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고려列朝登科錄

고려 국자감시(高麗國子監試-조선의 성균시와 유사함)

야촌(1) 2011. 3. 26. 19:48

[자료-고려 국자감시]

 

■ 고려 국자감시(高麗國子監試)

 

이는 곧 진사 시험인데 덕종(德宗)이 처음으로 설치하고 부(賦)와 6운(韻) 및 10운 시(詩)를 시험 쳤다. 그 후에는 이를 혹은 성균시(成均試)라고도 하고, 혹은 남성시(南省試)라고도 하였다. 충선왕이 국자감시를 폐지하였고, 충숙왕 4년(1317)에 구재(九齋)의 삭시(朔試 매월 초하룻날 실시)로 대신하였다. 충숙왕 7년에 이를 거자시(擧子試)라 하였다. 국자감시에서 뽑는 인원 수에는 제한이 없었다.

 

공민왕 17년에 왕이 경서에 정통한 자를 뽑아 시험관을 삼으려 했는데, 신돈은 감찰대부 손용(孫湧)을, 환자(宦者) 이강달(李剛達)은 판전교시사 이무방(李茂芳)과 권사복(權思復)을 추천하려고 하였다.공민왕이 이들이 다투는 것을 미워하여 말하기를 “국자감 시험에서 선발하는 것은 대개 다 어린아이들이며 경서에 밝고 품행이 단정한 선비가 아니므로 국가에 이익이 없다.”며 이를 폐지하였다. 우왕 2년(1377)에 다시 국자감시를 실시하였다.

 

우왕 11년(1386) 3월에 윤취가 선발한 자가 모두 권문세가의 젖내 나는 어린아이들라 당시 사람들이 이를 ‘분홍방(粉紅榜)’이라 희롱하였다. 이것은 아이들이 분홍 옷을 흔히 입는 데서 나온 말이다.

 

001 ● 덕종 초년

시험관 : 우습유(右拾遺), 염현(廉顯)

선발수 : 정공지(鄭功志) 등 60명 선발

 

002 ● 문종 3년(1049) 2월

시험관 : 우부승선(右副承宣) 김상빈(金尙賓)

선발수 : 한복(韓復) 등 39명 선발

 

003 ● 문종 25년(1071) 10월

*6운시(六韻詩)와 10운시(十韻詩)로만 선발

시험관 : 비서소감(秘書少監) 고유(高維)

선발수 : 75명 선발(장원 미상)

 

004 ● 선종 8년(1091) 3월

시험관 : 예부낭중(禮部郎中) 이오(李鰲)

선발수 : 김신(金藎) 등 91명 선발

 

005 ● 예종 원년(1106) 3월

시험관 : 중서사인(中書舍人) 이재(李載)

선발수 : 안지충(安之忠) 등 89명 선발

 

006 ● 예종 11년(1116) 2월

시험관 : 국자좨주(國子祭酒) 홍관(洪瓘)

선발수 : 유탄승(兪坦升) 등 99명 선발

 

007 ● 예종 12년(1117) 3월

시험관 : 문덕전(文德殿) 학사 김고(金錮)

선발수 : 왕존(王存) 등 103명 선발

 

008 ● 인종 17년(1139)

시험관 : 임광(林光)

선발수 : 임경(林景)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09 ● 인종 18년(1140)

시험관 : 최함(崔諴)

선발수 : 한자(韓梓)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10 ● 인종 19년(1141) 3월

시험관 : 예부시랑(禮部侍郞) 이인실(李仁實)

선발수 : 탁광유(卓光裕)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11 ● 인종 21년(1143)

시험관 : 박경산(朴景山)

선발수 : 황보 존(皇甫存)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12 ● 인종 23년(1145)

시험관 : 김영관(金永寬)

선발수 : 박언유(朴彦猷)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13 ● 인종 24년(1146) 4월

시험관 : 장수(張修)

선발수 : 김대년(金大年)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14 ● 의종 원년(1147)

시험관 : 이지무(李之茂)

선발수 : 박수(朴綏)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15 ● 의종 2년(1148) 4월

*부(賦)와 십운시(十韻詩)로만 선발

시험관 : 최윤의(崔允儀)

