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묘갈명,묘비,묘표

退溪 先生 墓碣銘/墓誌銘

야촌(1) 2009. 12. 13. 14:00

■퇴계 이황(退溪 李滉)

   [생졸년] 1501년(연산군 7) ~ 1570년(선조 3) /  壽70歲

 

 

퇴계 선생 자찬 묘갈명(退溪 先生 自撰 墓碣銘)

 

자찬(自撰) - 이황(李滉)

 

태어나서는 크게 어리석었고 / 生而大癡

장성하여서는 병이 많았네. / 壯而多疾

 

중년에는 어찌 학문을 좋아했으며 / 中何嗜學

말년에는 어찌 벼슬에 올랐던고 / 晩何叨爵

 

학문은 구할수록 멀기만 하고 / 學求猶邈

관작은 사양할수록 몸에 얽히네. / 爵辭愈嬰

 

세상에 진출하면 실패가 많았고 / 進行之跲

물러나 은둔하면 올 발랐네 / 退藏之貞

 

국가의 은혜에 깊이 부끄럽고 / 深慙國恩

성인의 말씀이 참으로 두려워라 / 亶畏聖言

 

산은 높이 솟아 있고 / 有山嶷嶷

물은 끊임없이 흐르는데 / 有水源源

 

선비의 옷을 입고 한가로이 지내니 / 婆娑初服

뭇 비방에서 벗어났네. / 脫略衆訕

 

내 그리워하는 분 저 멀리 있어 볼 수 없으니 / 我懷伊阻

나의 패옥 누가 구경해 주리 / 我佩誰玩

 

내 고인을 생각하니 / 我思故人

실로 내 마음과 맞는 구나 / 實獲我心

 

어찌 후세 사람들이 / 寧知來世

지금의 내 마음을 모른다 하랴 / 不獲今兮

 

근심스러운 가운데에 낙이 있고 / 憂中有樂

즐거운 가운데에 근심이 있네. / 樂中有憂

 

조화를 타고 돌아가니 / 乘化歸盡

다시 무엇을 구하리. / 復何求兮

------------------------------------------------------------------------------------------------------------------------------------

 

퇴계 선생 묘갈명(退溪先生墓碣銘)

 

고봉 기대승 찬(高峯 奇大升 撰)

 

융경(隆慶) 4년(1570, 선조3) 봄에 퇴계 선생은 나이가 70세였는데, 재차 전문(箋文)을 올려서 치사(致仕)할 것을 청했으나 상(上)이 허락하지 않았으며, 가을에 또다시 치사를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12월 신축일에 선생께서 별세하시어 부음(訃音)이 전해지자, 상은 크게 애도하시며 영의정을 추증하고 장례는 의정(議政)의 예를 쓰도록 명하였다. 

 

멀고 가까운 지방에서는 이 소식을 듣고 모두들 슬퍼하고 애석해하며 서로 곡하고 조문하였다. 

다음 해 3월 임오 일에 집 동쪽의 건지산(搴芝山/안동 예안에 소재함)에 안장하였다.

 

선생의 성은 이 씨이고, 휘는 황(滉)이며, 자는 경호(景浩)이다. 일찍이 퇴계(退溪)에 집터를 정하여 살고 인하여 스스로 호(號)로 삼았으며, 뒤에 도산(陶山) 에다가 서당을 짓고 또 도수(陶叟)라고도 불렀다. 그 선대는 진보현(眞寶縣) 사람이었다.

6대조 석(碩)은 고을의 아전으로서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밀직사(密直使)에 추증되었다.

 

아드님인 자수(子修)는 벼슬이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에 이르렀으며 홍건적(紅巾賊)을 토벌하여 공을 세우고 송안군(松安君)에 봉해졌는데, 이분이 안동(安東) 주촌(周村)으로 이거(移居)하였다. 고조의 휘는 운후(云侯)인데 벼슬이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으로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추증되었으며, 고조비는 숙인(淑人) 권씨(權氏)이다. 

 

증조의 휘는 정(禎)인데 벼슬이 선산 도호부사(善山都護府使)로 호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증조비는 정부인(貞夫人) 김씨(金氏)이다. 조(祖)의 휘는 계양(繼陽)인데 성균 진사(成均晉士)로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이분이 예안(禮安)으로 이거하여 온계리(溫溪里)에 거주하였다. 

