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고려시대 인물

영정

야촌(1) 2010. 2. 16. 01:37

↑익재 이제현선생 초상[益齋 李齊賢先生 肖像(國寶 第110號)]  

 

가로 177.3㎝×세로 93㎝, 元나라 최고의 화가 진감여(陳鑑如)가 선생 나이 33세 되던 1319년 고려 충선왕을 시종 원(元)나라에 갔을때 그린 화상이다. 오늘날 국립중안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는 고려 후기 1287년(충렬왕 13)~1367년(공민왕 16)의  문신(高麗後期文臣)이자 학자(學者)이다. 이제현(李齊賢)은 원(元) 나라의 만권당서 조맹부 등과 교유하며 고려에 신학문과 사상을 소개하고, 성리학을 전파, 발전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號)는 익재(益齋), 역옹으로,『국사』『역옹패설』등을 남겼다.  

 

 

↑의성김씨 청계대조(靑溪大祖)  김 진(金 璡, 1500~1580) 영정

 

크기 : 가로 109㎝×세로142㎝ 모시바탕에 채색 1572년(선조5년) 72세때 그림으로, 보물 제1221호, 소유자는 김창균 이며, 현재 한국 국학진흥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인동 장씨 연복군(延福君) 장말손(張末孫)의 영정

 

1431년(세종 13)∼1486년(성종 17). 크기는 가로 107㎝×세로171㎝ 연복군으로 봉해진 1482년(성종 13년) 그려졌으며, 보물 제502호. 세조∼성종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윤(景胤).시호는 안양(安襄). 1459년(세조 5)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1463년(세조 8) 승문원 박사를 거쳐 한성참군(漢城參軍) ·사헌부 감찰 ·함길도병마도사(兵馬都事) 등을 지냈다.  

 

 

↑영천이씨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 영정(1467∼1555) 보물 제872호.

 

조선중종 때의 문신,  자(字)는 비중(棐仲). 호(號)는 농암(聾巖). 벼슬은 지중추부사에 이르렀으며, 만년에 고향으로 은퇴하여 시가를 읊조리며 생활하였다. 작품에〈어부사(漁夫詞)〉〈춘면곡(春眠曲)〉〈효빈가(效嚬歌)〉, 저서에 《농암집》 따위가 있다.

 

 

↑청주정씨 약포(藥圃) 정 탁(鄭 琢,1526∼1605)  영정

 

 보물 제487호

본관 청주(淸州). 자(字)는 자정(子精). 호(號)는 약포(藥圃) ·백곡(佰谷). 시호(諡號)는 정간(貞簡). 이황(李滉)과 조식(趙植)에게서 학문적 영향을 받았다. 1552년(명종 7)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558년 식년문과(式年文科) 병과에 급제한 뒤 정언(正言), 헌납(獻納)을 거쳐 1568년(선조 1) 교리 겸 춘추관기주관(校理兼春秋館記注官)이 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좌랑, 응교(應敎) 등을 지냈다. 

 

 

↑한산이씨 목은(牧隱) 이 색(李 穡, 1328∼1396) 영정.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1호.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본관은 한산으로, 자는 영숙(潁叔), 호는 목은(牧隱),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찬성사(贊成使) 이곡(李穀)의 아들이며, 익재 이제현(李齊賢)의 제자로 고려 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이다.

 

 

↑안동권씨 감고당(感顧堂) 권희학(權喜學) 영정

 

1672년(현종 13)∼1742년(영조 18).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문중(文仲) 호는 감고당(感顧堂)으로 명형(命逈)의 아들이다.


1697년(숙종 23) 세자책봉주청사(世子册封奏請使) 최석정(崔錫鼎)의 군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교련관(敎鍊官)이 되고, 그뒤 여러 고을의 첨사를 역임했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금위영교련관으로 도순무사(都巡撫使) 오명항(吳命恒)을 따라 안성·죽산 등지에서 전공을세워 난을 평정, 공신(奮武功臣) 3등에 책록되고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라 화원군(花原君)에 봉해졌다.

 

그 뒤 곤양군수·운산군수·장연부사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역임하면서 선정을 배풀어 그 업적이 오래도록 칭송되었다. 

 

 

↑담양전씨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 영정.

 

전라북도 전주 출신. 본관은 담양(潭陽). 조선후기의 성리학자, 字 자명(子明) 1905년 을사조약 체결되자 서명한 대신들을 죽여야 한다고 소(疏)하고 1910년 한일 합병이 되자 왕등도(暀嶝島)·군산도(群山島) 등으로 들어가 나라는 망하더라도 도학(道學)을 일으켜 국권을 회복하겠다고 결심, 부안·군산 등의 앞 바다에 있는 작은 섬을 옮겨 다니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1912년 계화도(界火島)에 정착하여 계화도(繼華島: 중화를 잇는다는 뜻)라 부르면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저술과 제자 양성에 힘썼다.