선발수 : 시부(詩賦)로 양충찬(梁忠贊) 등 11명과 십운시(十韻詩)시로 박유시(朴有時) 등 80명 선발

 

016 ● 의종 3년(1149) 5월

시험관 : 좌승선(左承宣) 정습명(鄭襲明)

선발수 : 시부(詩賦)로 오광윤(吳光允) 등 14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조정시(趙梃時) 등 40명 선발

 

017 ● 의종 5년(1151) 4월

시험관 : 김영윤(金永胤)

선발수 : 시부(詩賦)로 고영근(高英槿) 등 15명과 십운시(十韻詩)로 하정재(河梃材) 등 72명 선발

 

018 ● 의종 7년(1153) 3월

시험관 : 지주사(知奏事) 유석(劉碩)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세뢰(金世賴)와 십운시(十韻詩)로 이동수(李東粹)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19 ● 의종 8년(1154) 4월

시험관 : 우승선(右承宣) 이원응(李元應)

선발수 : 시부(詩賦)로 박세남(朴世南) 등 18명과 십운시(十韻詩)로 김우(金遇) 등93명 선발.

명경(明經 : 경서 강의)으로 5명 선발

 

020 ● 의종 9년(1155) 5월

시험관 : 어사중승(御使中丞) 이공승(李公升)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단보(金端寶)와 십운시(十韻詩)로 황문장(黃文莊) 등 100여 명 선발

021 ● 의종 11년(1157) 4월

시험관 : 급사중(給事中) 최응청(崔應淸)

선발수 : 이양수(李陽秀) 등 100여 명 선발

 

022 ● 의종 13년(1159) 5월

시험관 : 국자좨주(國子祭酒) 이덕수(李德壽)

선발수 : 78명 선발(장원 미상)

 

023 ● 의종 15년(1161) 5월

시험관 : 김양(金諹)

선발수 : 고극중(高克中) 등 83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5명 선발

 

024 ● 의종 17년(1163) 4월

시험관 : 윤인첨(尹鱗瞻)

선발수 : 정성택(鄭成澤) 등 94명 선발

 

025 ● 의종 18년(1164) 4월

시험관 : 대부소경(大府少卿) 최우보(崔祐甫)

선발수 : 김모직(金謨直) 등 100명 선발

 

026 ● 의종 19년(1165) 5월

시험관 : 우상시(右常侍) 서순(徐淳)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등(金騰) 등 15명과 십운시(十韻詩)로 90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5명 선발

 

027 ● 의종 21년(1167)

시험관 : 김돈중(金敦中)

선발수 : 민식(閔湜)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28 ● 의종 22년(1168)

시험관 : 정숙충(鄭肅忠)

선발수 : 왕광순(王光純)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29 ● 의종 23년(1169)

시험관 : 김돈시(金敦時)

선발수 : 임정(林廷)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30 ● 명종 원년(1171) 정월

시험관 : 대복경(大僕卿) 유덕림(柳德林)

선발수 : 시부(詩賦)로 이희우(李希祐) 등 13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이세경(李世卿)등 76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8명 선발

 

031 ● 명종 2년(1172) 3월

시험관 : 판위위사(判衛尉事) 고자사(高子思)

선발수 : 김광조(金光祖) 등 115명 선발

 

032 ● 명종 3년(1173) 3월

시험관 : 장작감(將作監) 염신약(廉信若)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징위(金徵魏) 등 28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이자우(李滋祐) 등 78명 선발

 

033 ● 명종 5년(1175) 6월

시험관 : 형부시랑(刑部侍郞) 민영모(閔令謨)

선발수 : 시부(詩賦)로 승구원(承丘源) 등 12명과 십운시(十韻詩)로 방희진(方希進) 등 60명 선발

 

034 ● 명종 6년(1176) 6월

시험관 : 국자좨주(國子祭酒) 최여해(崔汝諧)

선발수 : 시부(詩賦)로 이진승(李晉升) 등 8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정세준(廷世俊) 등 38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1명 선발

 

035 ● 명종 7년(1177) 4월

시험관 : 간의대부(諫議大夫) 최우청(崔遇淸)