 

조비는 정부인 김 씨이다. 선고(先考)의 휘는 식(埴)인데 성균 진사로 여러 번 추증을 받아 숭정대부(崇政大夫)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이르렀으며, 선비(先妣)는 의성 김씨(義城金氏)와 춘천 박씨(春川朴氏)로 모두 정경부인(貞敬夫人)에 추증되었다.

 

선생은 출생하신 지 한 돌이 못 되어 부친을 여의고, 어려서는 숙부인 송재공(松齋公)에게 수학하였다. 이미 장성해서는 학문에 힘쓰고 뜻을 가다듬어 더욱더 스스로 각고하였다. 가정(嘉靖) 무자년(1528, 중종23)에 진사가 되고, 갑오년(1534)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가 되었다가 박사(博士)로 옮겼으며,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과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역임하였다.

 

정유년(1537) 겨울에 모친상을 당했으며, 그 후 삼년상을 마치고는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에 임명되었다. 그 후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과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형조정랑(刑曹正郞)과 홍문관부교리 겸 세자시강원문학(弘文館副校理兼世子侍講院文學), 의정부 검상(議政府檢詳)을 지냈으며, 다시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으로 옮기고,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과 성균관사예 겸 시강원필선(成均館司藝兼侍講院弼善),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과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에 임명되었는데, 성균관 사성으로 있을 때에는 휴가를 얻어 성묘하였다.

 

다음 해인 갑진년(1544) 봄에는 홍문관 교리로 소환되어 좌필선(左弼善)에 임명되고, 홍문관 응교와 전한(典翰)으로 천직되었다가 병으로 면직되었으며, 사옹원 정(司饔院正)이 되었다가 전한에 다시 임명되었다. 이때 간신 이기(李芑)가 삭탈관직 하도록 계청(啓請)하였다가 얼마 후 이기가 또다시 삭탈관직하지 말도록 청하였다. 그리하여 선생은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임명되었다.

 

병오년(1546, 명종1) 봄에는 휴가를 받아 외구(外舅)를 장례하고 병으로 체직되었다. 

다음 해인 정미년(1547) 가을에는 응교로 임명되고 부름을 받았으나 서울에 도착한 다음 병으로 면직되었다.

 

무신년(1548) 1월에는 외직으로 나가 단양군수(丹陽郡守)가 되었다가 풍기(豐基)를 맡았다. 

기유년(1549) 겨울에는 병으로 사직하고, 고향으로 곧바로 돌아갔다가 탄핵을 받아 두 품계를 박탈당하였다.

 

임자년(1552) 여름에는 교리에 임명되어 부름을 받아 조정에 돌아와 사헌부 집의에 제수되었으며, 다시 부응교로 옮겨졌다가 성균관 대사성으로 승진되었다. 그 후 병으로 면직되었다가 다시 대사성이 되고, 형조참의와 병조참의가 되었으나 모두 병으로 면직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가 되었다.

 

을묘년(1555) 봄에 휴가로 있던 중 해직되자 배를 세내어 동쪽으로 돌아왔다. 그 후 첨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으며,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에 임명되고 연달아 부르는 명을 받았으나 모두 병으로 사양하였다.

 

무오년(1558) 가을에는 상소하여 면직되기를 청하고 부르는 명을 거두어 줄 것을 청하였으나, 상은 비답(批答)을 내려 허락하지 않았다. 선생이 도성에 들어가 사은하니 대사성에 임명되고, 얼마 후에는 공조참판에 임명되었다. 

 

선생은 여러 번 사양하였으나, 상은 허락하지 않았다. 다음 해 봄에 휴가를 받아 고향으로 돌아가고 세 번이나 글을 올려 면직되기를 청하여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임명되었다. 을축년(1565) 여름에는 글을 올려 간곡히 사양하여 벼슬을 그만두고 집에 기거하였다. 

 

겨울에 상이 특지를 내려 부르고 다시 동지중추부사에 임명하였다. 병인년(1566) 1월에 선생은 병을 무릅쓰고 길에 올라 글을 올려 치사하기를 청했는데, 서울에 올라오는 도중 공조판서에 임명되고 또 대제학에 겸직되었다. 

