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익재이제현선생

익재 이제현 선생 화상(국보 제110호)

야촌(1) 2006. 5. 10. 18:31

↑국보 익재 이제현 화상(국보 제110호)

 

고려 후기 문신이요, 학자인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선생의[1287년(충렬왕 13) - 1367년(공민왕 16)]초상화이다. 이제현은 원나라의 만권당에서 조맹부趙孟頫, 1254년-1322년) 등과 교류하며 고려에 신 학문과 사상을 소개하고, 성리학을 전파,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호는 익재(益齋), 또는 역옹(櫟翁)으로, 『국사』, 『역옹패설』 등을 남겼다.

가로 93cm X 세로 177.3cm 크기의 의자에 앉은 모습을 비단에 채색하여 그렸는데 그림 위쪽에는 원나라 문장가인 탕병룡이 쓴 찬(贊)과 잃어버린줄 알았던 이 그림을 33년 만에 다시 보고 감회를 적은 익재의 글이 있다.


대부분의 초상화가 오른쪽을 바라보는데 비해 이 영정은 왼쪽을 바라보고 있으며 비단 테를 두른 흰 베로 짠 옷을 걸치고 두손은 소매 안으로 마주 잡고 있다. 선생의 왼편 뒤쪽에는 몇권의 책이 놓인 탁자가 있고, 오른편 앞쪽으로는 의자의 손잡이가 있어 앉은 모습이 안정되어 보이며, 화면구성도 짜임새 있다.


채색은 색을 칠한 다음 얼굴과 옷의 윤곽을 선으로 다시 그렸는데 부분적으로 표현을 달리 하여 날카롭지 않고 부드러워 보인다. 그림의 색감은 오랜 세월이 지나 변색된 듯하나 차분한 느낌을 준다.

 

이 그림은 충숙왕 6년(1319) 이제현이 왕과 함께 원나라에 갔을때 당대 최고의 화가인 진감여가 그린 그림으로, 전해오는 고려시대 초상화가 대부분 다시 그려진 이모본인데 비해 직접 그린 원본으로, 안향의 반신상과 함께 현재 남아 있는 고려시대 초상화의 원본 2점 가운데 하나이다.


이 영정은 전신을 그린 것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얼굴과 의복을 선으로 표현한 것은 고려시대 다른 초상화들과 비슷하며, 조선시대 초상화가 인물이 오른쪽을 향하고 배경이 되는 바탕에 아무런 그림을 그려 넣지 않은 것에 비해 빈틈없는 구성과 왼쪽을 향하고 있는 모습에서 고려 초상화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비록 원나라 화가가 그린 것이지만 구도가 안정되고 인물 묘사가 뛰어난 우수한 작품으로 우리나라 미술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동일한 양식의 익재의 초상화 4점이 전해지는데 그 중 가장 뛰어난 작품이다.

 

李在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