선발수 : 시부(詩賦)로 박돈장(朴敦章) 등 15명과 십운시(十韻詩)로 김각장(金角章) 등 68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3명 선발

036 ● 명종 9년(1179) 5월

시험관 : 좌부승선(左副承宣) 이문중(李文中)

선발수 : 이척고(李陟高) 등 81명 선발

 

037 ● 명종 11년(1181) 4월

시험관 : 임민비(林民庇)

선발수 : 홍영식(洪永植) 등 89명 선발

 

038 ● 명종 13년(1183) 5월

시험관 : 상서좌승(尙書左丞) 최당(崔讜)

선발수 : 시부(詩賦)로 오몽림(吳夢霖) 등 10명과 십운시(十韻詩)로 김우(金瑀) 등 89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6명 선발

 

039 ● 명종 15년(1185) 5월

시험관 : 우승선 조영인(趙永仁)

선발수 : 시부(詩賦)로 최문목(崔文牧) 등과 십운시(十韻詩)로 정광우(丁光祐) 등 선발(인원 수 미상). 명경(明

經)으로 5명 선발

 

040 ● 명종 16년(1186) 윤7월

시험관 : 대사성(大司成) 황보탁(皇甫倬),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이지명(李知命), 판장작감(判將作監) 최선

(崔詵).

선발수 : 양공준(梁公俊) 등 32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5명 선발

 

041 ● 명종 17년(1187) 7월

시험관 : 비서감(秘書監) 김영부(金英富)

선발수 : 지종준(池宗濬) 등 80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9명 선발

 

042 ● 명종 19년(1189) 5월

시험관 : 우승선(右承宣) 유공권(柳公權)

선발수 : 시부(詩賦)로 정수강(鄭守剛) 등 19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이규보(李奎報) 등 62명 선발

 

043 ● 명종 21년1191)

시험관 : 이순우(李純祐)

선발수 : 홍경(洪儆)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44 ● 명종 25년(1195) 6월

시험관 : 예부시랑 장자목(張自牧)

선발수 : 시부(詩賦)로 신서(申敍) 등 21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이응비(李膺賁) 등 86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13명 선발

045 ● 명종 27년(1197) 4월

시험관 : 간의대부(諫議大夫) 왕의(王儀)

선발수 : 100명 선발(장원 미상)

 

046 ■ 신종 원년(1198) 4월

시험관 : 비서감(秘書監) 김평(金平)

선발수 : 시부(詩賦)로 지대성(智大成) 등 19명과 십운시(十韻詩)로 단세유(段世儒)등 72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7명 선발

 

047 ● 신종 2년(1199) 4월

시험관 : 비서감(秘書監) 이계장(李桂長)

선발수 : 시부(詩賦)로 육영의(陸永儀) 등 20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이당인(李唐仁) 등 75명 선발.

명경(明經) : 5명 선발

 

048 ● 신종 3년(1200) 윤2월

시험관 : 예빈경(禮賓卿) 고영중(高塋中)

선발수 : 시부(詩賦)로 진화(陳澕) 등 22명과 십운시(十韻詩)로 노원규(魯元規) 등 73명 선발.

명경(明經) : 7명 선발

 

049 ● 신종 4년(1201) 3월

시험관 : 예부시랑(禮部侍郞) 최홍윤(崔弘胤)

선발수 : 시부(詩賦)로 정공찰(鄭公札) 등 22명과 십운시(十韻詩)로 박유필(朴維弼) 등 70명 선발.

명경(明經) : 5명 선발

050 ● 신종 5년(1202) 4월

시험관 : 좌승선 안유부(安有孚)

선발수 : 시부(詩賦)로 진양윤(秦陽胤) 등 14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송함(宋咸) 등 73명 선발.

명경(明經) : 5명 선발

 

051 ● 신종 6년(1203) 5월

시험관 -국자좨주(國子祭酒) 최효사(崔孝思)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명여(金命予) 등 21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이세흥(李世興)등 72명 선발.