 

선생은 마침내 새로 내린 벼슬을 극력 사양하고 집에 돌아와 죄를 받기를 기다렸다. 그리하여 벼슬이 체직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임명되었다. 정묘년(1567, 명종22) 봄에는 명나라 사신이 서울에 오게 되었으므로 부르는 명이 있었다. 

 

선생은 6월 도성에 들어갔는데, 이때 마침 명종이 승하하고 금상(今上 선조)이 뒤를 이었다. 금상이 선생을 예조 판서로 임명하자, 선생은 사양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그 후 병으로 면직되고 즉시 동쪽으로 돌아왔다. 10월에 부르는 명을 받고 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으며, 곧바로 상이 교서를 내려 올라올 것을 재촉하자 선생은 상소를 올려 간곡히 사양하였다.

 

무진년(1568, 선조1) 1월에 의정부 우찬성에 임명되자, 선생은 다시 상소하여 받기 어려운 의리를 극구 말하였다. 

또 교서를 내려 올라올 것을 재촉하자 선생은 글을 올려 간곡히 사양하니 체차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가 되었다.

 

7월에 선생은 대궐에 나아가 사양하고 글을 올려 6개 조항을 아뢰었으며 또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올렸다. 

그 후 대제학과 이조판서, 우찬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극력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기사년(1569) 3월에는 차자(箚子)를 올려 돌아갈 것을 요청하였는데, 차자를 네 번이나 올리면서 그치지 않았다. 

상은 더 이상 만류할 수 없음을 아시고는 인견(引見)하여 타이르시고 역졸로 하여금 보호하여 보내도록 하였다. 

 

이달에 선생은 집에 도착한 다음 글을 올려 사은하고 인하여 치사할 것을 청하였다. 처음에 선생은 병환이 위중해지자 아들인 준(寯)에게 경계하기를 “내가 죽으면 예조에서는 반드시 준례에 따라 예장(禮葬)을 하도록 청할 것이니 너는 모름지기 나의 유명(遺命)이라 칭하고 상소하여 굳이 사양하며, 또 비석을 쓰지 말고 다만 작은 빗돌에다가 전면(前面)에는 ‘퇴도 만은 진성 이공지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라고만 쓰고 세계(世系)와 행실을 뒤에다 간략히 서술하여 《가례(家禮)》에서 말한 바와 같이 하여야 한다.” 하셨다.

 

그리고 또 말씀하기를 “이 일을 만일 남에게 부탁하여 할 경우 아는 사람 중에 기고봉(奇高峯) 같은 이는 반드시 실상이 없는 일을 장황히 늘어놓아 세상에 비웃음을 받을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일찍이 스스로 나의 뜻을 기술해서 미리 명문을 짓고자 하였으나 미뤄 오다가 끝내지 못하고 난고(亂稿) 가운데 보관되어 있으니 찾아서 써야 한다.” 하였다.

 

준은 이 경계를 받고 선생이 별세하자 두 번이나 상소하여 예장을 사양했으나 허락되지 않자 감히 끝까지 사양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묘도(墓道)의 표(表)는 유계(遺戒)에 따라 그 명문을 그대로 썼다.

 

아, 슬프다. 선생의 훌륭한 덕과 큰 업적이 우리 동방에 으뜸임은 당세 사람들이 다 알고 있다. 후세의 학자들도 선생이 말씀하고 저술한 것을 관찰한다면, 장차 반드시 감발(感發)되고 묵계(默契)되는 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명문 중에 서술하신 것은 더욱 그 은미한 뜻을 상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우활하고 어리석기 짝이 없는 나는 선생의 장려를 받아 성취되었으니 부모와 천지의 은혜보다도 더한데 선생이 별세하니, 태산이 무너진 듯 대들보가 꺾인 듯하여 의귀(依歸)할 곳이 없다. 남기신 경계 말씀을 엎드려 생각하니 감히 어길 수가 없으나, 묘도에 게시하여 후세에 알리는 것을 또한 안 할 수 없으므로 그 대략을 기록하고 이에 대한 말을 붙인다.