 

 

↑인동 장씨 회당(晦堂) 장석영(張錫英, 1851.10. 4∼1926. 7. 17) 영정

 

경북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자는 순화(舜華)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항일운동 청참오적소(請斬五賊疏) 상소를 올리고, 칠곡지방 국채보상회장 활동과, 파리장서초안을 작성했다.

 

 

↑일직손씨(一直孫氏) 시조 죽석(竹石) 손홍량(孫洪亮) 영정

 

1287년(충렬왕 13)∼1379년(우왕 5). 고려 말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본래의 성은 순씨(筍氏)였으나 현종의 이름과 같아서 그것을 피해 5대조 응(凝) 때 손씨로 고쳤다. 

 

충선왕때 과거에 급제하여 충숙, 충혜 양조에 벼슬하고 1348년(충목왕 4) 첨의평리(僉議評理)로서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왔으며, 1349년(충정왕 1) 추성수의동덕찬화공신(推誠守義同德贊化功臣)에 봉해지고,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를 거쳐 판삼사사(判三司事)가 되었다.이듬해 복천부원군(福川府院君)에 봉해졌으며, 1351년 치사(致仕)하였다.

 

1362년(공민왕 11) 홍건적의 난으로 왕이 복주(福州: 지금의 安東)로 피난할 때 중도에서 평복으로 왕을 맞아 치하를 받았으며, 1364년 난의 평정을 축하하기 위해 서울에 올라가서 왕으로부터 궤장(几杖)과 자신의 초상화를 받았다고 전한다.

 

고향으로 돌아올 때 이제현(李齊賢)‧ 이색(李穡)등 학자들이 시를 지어 전송하였다고 한다. 시호는 정평(靖平)이다. 이 초상화의 원본은 안동 임하사(臨河寺)에 보관되다 1573년 후손들의 밀양 이주로 밀양 재약사 안영암으로 옮겨졌으나  임진왜란때 화재로 소실된 것으로 추정되고, 본 이모본은 후손 일직손씨 문중이 1972년 지리산 벽송사에서 찾아 밀양 세덕사(世德祠)로 옮겨 보존되고 있다.

 

 

↑진성이씨 송재(松齋)  이 우(李 隅, 1469∼1517) 영정

 

퇴계선생의 숙부로 1498(연산군 4년) 문과 급제, 중종반정 공로로 국공식(靖國功臣) 4등 책봉 청해군(淸海君) 수봉 초상화는 공신도상(功臣圖像)으로 종가에서 보관 단령의 짙푸른 색은 후대에 와서 가채(加彩)한 것으로 보인다.

 

 

↑烏川鄭氏 명고(鳴皐) 정 간(鄭 幹, 1692∼1757) 영정.

 

1715년 숙종41년 생원, 1725년(영조) 문과 급제, 학문 탁월, 내직에 있을 때, 국론을 바로잡고, 외직에 있을때는 투철한 청백리였다,  묘(墓)는 영천시 청통면 망지동에 소재한다.

 

 

↑평산 신씨 물촌(物村) 신종위(申從渭, 1501∼1583) 영정.

 

조선중기의 학자,  가로 120㎝×세로 183㎝ 전신좌상 초상화로 임란전 1580년에 그려짐, 청송 물촌종택 보관 하다가 국학진흥원에 기탁함.

 

[위 영정의 목록]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1287~1367)

◇청계 김진(靑溪 金璡,1500~1580)

◇연복군 장말손(延福君 張末孫,1431~1486))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1467~1555)

◇약포 정탁 (藥圃 鄭 琢,1526∼1605))

◇목은 이색(牧隱 李 穡, 1328∼1396)

◇감고당 권희학(感顧堂 權喜學,1672~1742)

◇간재 전우(艮齋 田愚, 1841∼1922)

◇화당 장석영(晦堂 張錫英,1851~1926)

◇죽석 손홍량(竹石 孫洪亮,1287~1379)

◇송재 이우(松齋 李 隅,1469∼1517)

◇명고 정간(鳴皐 鄭 幹,1692∼1757)

◇물촌 신종위(物村 申從渭,1501∼1583)

'■ 인물 > 고려시대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현보(禹玄寶 : 1333~1400)  (0) 2010.04.17
조일신(趙日新)  (0) 2010.02.25
권중화(權仲和)  (0) 2010.01.07
최해(崔瀣)  (0) 2010.01.07
설경수(偰慶壽)  (0) 2010.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