명경(明經) : 7명 선발

 

052 ● 희종 원년(1205) 4월

시험관 : 판소부감사(判小府監事) 이이(李頤)

선발수 : 이위(李葳) 등 90명 선발

 

053 ● 희종 3년(1207) 5월

시험관 : 대사성 장윤문(張允文)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남석(金南石)과 십운시(十韻詩)로 권시위(權時偉) 등 90여명 선발

054 ● 희종 5년(1209) 6월

시험관 : 국자좨주(國子祭酒) 조충(趙冲)

선발수 : 시부(詩賦)로 추영수(秋永壽) 등 16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신계백(申季伯) 등 50명 선발

 

055 ● 희종 7년(1211) 3월

시험관 : 대사성 채정(蔡靖)

선발수 : 시부(詩賦)로 정종서(鄭宗諝) 등 20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정홍주(鄭弘柱)등 69명 선발.

 

056 ● 강종 원년(1212) 5월

시험관 :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최보순(崔甫淳)

선발수 : 시부(詩賦)로 민부(閔부) 등 28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위대여(魏大輿) 등 62명 선발.

명경(明經) : 2명 선발

 

057 ● 강종 2년(1213) 4월

시험관 : 비서감(秘書監) 이순중(李淳中)

선발수 : 시부(詩賦)로 진교(陳璬)와 십운시(十韻詩)로 김혁량(金革良) 등 81명 선발.

명경(明經) : 15명 선발

 

058 ● 고종 원년(1214)

시험관 :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박현규(朴玄圭)

선발수 : 시부(詩賦)로 윤득지(尹得之) 등 25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장초(張貂) 등 62명 선발.

명경(明經) : 10명 선발

 

059 ● 고종 2년(1215) 4월

시험관 : 대사성 임영령(任永岭)

선발수 : 김문로(金文老) 등 86명 선발. 명경(明經) : 6명 선발

 

060 ● 고종 3년(1216) 3월

시험관 : 국자좨주(國子祭酒) 이득소(李得紹)

선발수 : 문창서(文昌瑞) 등 58명 선발. 명경(明經) : 6명 선발

 

061 ● 고종 6년(1219) 4월

시험관 : 위위경(衛 尉卿) 최종정(崔宗靜)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수견(金守堅)과 십운시(十韻詩)로 소문열(蘇文悅) 등 67명 선발.

명경(明經) : 5명 선발

 

062 ● 고종 7년(1220) 5월

시험관 : 우승선(右承宣) 김양경(金良鏡)

선발수 : 시부(詩賦)로 진창덕(陳昌德) 등 24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서자민(徐子敏) 등 36명 선발.

명경(明經) : 1명 선발

 

063 ● 고종 8년(1221) 4월

시험관 :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최선단(崔先旦)

선발수 : 이양무(李陽茂) 등 86명 선발

 

064 ● 고종 10년(1223) 4월

시험관 :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유충기(劉冲基)

선발수 : 한경윤(韓景允) 등 60명 선발

 

065 ● 고종 11년(1224) 3월

시험관 :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유승단(兪升旦)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찬(金璨)과 십운시(十韻詩)로 양용장(梁龍藏) 등 74명 선발.

명경(明經) : 1명 선발

 

066 ● 고종 12년(1225) 2월

시험관 : 국자좨주(國子祭酒) 이규보(李奎報)

선발수 : 시부(詩賦)로 이유신(李惟信)과 십운시(十韻詩)로 원양윤(元良允) 등 66명 선발.

명경(明經) : 3명 선발

 

067 ● 고종 13년(1226) 3월

시험관 : 우부승선(右副承宣) 최종번(崔宗藩)

선발수 : 시부(詩賦)로 유송백(庾松柏)과 십운시(十韻詩)로 장양윤(張良允) 등 59명 선발.

명경(明經) : 2명 선발

 

068 ● 고종 14년(1227) 3월

시험관 :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유경현(庾敬玄)

선발수 : 시부(詩賦)로 유량(兪亮)과 십운시(十韻詩)로 고종뢰(高宗賚) 등 71명 선발.