 

선생은 어려서부터 단정하고 질서가 있었으며, 장성하여서는 더욱 함양하고 결점을 고쳐 나갔다. 중년 이후로는 부귀공명을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 탐구에 힘써서 미묘한 진리를 환히 꿰뚫어 충적(充積)하고 발양하여 사람들이 측량할 수가 없었는데, 선생은 겸허하고 공손하시어 마치 아무것도 없는 듯이 하였다. 날마다 공부를 새롭게 하고 위로 천리(天理)를 통달하여 그치지 않았다.

 

출처와 거취의 문제에 있어서는 때를 보고 의리를 헤아려 자신의 마음에 편안한 바를 추구하고 또한 끝내 굽히지 않았다. 그 논저는 반복하고 무궁하며 광명하고 위대하여 한결같이 순수하게 정도(正道)에서 나왔으니, 저 공맹(孔孟)과 정주(程朱)의 말씀으로 헤아려 봄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 적다.

 

선생 역시 천지에 세워도 어그러지지 아니하고 귀신에게 질정하여도 의심이 없다고 이를 만하니, 아, 훌륭하다. 선생은 재취하였다. 먼저는 모군(某郡) 허씨(許氏)에게 장가들었는데 그는 진사 허찬(許瓚)의 따님으로 두 아들을 생산하였으며, 뒤에는 안동 권씨(安東權氏)에게 장가들었는데 봉사 권질(權礩)의 따님이니, 모두 정경부인에 추증되었다.

 

아들은 장자 준은 봉화현감(奉化縣監)이고, 채(寀)는 일찍 세상을 떠났다. 손자는 셋인데, 안도(安道)는 신유년 생원이고, 다음은 순도(純道)와 영도(詠道)이다. 딸은 둘인데 장녀는 선비인 박려(朴欐)에게 시집갔다. 측실의 아들로는 적(寂)이 있다.

 

[각주]

[주01] 성균 진사(成均晉士) : 진(晉)은 본디 진(進) 자이나 고봉 자신의 아버지 이름자가 진(進)이므로 휘(諱)하여

             뜻과 음이 같은 진(晉) 자로 쓴 것이다.

--------------------------------------------------------------------------------------------------------------------------------------

 

[原文] 

 

退溪先生墓碣銘先生自銘竝書 - 奇大升

 

