하지 못하였으니 어찌 능히 3대에 비견(比肩)할 수 있겠는가. 

 

한 나라 무제의 공손홍(公孫弘)이나 송나라 신종(神宗)의 왕안석(王安石)에 있어서도 역시 서로 잘 만났다고 할 수 있으나, 거짓을 꾸며서 이름을 얻었다는 기롱(欺弄)과 크게 간사한 것은 충성(忠誠)과 같다는 꾸지람을 오히려 면하지 못하였으니, 어찌 경회(慶會)라 할 수 있겠는가. 

 

또 현종(玄宗)의 송경(宋璟)ㆍ장구령(張九齡)이나 진종(眞宗)의 구준(寇準) 같은 처지도 역시 서로 잘 만났다고 아니할 수 없으나, 대리한 자가 이 임 보(李林甫)요, 함께 일한 자가 왕 흠 약(王欽若) 이었으니, 경(涇)ㆍ위(渭)의 구분과 훈(薰)ㆍ유(蕕)의 분별도 오히려 감히 바랄 수 없었거늘, 하물며 경회(慶會)라 이를 수 있겠는가. 

 

이로 보면 군신간의 경회(慶會)는 자고로 실상 얻어 보기 어려웠으니, 다행히 천년 만에 한 번이라도 만나게 된다면 그 즐거움이 과연 어떠하겠는가. 우리 태조께서 이미 근정(勤政)으로써 국가의 본을 삼아 다스리셨고 전하께서 또 경회(慶會)로 근정(勤政)의 본을 삼아 힘쓰시니, 창업의 아름다움과 계술(繼述)의 선한 점이 아, 성대(盛大)하도다. 

 

능히 3대의 경회(慶會)를 따르고 3대의 정치를 이루어 그 모훈(謨訓)을 길이 세상에 끼치어 큰 복을 한없이 누리게 될 것을 알고도 남음이 있도다. 이를테면 산악(山岳)은 수 려(秀麗)하고 원지(園池)는 유심(幽深)하여 빙설(氷雪)이 궤안(几案)에서 나는 듯하고 강호(江湖)가 뜰에 접해 있는 듯하며, 송백(松柏)이 무성(茂盛)하고 화초(花草)가 우거지고 풍연운월(風烟雲月)과 조모음청(朝暮陰晴)의 경물(景物)들이 관람(觀覽)하는 사이에 있는 것을 이루 다 형용(形容)할 수는 없지만, 그 누(樓)의 흥복(興福)에 있어서는 나라를 다스리는 것과 같음이 있으니, 기울어진 것을 바르게 하고 위태한 것을 편안하게 하는 것은 선세(先世)의 유업(遺業)을 보존하는 것이요, 

 

터를 다지기를 튼튼히 하고 땅을 깊이 파서 습기(濕氣)를 뽑아낸 것은 큰 터를 견고(堅固)하게 하는 것이다. 

대들보와 주춧돌을 우람하게 하고자 하는 것은 무거운 짐을 지는 것은 빈약(貧弱)해서는 안 되기 때 문이고,자잘한 재목이 구비(具備)되기를 취한 것은 작은 일을 맡은 자는 커서는 안 되기 때문이고, 처마의 기둥을 탁 트이게 하는 것은 총명(聰明)을 넓히려는 것이고, 섬돌을 높이 쌓은 것은 등급(等級)을 엄(嚴)하게 하려는 것이고, 내려 보면 반드시 아슬아슬한 것은 경외(敬畏)하는 생각을 갖게 하려는 것이고, 사방(四方)이 빠짐없이 다 보이게 한 것은 포용(包容)을 숭상(崇尙)한 것이고, 제비가 와서 하례(賀禮)하는 것은 서민이 기뻐하는 것이며, 파리가 붙지 않는 것은 간사(奸邪)한 소인(小人)이 제거(除去)된 것이다.

 

단청(丹靑)을 호화 찬 란(豪華燦爛)하게 하지 않는 것은 제도(制度) 문물(文物)의 적당(適當)함을 얻기 위함이며, 유람(遊覽)의 즐거움을 때에 맞춰 하는 것은 문(文)ㆍ무(武)를 늦추고 조이는 적의(適宜)한 방법이니, 진실로 오르내리는 때에 이 생각을 갖고 그것으로써 정사(政事)에 베푼다면, 누(樓)의 유익(有益)됨이 진실로 적지 않을 것이다. 

 

감히 이 점을 들어 아울러 기록하는 바이다. 

 

※경회루는 1412년(태종 12) 4월 26일 준공하고 임진왜란 때 소실한 것을 1867년(고종 4) 재건한,  국보 제224호이다.