명경(明經) : 2명 선발

 

069 ● 고종 16년(1229) 5월

시험관 : 미상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양순(金良純) 등 20명과 십운시(十韻詩)로 노희관(盧希管), 등 53명 선발

 

070 ● 고종 18년(1231) 4월

시험관 : 임경겸(任景謙)

선발수 : 시부(詩賦)로 이차(李且) 등 25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이인(李仁) 등 41명 선발

 

071 ● 고종 20년(1233)

시험관 : 장작감(將作監) 이백순(李百順)

선발수 : 시부(詩賦)로 강홍정(康洪正)과 십운시(十韻詩)로 조백(曺伯) 등 70명 선발.

명경(明經) : 1명 선발

 

072 ● 고종 24년(1237) 4월

시험관 : 대복시사(大僕寺事) 김창(金敞)

선발수 : 시부(詩賦)로 오수(吳壽)오 십운시(十韻詩)로 조희보(曺希甫) 등 81명 선발.

명경(明經) : 4명 선발

 

073 ● 고종 27년(1240) 4월

시험관 :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 송국섬(宋國贍)

선발수 : 시부(詩賦)로 오순(吳恂)과 십운시(十韻詩)로 이석숭(李石崇) 등 41명 선발

 

074 ● 고종 29년(1242) 3월

시험관 : 대사성(大司成) 민인균(閔仁鈞)

선발수 : 시부(詩賦)로 권후(權珝)와 십운시(十韻詩)로 유발충(劉勃忠) 등 74명 선발.

명경(明經) : 2명 선발

 

075 ● 고종 30년(1243) 6월

시험관 : 우승선 조백기(趙伯琪)

선발수 : 시부(詩賦)로 한경(韓璟) 등 20명과 십운시(十韻詩)로 60명 선발. 명경(明經) : 2명 선발

 

076 ● 고종 32년(1245) 5월

시험관 : 좌승선(左承宣) 유홍(庾弘)

선발수 : 시부(詩賦)로 민양선(閔陽宣) 등 29명과 십운시(十韻詩)로 박문정(朴文正) 등 58명 선발.

명경(明經) : 1명 선발

 

077 ● 고종 34년(1247) 4월

시험관 : 태복경(太僕卿) 최자(崔滋)

선발수 : 시부(詩賦)로 정순(鄭淳)과 십운시(十韻詩)로 염수정(廉守貞) 등 90명 선발. 명경(明經) : 5명 선발

 

078 ● 고종 36년(1249) 4월

시험관 :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 조수(趙修)

선발수 : 시부(詩賦)로 손창연(孫昌衍)과 십운시(十韻詩)로 정일린(鄭一麟) 등 95명 선발.

명경(明經) : 6명 선발

 

079 ● 고종 38년 4월

시험관 : 판비서성(1251)사(判秘書省事) 이순목(李淳牧)

선발수 : 시부(詩賦)로 노원(盧元) 등 39명과 십운시(十韻詩) 및 명경(明經)으로 합계 60명 선발

 

080 고종 40년(1251) 4월

시험관 : 대사성(大司成) 이장용(李藏用)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중위(金仲偉) 등 30명과 십운시(十韻詩)로 김명(金命) 등 60명 선발.

명경(明經) : 8명 선발

 

081 ● 고종 41년(1252) 4월

시험관 : 비서감(秘書監) 하천단(河千旦)

선발수 : 시부(詩賦)로 이소(李邵) 등 33명과 십운시(十韻詩)로 곽홍조(郭洪祚) 등 52명 선발.

명경(明經) : 3명 선발

 

082 ● 고종 42년(1253) 5월

시험관 : 태복경(太僕卿) 유경(柳璥)

선발수 : 시부(詩賦)로 왕윤(王胤) 등 34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이수경(李受庚) 등 54명 선발.

명경(明經) : 4명 선발

 

083 ● 고종 44년(1255) 윤4월

시험관 : 상서우승(尙書右丞) 최윤개(崔允愷)

선발수 : 시부(詩賦)로 임춘수(林椿壽) 등 17명과 십운시(十韻詩)로 황공석(黃公石) 등 27명 선발.

명경(明經) : 1명 선발

 

084 ● 고종 45년(1256) 3월

시험관 : 태복시사(太僕寺事) 한취(韓就)

선발수 : 이원(李源) 등 65명 선발

 

085 ● 원종 원년(1260) 5월

시험관 : 허수(許遂)

선발수 : 시부(詩賦)로 오한경(吳漢卿) 등 80명과 십운시(十韻詩)로 김득균(金得鈞) 등 25명 선발.