生而大癡。壯而多疾。中何嗜學。晩何叨爵。學求猶 邈。 爵 辭 愈 嬰。 進 行 之 跲。 退 藏 之 貞。 深慙 國恩。亶畏聖言。有山嶷嶷。有水源源。婆娑初服。脫略衆訕。我懷伊阻。我佩誰玩。我思古人。實獲我心。寧知來世。不獲今兮。憂中有樂。樂中有憂。乘化歸盡。復何求兮。隆慶四年春。 退溪先生年七十。再上箋乞致仕。不許。秋又申乞致仕。不許。十二月辛丑。 先生卒。訃聞。 上震悼。命贈領議政。葬用議政禮。遠近聞之。無不齎咨歎惜。相與吊哭。明年三月壬午。葬家東搴芝山。 先生姓李氏。諱 字 。 嘗卜居退溪。因以自號。後構書堂陶山。又號陶叟。其先眞寶縣人。六世祖碩起縣吏。中司馬試。 贈密直使。有子曰子脩。官至判典儀寺事。討紅賊有功。封柗安君。移居安東周村。高祖諱云侯。軍器寺副正。 贈司僕寺正。妣淑人權氏。曾祖諱禎。善山都護府使。贈戶曹參判。妣貞夫人金氏。祖諱繼陽。成均晉士。 贈吏書判書。移寓禮安。居溫溪里。妣貞夫人金氏。考諱埴。成均晉士。累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妣義城金氏春川朴氏。俱 贈貞敬夫人。 先生生未晬而孤。少受學于叔父松齋公。旣長。劬書厲志。益自刻苦。嘉靖戊子。晉士。甲午登第。爲承文院副正字。轉博士。遷成均館典籍。戶曹佐郞。丁酉冬。丁內艱。服闋。拜弘文修撰。歷司諫院正言,司憲府持平,刑曹正郞,弘文館副校理兼 世子侍講院文學,議政府檢詳,轉舍人,司憲府掌令,成均館司藝兼侍講院弼善司諫院司諫成均館司成。乞假展墓。明年甲辰春。以弘文館校理召還。除左弼善。遷弘文館應敎,典翰。病免。爲司甕院正。復授典翰。李芑啓請削官。已 而芑又請勿削。授司僕寺正。丙午春。乞假葬外舅。以病見遞。丁未秋。授應敎被召旣至病免。戊申正月。出守丹陽郡。換豊基。己酉冬。病辭徑歸。被劾奪二階。壬子夏。拜校理。承召還朝。除司憲府執義。改副應敎。陞秩成均館大司成。病免。復爲大司成。爲刑曹參議。爲兵曹參議。俱以病免。爲僉知中樞府事。乙卯春。在告解職。雇舟東歸。拜僉知中樞。拜弘文館副提學。連被召命。皆辭以病。戊午秋。上疏乞免收召。 御批不許。入都謝恩。拜大司成。俄拜工曹參判。累辭不許。明年春。乞假歸鄕。三上狀請免。授同知中樞府事。乙丑夏。上狀陳懇。解官以居。冬。下旨特召。復授同知中樞。丙寅正月。力疾登道。陳狀乞骸。道拜工曹判書。又兼大提學。遂力辭新命。還家竢罪。遞授知中樞府事。丁卯春。以 詔使將至有召命。六月入都。會 明宗昇遐。今 上嗣服。拜禮曹判書。辭不許。以病免。卽東歸。十月。有召命。授知中樞。旋以敎書促行。具疏力辭。戊辰正月。拜議政府右贊成。又具疏極陳難受之義。又敎書促行。上狀懇辭。遞爲判中樞府事。七月。詣闕謝辭。上疏陳六條。又獻聖學十圖。拜大提學吏曹判書右贊成。皆力辭不拜。己巳三月。上箚乞歸。箚四上猶不已 上知其不可留。引見慰諭。命馳驛護遣。是月。 先生至家。上狀謝恩。仍乞致仕。初 先生寢疾。戒子寯曰。我死。該曹必循例請用禮葬。汝須稱遺令。陳疏固辭。且勿用碑石。只 以小石。題其前曰。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略敍世系行實于後。如家禮所云可也。又曰。此事若託人爲之。相知如奇高峯。必張皇無實之事。以取笑於世。故常欲自述己志。先製銘文。而因循未畢。藏在亂稿中。搜得用之可也。寯旣受戒。再上疏辭禮葬。不得命。遂不敢更辭。墓道之表。用遺戒刻其銘。嗚呼。 先生盛德大業。卓冠吾東者。當世之人。亦旣知之矣。後之學者。觀於 先生所論著。將必有感發默契焉者。而銘中所敍。尤足以想見其微意也。迂愚無狀。蒙 先生奬厲成就。不啻如父母天地之恩。而山頹樑壞。無所依歸。竊念遺戒之言雖不敢違。而所以揭阡詔後者。亦不可泯其跡。敢記其大槪而爲之辭曰。 先生幼而端序。長益涵揉。中歲以後。絶意外慕。專精講究。洞朗微妙。充積發越。人莫能測。而方且謙虛卑遜。若無所有蓋其日新上達。有不能已者。至於出處去就。相時度義。務求吾心之所安。而終亦無所詘焉。其所論著。反覆紆餘。光明俊偉。粹然一出於正。揆諸孔孟程朱之言。其不合者寡矣。亦可謂建諸天地而不悖。質諸鬼神而無疑也。嗚呼至哉。 先生再娶。先娶某郡許氏。晉士瓚之女。産二男。後娶安東權氏。奉事礩之女。俱 贈貞敬夫人。子寯。奉化縣監。寀。早世。孫男三人。曰安道。辛酉生員。曰純道。曰詠道。女二人。長適士人朴欐。側室子一人曰寂。

 

[주01] 書 : 曹

出處 >高峯集第三卷

------------------------------------------------------------------------------------------------------------------------------------

 

退溪先生墓誌銘 - 李德弘

 