--------------------------------------------------------------------------------------------------------------------------------------

 

[原文]

 

慶會樓記 撰)

 

晋山 河崙

 

殿下之十三年春二月。景福宮提擧司。以其後殿西樓傾且危。報議政府以聞。殿下驚歎曰。景福宮。我先考創業之初所建。今遽若是歟。遂幸而觀之曰。樓之傾。地潤而基不固也。乃命工曹判書臣子靑等曰。農時向近。宜役遊手者。亟修之。子靑等度地。移之小西。因其基。稍廣其制而新之。又慮其地潤。環樓而池焉。旣成矣。乃幸而登臨之曰。予欲仍舊而修耳。無乃過於舊制乎。子靑等俯伏而對曰。臣等恐後日又且傾危。故至如此。於是。召集親勳者舊而與之爲樂。名樓曰慶會。仍命臣河崙爲記。臣不敢以文拙辭。臣嘗聞孔子對哀公之問曰爲政在人。蓋人君之政。以得人爲本。得人然後可謂之慶會矣。恭惟太祖康獻大王。以聖文神武之德。嘉靖一方。天子賜國號朝鮮。遂定都于華山之陽。乃建宮室。以勤政名殿。且以名門。其所以爲有國之本者至矣。今我殿下克肖其德。纘承丕緖。事大益虔。天子錫之誥命。治敎休明。境內乂安。今修一䄛。尙慮農時之近。役以遊手者。不日有成。且以慶會名之。蓋欲以淸燕之暇。引見群臣之有道德而識治體者。察納謀猷。講論道義。以正出治之源。尤有以見殿下眞知勤政之本矣。臣竊嘗論之。慶會者。君臣之相遇以德也。有若乾之九五。以其大德。利見九二之大德。志同氣合。以行其道。則群賢類進而國家明昌。所謂雲從龍風從虎者也。若不以其德。則群邪類進而國家晦冥矣。間有以德而進者。用之不盡其材。雜之以群邪。則亦於晦冥同歸矣。稽之前古。堯,舜,禹,湯,高宗,文,武之爲治。皐,夔,益,伊,傳,呂,周,召之爲輔。則眞可謂慶會矣。若漢高之蕭,曹。唐宗之房,魏。宋祖之趙,普。亦可謂慶會矣。然不純於德。可能肩於三代哉。至若武帝之公孫弘。神宗之王安石。亦可謂相遇矣。飾詐釣名之譏。大奸似忠之誚。尙不能免矣。何有於慶會哉。又若玄宗之於宋璟,張九齡。眞宗之於寇準。亦不可謂不相遇矣。代之者林甫。而雜之者欽若。涇渭之分。薰蕕之辨。尙不敢望。況以慶會言之哉。以是觀之。則君臣慶會。從古以來。實未易多見矣。幸而千載一遇焉。則其樂爲何如哉。惟我太祖。旣以勤政爲有國之本而治之矣。殿下又以慶會爲勤政之本而懋之。刱垂之美。繼述之善。吁盛矣哉。其能追三代之慶會。致三代之治效。以貽謨於永世。享景德於無彊者。端可知矣。若夫山岳之奇秀。園池之窈深。氷雪生乎几案。江湖接於軒墀。松柏之薈蔚。花卉之敷榮。風煙雲月。朝暮陰晴之景物。在乎觀覽之間者。不敢形容之悉矣。第其樓之興。復有類於爲國焉。傾者以正。危者以安。保先業也。築土以密。除潤以深。固丕基也。樑棟柱石之欲其壯。負重者不可劣也。欂櫨椳楔之取其備。任小者不可大也。敞軒楹。廣聰明也。峻階梯。嚴等威也。下臨必悚。尊敬畏也。遐瞻不遺。尙包荒也。燕之相賀。人民悅也。蠅之不止。讒邪去也。繪畫不侈。制度文爲之得中也。觀遊以時。文武弛張之適宜也。苟於升降之際。有是思焉而以之施焉。則樓之益。誠亦不少矣。敢以此幷記云。<끝>

 

[자료출전]

◇浩亭先生文集卷之二

 

 

 

↑경회루 전경

 

 

 

↑경복궁 향원정

'■ 보학 > 고궁,정려,서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읍원우사적(列邑院宇事蹟)  (0) 2010.08.04
우리나라 서원(書院)  (0) 2010.08.04
동호정(東湖亭)  (0) 2010.05.19
1902년의 서울 궁궐사진  (0) 2010.01.29
송천서원(松泉書院)  (0) 2010.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