명경(明經) : 1명 선발

086 ● 원종 2년(1261) 5월

시험관 : 상서우승(尙書右丞) 유천우(兪千遇)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수연(金守衍) 등 21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임기(林杞) 등 35명 선발

 

087 ● 원종 4년(1263) 5월

시험관 :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정의(鄭義)

선발수 : 김양유(金良裕) 등 55명 선발

 

088 ● 원종 6년(1265)

시험관 : 임목(任睦)

선발수 : 박안(朴安)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89 ● 원종 8년(1267) 시험관 : 김구(金坵) 선발수 : 이회(李繪) 등 선발(인원 수 미상)

 

090 ● 원종 10년(1269) 4월 시험관 : 원부(元傅) 선발수 : 방선로(方宣老) 등 90명 선발

 

091 ● 원종 12년(1271) 5월 시험관 : 대사성(大司成) 한강(韓康) 선발수 : 양순(梁淳) 등 53명 선발

 

092 ● 원종 14년(1273) 9월

시험관 : 한림시독학사(韓林侍讀學士) 임익(任翊)

선발수 : 시부(詩賦)로 문관지(文貫之) 등 19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양균(梁均) 등 39명 선발.

명경(明經) : 1명 선발

 

093 ● 충렬왕 원년(1275) 4월

시험관 : 상서우승(尙書右丞) 이인성(李仁成)

선발수 : 시부(詩賦)로 김태현(金台鉉) 등 21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조진(趙戩) 등 49명 선발.

명경(明經) : 2명 선발

 

094 ● 충렬왕 2년(1276) 8월

시험관 : 판비서사(判秘書事) 주열(朱悅)

선발수 : 시부(詩賦)로 이지환(李之桓) 등 30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이연(李緣) 등 28명 선발

 

095 ● 충렬왕 3년(1277)

시험관 :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김주정(金周鼎)

선발수 : 시부(詩賦)로 정공단(鄭公旦) 등 31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정구(鄭龜) 등

39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3명 선발

 

096 ● 충렬왕 5년(1279) 5월

시험관 : 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 정흥(鄭興)

선발수 : 시부(詩賦)로 백원항(白元恒) 등 32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정시(鄭時) 등 31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2명 선발

 

097 ● 충렬왕 8년(1282) 3월

시험관 : 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 반부(潘阜)

선발수 : 시부(詩賦)로 박문정(朴文靖) 등 38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안석(安碩) 등 51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2명 선발

 

098 ● 충렬왕 9년(1283) 5월

시험관 : 비서소윤(秘書小尹) 김응문(金應文)

선발수 : 시부(詩賦)로 이부(李榑) 등 38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이응(李膺) 등 46명 선발

 

099 ● 충렬왕 11년(1285) 4월

시험관 : 판비서사(判秘書事) 안진(安戩)

선발수 : 시부(詩賦)로 윤신걸(尹莘傑) 등 31명과 십운시(十韻詩)로 24명 선발

 

100 ● 충렬왕 12년(1286) 5월

시험관 : 최전(崔甸)

선발수 : 시부(詩賦)로 임홍기(任弘基) 등 36명과 십운시(十韻詩)로 40명 선발

 

101 ● 충렬왕 13년(1287) 5월

시험관 : 임정기(林貞杞) 선발수 : 이규(李摎) 등 85명 선발

 

102 ● 충렬왕 15년(1289) 10월

시험관 : 우부승지(右副承旨) 이혼(李混)

선발수 : 김승인(金承印) 등 70명 선발

 

103 ● 충렬왕 18년(1292) 6월

시험관 : 좌승지(左承旨) 정해(鄭瑎)

선발수 : 이언충(李彦忠) 등 61명 선발

 

104 ● 충렬왕 21년((1295) 9월

시험관 : 김훤(金暄) 확인요망

선발수 : 이관(李琯) 등 70여 명 선발

 

105 ● 충렬왕 22년(1296) 9월

시험관 : 좌승지(左承旨) 윤보(尹珤)