徽言輟響。墜緖莫紹。允矣先生。挺生東土。抗志前哲。惟道是求。早脫羈馽。遄返林丘。棲遲靜便。講誦墳籍。潛心力踐。由博造約。旣積之厚。其發也光。謙存尙褧。欲晦彌彰。四朝徵召。卅載行藏。未奮厥庸。彼蒼者天。世懷其德。冀壽萬年。誰謂一疾。遽易曾簀。人亡學絶。吾道無托。吉卜之從。兆此新崗。惟其令聞。愈遠益昌。 <끝>

 

 

간재집 > 艮齋先生文集卷之七 / 雜著

------------------------------------------------------------------------------------------------------------------------------------

 

退溪先生墓誌銘 幷序 - 朴淳

 

隆慶四年十二月辛丑。崇政大夫。判中樞府事兼知經筵春秋館事李公。卒于禮安之私第。其以疾聞也。上命御醫往視之。未至而以訃聞。上震悼。輟朝三日。特贈領議政。有司莅喪。禮比三公。翌年三月二十一日。葬于其縣乾至山某原。公諱滉。字景浩。系出眞寶。其上祖諱碩。五世祖諱子脩。皆仕高麗。碩密直副使。子脩。討紅巾賊有勳。封松安君。高王父諱云候。軍器寺副正。贈通訓大夫,司僕寺正。曾王父諱禎善山都護府使。贈嘉善大夫,戶曹參判。王父諱繼陽。擧進士。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初。松安移居安東地。判書又遷于禮安。家溫溪里。考諱埴。中司馬試。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贊成之弟堣。官至參判。號松齋。兄弟俱勵志讀書。贊成公。時以博洽稱焉。每訓諸子曰。吾平生耽書。未嘗頃刻廢也。汝輩當效之。初娶義城金氏。生二男一女。先卒。後聘春川朴氏別侍衛緇之女。贈貞敬夫人。有子男四人。公於倫次爲季子也。生有異稟。英悟絶人。沈靜端慤。不妄言笑。年未髫齕。已好讀書。學擧子業。中戊子進士。文藝出羣。聲稱日盛。然雅尙不在此。早有求道之志。欲終不應科擧。爲母夫人之養。且迫於諸兄之勸。遂黽勉累歲。登甲午文科。選補承文院權知。例遷授博士。陞成均館典籍。轉戶曹佐郞。自爲六品。爲大夫人。欲乞縣便養而不得。以爲終身之恨。丁酉。遭內憂。服闋。拜弘文館修撰。改司諫院正言。遷司憲府持平。改刑曹正郞。以其在臺時微譴。與其同僚皆罷免。未幾。復授刑曹正郞。每見論囚。輒對案不能食。歷弘文館副校理。拜司憲府持平。改弘文館修撰。尋除副校理。復授司憲府持平。累遷拜議政府檢詳。兼侍講院文學。陞舍人。改司憲府掌令。以疾辭。除宗親府典籤。又遷掌令。再轉成均館司藝。兼侍講院弼善。陞司成。謁告還鄕。遷禮賓寺副正。仍枉鄕病遞。旋授弘文館校理。被召歸朝。兼侍講院文學。轉司憲府掌令。又辭疾。除成均館直講。遷弘文館應敎。復謁告下鄕。尋還朝。是歲甲辰十一月。中廟登遐。公知製敎。製告訃,請諡兩表。又手書之。表至中朝。禮部尙書等。覽表歎服曰。表文旣好。書法亦妙。使臣歸啓其言。仁廟特令賞賜。未久移疾。軍資監僉正,弘文館應敎,典翰。轉司饔院正。又病免。還授典翰。是乙巳九月也。仁廟旣薨。明廟卽位。李芑等當國擅權。方排陷士類。公亦削奪官爵。旣而。李芑等復請敍用。蓋以芑之姪元祿。素敬公學行。故力言其不可害也。拜司僕寺正。以葬舅下鄕。因引疾遞職。俄授校書館校理。轉禮賓寺正。除安東府使。皆病不赴。拜弘文館應敎。承召命而來。未幾。病辭。除儀賓府經歷。力乞補外。出守丹陽郡。爲政淸愼慈恕。民自愛服。郡有佳山水。每於公暇。遊陟吟詠。且記其勝以留郡。後人傳以爲寶。適仲兄瀣爲其路方伯。換授豐基郡守。郡有白雲書院。前守周世鵬所建。公下車卽上書監司。使轉達請賜額書籍。上許之。書院賜額與書。自公始。未久。解綬而歸。吏民遮道涕泣。行李蕭然。惟載數馬而已。遂築室於退溪之上。自號退溪。居一年。拜弘文館校理。復應召命。改司憲府執義。以疾遞。授弘文館應敎。特命陞拜成均館大司成。移疾爲散職。復拜大司成。又病辭。處間秩。歷兵,刑曹參議。病遞。授散職。仍辭歸鄕里。授僉知中樞府事。相臣有論薦者。下書召之。仍拜弘文館副提學。又有召命。皆辭。改授西樞之職。上章力辭不獲。又辭以病。復授閒職。遂赴召拜成均館大司成。特陞工曹參判。爲焚黃。請暇還鄕。先是。公更卜築陶山之下。今始成號陶山精舍。爲終老之所。綸命雖屢降。堅辭不起。明廟命礪城君宋寅。使畫陶山。又書公陶山記及詩篇。作屛簇以進。常置寢殿中。其注眷異常如此。丙寅正月。公年六十六。拜同知中樞府事。下書敦諭。力疾就召。封章辭疾者再。上遣醫問疾。在道拜兼藝文館提學。特授工曹判書兼大提學。又固辭。遂還家。改授知中樞府事。上疏懇辭增秩。上不許。時皇明登極詔使將至。公以製述官被召還朝。此丁卯六月也。明廟賓天。今上卽祚。拜禮曹判書。旣謝恩。卽引疾。八月遞判書。便南還。是時。大行未葬。人皆疑其去就。公曰。昔考亭。以煥章閣待制。不待孝宗發引而行。義所當去。不得不爾也。除散職。召之者三。陳章自劾。乞致仕。上不允。陞拜議政府左贊成。下書促召者又四。懇辭。遞贊成。拜判中樞府事。又辭不獲。入京城之日。走卒咸擧手加額曰。退溪至矣。上亦不名。呼以判府事。朝廷患軍額多缺。將括丁改籍。公啓曰。今年水旱。民迫餓莩。宜少緩以俟豐稔。上曰。爲國而不聽卿言耶。卽命停之。拜弘文館提學。辭不許。上疏陳六條曰。重繼統以全仁孝。杜讒間以親兩宮。敦聖學以立治本。明道術以正人心。推腹心以通耳目。誠修省以承天愛。上御筆褒美之。拜大提學。固辭幾一月。始命遞之。每入侍經幄。講論義理。上必傾意聽納。公請進講西銘。上命公校讐考證。進聖學十圖。又命印頒羣臣。大加崇奬。拜吏曹判書。都人相賀曰。某也秉銓衡。請托自今絶矣。公又辭不受。仍處舊職。時朝廷議德興君追崇名號及立家廟事。公言當稱德興大君。又作廟祀之儀。皆不見用。且明廟當祔文昭殿。公欲於此時。依三代廟制。正太祖東向之位。昭穆南北之序。大臣禮官以爲不可。各以其意啓之。公言竟廢。越數日。公詣闕門外。累上箚乞退。溫諭不允。後數日。又詣。上召見於便殿。公復陳乞三四。上許之。是夕。出宿東湖上。士大夫有識者。無不掩涕。旣退歸。凡乞致仕至五六度。辭極痛切。竟不遂其志。曁寢疾。慮家人或有祈禱之事。切戒禁之。病革。召門生謂曰。平生以謬見。與諸君講論。是亦不易事也。謂子寯曰。死後毋用國葬。以我遺戒。陳疏固辭。且勿建碑。只題小石曰。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足矣。將至屬纊。神明不衰。起居莊敬如平時。命侍人正席而絶。先生生於弘治辛酉十月二十五日。至是享年七十。嗚呼。道之不明不行也。久矣。況吾東方。窮荒僻遠。自箕子以後。上下數千年間。號爲知道者有幾。先生以穎徹之姿。超然獨得於遺編絶簡之中。