선발수 : 최응(崔凝) 등 70여 명 선발

 

106 ● 충렬왕 25년(1299) 9월

시험관 : 김태현(金台鉉)

선발수 : 이천(李蒨) 등 70여 명 선발

 

107 ● 충렬왕 26년(1230) 3월

시험관 : 우부승지(右副承旨) 오기(吳祈)

선발수 : 김랑운(金琅韻) 등 69명 선발

 

108 ● 충렬왕 27년(1231) 4월

시험관 : 정선(鄭僐)

선발수 : 이봉룡(李鳳龍) 등 77명 선발

 

109 ● 충렬왕 28년(1232) 3월

시험관 : 박전(朴顓)

선발수 : 양성자(梁成梓) 등 70명 선발

 

110 ● 충렬왕 29년(1233) 5월

시험관 : 오연(吳演)

선발수 : 구환(具桓) 등 99명 선발

 

111 ● 충렬왕 31년(1235) 3월

시험관 : 우승지(右承旨) 안우기(安于器)

선발수 : 이문언(李文彦) 등 73명 선발

 

112 ● 충숙왕 4년(1317)

시험관 : 박효수(朴孝修)

선발수 : 구재(九齋) 삭시(朔試) 시험으로 김현구(金玄具) 등 선발(인원 수 미상)

 

113 ● 충숙왕 7년(1320) 8월

시험관 : 우대언(右代言) 허부(許富)

선발수 : 고부(古賦)로 정을보(鄭乙補)와 십운시(十韻詩)로 배중보(裵仲輔) 등 80명 선발

 

114 ● 충숙왕 13년(1326)

시험관 : 신장(辛蔵)

선발수 : 이달중(李達中) 등 선발(인원 수 미상)

 

115 ● 충숙왕 17년(1330) 9월

시험관 : 대언(代言) 윤지현(尹之賢)

선발수 : 손광사(孫光嗣) 등 99명 선발

 

116 ● 충혜왕 원년(1331) 4월

시험관 : 성균좨주(成均祭酒) 김우류(金右鏐)

선발수 : 탁광무(卓光茂) 등 90명 선발

 

117 ● 충숙왕 후 8년(1340) 정월

시험관 : 윤택(尹澤)

선발수 : 안원룡(安元龍) 등 99명 선발

 

118 ● 충혜왕 후 원년(1341)

시험관 : 김진(金稹)

선발수 : 양윤식(梁允軾) 등 선발(인원 수 미상)

 

119 ● 충혜왕 후 2년(1342)

시험관 : 김광재(金光載)

선발수 : 성원달(成元達) 등 선발(인원 수 미상)

120 ● 충혜왕 후 3년(1343)

시험관 : 민사평(閔思平)

선발수 : 김응(金鷹) 등 99명 선발

 

※고려사 선거지에는 이때 시험관이 누구인지 기록돼 있지 않으나, <목은집>의 ‘파평군(坡平君) 윤공(尹公)의 묘지명

병서에 보면 당시 공거는 민사평으로 기록돼 있다. <국역 목은집> 제11권 244쪽

 

임오년(1342, 충혜왕 복위 3)에 친어군호군(親御軍護軍)으로 승진하였다. 이때 감시(監試)의 주사(主司)인 민사평

(閔思平)의 집종들이 성 밖에서 나무를 하면서 살아 있는 소나무를 베었는데, 반주(班主)인 인안(印安)이 마침 교외

에 나갔다가 이를 목격하고는 법으로 금지하는 일이므로 못하게 막았는데, 그가 반주라는 사실을 종들이 알지 못하

고서 공동으로 가격(加擊)하여 다리에 부상을 입혔다.

 

이에 왕이 크게 노하여 중방[重房 : 정당(政堂)]으로 하여금 주사(主司)의 집을 부수게 하자, 공이 아뢰기를 “종들

은 참으로 죄가 있다고 하겠습니다마는, 주인이야 그 일과 무슨 관계가 있겠습니까. 그리고 지금 많은 선비들이 눈

을 비비고서 방방(放榜)을 기다리고 있는데, 만약 주사의 집을 부순다면 주사가 무슨 마음으로 답안지를 채점할 수

있겠습니까.” 하였는데, 얼마 뒤에 상의 노여움이 풀려 그 일이 잠잠해지게 되었다.