其學主朱子之書。莊誦精硏。一意下學。寧淺毋深。寧卑毋高。平實的當。循循有序。脈絡不亂。所謂自致知至於知止。誠意至於平天下。灑掃應對至於窮理盡性者。此先生之所期。而日勉乎長進者也。及操存益固。識見愈高。察倫明物。渙然心釋。而淸明洞澈。表裏無雜。泛應曲酬。發必中節。事親盡誠孝。承顔順志。左右無違。仲兄澄。長於公數歲。而事之如嚴父。至老不變。家業素貧。處之裕如。閨門內外。肅穆怡愉。對子弟。未嘗不冠。家人不見其有喜慍之色。與宗族故舊。周窮恤患。恩義俱至。接人溫恭謙謹。少長貴賤。待之各盡其道。賢者樂其德。不賢者愛其和。咸瞻仰而致敬焉。後學請益。相與問答。窮日不倦。然必觀其志之所向而言之。若實無意於正學。則雖子弟。不强也。其言以立志爲先。以謹獨爲重。敎誨諄諄。平易明白。不爲幽深玄窅之說。又以謙虛處之。辨論之際。無間彼已。惟善是從。愛君憂國。出於至性。雖退處田野。心未嘗不在於朝廷。聞一政一令之善。喜不能寐。或擧措失宜。憂形于色。常以輔養君德。鎭定士林爲先務。本少宦情。中廟末年。有大機關。始決退休之意。自是。不能久留於朝廷。而出處進退之義。尤著於晩節。隱然大勇。壁立萬仞。雖自謂賁育。不能奪也。嘗曰。我之去就。前後似異。前則有召輒出。後則雖累被召命。不敢進。蓋位卑則責輕。猶可一出。官高則責重。豈不顧分義而冒進乎。雅好山水。蕭然塵表。風格超邁。外若不事標飭。而自合乎規矩準繩。其所養之渾浩沖融者。亦可見也。公患中國道學失傳。陽明,白沙之說。又出而亂眞。爲跋白沙詩敎,陽明傳習錄。以見其意。又以朱子大全編帙浩穰。學者未能遍究。取其書之尤親切緊要者。節略成書。補以註解。使便覽閱。著啓蒙傳疑。發揮微意。撰理學錄。自宋豫章。以至元朝。道學之士。言行散在諸書者。皆裒集無遺。以續伊洛之淵源。以畢晦菴之餘意。其詩與文。棄少時所習。專學朱子。而尤長於文。書法亦甚遒勁。初。公深自韜晦。雖專精學問。而不發於言語文字。至於朋友。亦未知道學之儒也。及其年益高德益邵。充養旣久。精華自炳。其實自不可掩者。然後學者皆洽然尊師之。其闡明正學。開導後生。使孔孟程朱之道。煥然復明於吾東方者。惟先生一人而已。公凡再娶。先夫人金海許氏。進士瓚之女。後夫人安東權氏。奉事礩之女。皆先卒。有子男二人。長曰寯。以蔭仕爲奉化縣監。次曰寀。早死。俱許氏生也。側室有子男一人。曰寂。孫男三人。曰安道。生員。曰純道,詠道。皆幼。女二人。長適士人朴欐。次幼。銘曰。

墜緖莫紹。微言輟響。卓彼先生。挺生東壤。抗志前哲。惟道是求。早脫覊馵。遄返林丘。棲遲靜便。講誦墳籍。潛思力踐。由博造約。旣積之厚。其發也光。謙存尙褧。欲晦彌彰。四朝徵召。卅載行藏。未奮厥庸。悠悠彼蒼。世懷其德。冀壽且康。誰謂一疾。遽虧大耋。山頹曷仰。人亡學絶。吉卜之後。兆此新崗。惟其令聞。愈遠益昌。<끝>

 

사암집 > 思菴先生文集卷之四 / 碑誌

 

 

 

↑퇴계 선생 묘비> 「퇴도 만은 진성 이공 지 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

    묘비에는 선생의 유지에 따라 관직은 쓰지 않았다. 그 후 고봉 기대승이 쓴

    묘갈문(墓碣文)을 새로 건립하며 새겨 넣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