 

121 ● 충목왕 초년(1345)

시험관 : 좨주(祭酒) 전숙몽(田淑蒙)

선발수 : 안보린(安保麟) 등 99명 선발

 

122 ● 충목왕 3년(1347) 4월

시험관 : 대언(代言) 정사탁(鄭思度)

선발수 : 시부(詩賦)로 박형(朴形) 등 52명과 십운시(十韻詩)로 김득제(金得齊) 등 46명 선발

 

123 ● 공민왕 2년(1353) 4월

시험관 : 집의(執義) 송천봉(宋天鳳)

선발수 : 한달한(韓達漢) 등 82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5명 선발

 

124 ● 공민왕 4년(1355) 정월

시험관 : 우대언 유숙(鏐淑)

선발수 : 전익(全翊) 등 95명 선발

 

125 ● 공민왕 6년(1357) 3월

시험관 : 어사대부(御史大夫) 신군평(申君平)

선발수 : 이준(李竴) 등 98명 선발

 

126 ● 공민왕 9년(1360) 9월

시험관 : 어사대부(御史大夫) 이교(李嶠)

선발수 : 박계양(朴季陽) 등 99명 선발

127 ● 공민왕 11년(1362) 9월

시험관 : 지신사(知申事) 원송수(元松壽)

선발수 : 허시(許時) 등 101명 선발

:

128 ● 공민왕 14년(1365) 10월

시험관 : 전리판서(典理判書) 한 장(韓蔵)

선발수 : 고부(古賦)로 민안인(閔安仁) 등 55명과 십운시(十韻詩)로 임간(林幹) 등 41명 선발

 

129 ● 우왕 2년(1377) 5월

시험관 : 지신사(知申事) 곽추(郭樞)

선발수 : 정희(鄭熙) 등 99명 선발

 

130 ● 우왕 3년(1378) 3월

시험관 : 지신사(知申事) 김도(金濤)

선발수 : 정준(鄭竴) 등 99명 선발

 

131 ● 우왕 6년(1381) 5월

시험관 : 우대언(右代言) 서균형(徐均衡)

선발수 : 이여량(李汝良) 등 99명 선발

 

132 ● 우왕 8년(1383) 4월

시험관 : 상호군(上護軍) 이숭인(李崇仁)

선발수 : 이승상(李升商) 등 99명 선발

 

133 ● 우왕 9년(1384) 4월

시험관 : 지신사(知申事) 염정수(廉廷秀)

선발수 : 우홍명(禹洪命) 등 99명 선발. 명경(明經)으로 6명 선발

 

134 ● 우왕 11년(1386) 4월

시험관 : 좌대언(左代言) 윤취(尹就)

선발수 : 임공위(任公緯) 등 99명 선발

 

135 ● 우왕 12년(1387) 4월

시험관 지신사(知申事) 권집경(權執經)

선발수 : 정곤(鄭坤) 등 99명 선발

 

136 ● 창왕 즉위년(1389) 8월

시험관 : 지신사(知申事) 이종학(李種學)

선발수 : 맹사겸(孟思謙) 등 99명 선발

 

137 ● 창왕 원년(1390) 8월

시험관지신사(知申事) 권주(權鑄)

선발수황눌(黃訥) 등 99명 선발

 

138 ● 공양왕 2년(1391) 윤4월

시험관 : 지신사(知申事) 민개(閔開)

선발수 : 이적(李逖) 등 99명 선발

 

139 ● 공양왕 4년(1393) 3월

시험관 : 지신사(知申事) 이첨(李詹)

선발수 : 이맹준(李孟畯) 등 99명 선발. <끝>

 

'■ 보학 > 고려列朝登科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락군 김묘 문과등과혹  (0) 2013.04.14
고려문과방목 소장처  (0) 2012.11.08
고려 사마방목에 대하여~~~  (0) 2011.03.26
이종학(李種學)  (0) 2010.04.17
이종선(李種善)  (0) 2010.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