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그때 그시절

6.25전쟁 사진/국립문서기록보관청

야촌(1) 2007. 5. 4. 12:33

여기 실린 사진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NARA(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and

Records Administration) 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 WAR(한국전쟁)" 파일의 사진들입니다.

날짜와 장소는 사진 뒷면에 있는 영어 원문을 따랐고,  사진 설명은 원문을 참조하여 필자가 가다듬었습니다.

 

↑1950. 10. 22. 평양, 북한 주민의 학살 현장. 누가 그들을 죽였을까?

  ⓒ2004 미국 문서기록 보관청

 

1950. 11. 2. 거리에 버려진 아이들이 트럭에 실려 고아원으로 가고 있다.

    눈망울이 초롱한 아이는 그후 어떻게 되었을까?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11. 11. 바지 저고리들의 포로들. 총이나 한 번 제대로 잡아보고 포로가 되었는지? 

    ⓒ2004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11. 13. 함흥 덕산광산, 482명을 생매장한 갱도에서 시신을 꺼내 늘어놓은 것을 한 아버지가

    아들을 찾고 있다. "제발 내 아들이 아니기를..."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11. 13. 지아비가 생매장된 갱도 어귀에서 오열하는 지어미. "날라는 어찌 살라하고

    가시리잇고"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8. 12. 북한군 포로.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8. 10. 폭격으로 불타는 마을.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8. 10. 핫바지들을 인솔하는 미 해병대.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7. 29. 경북 영덕, 포화에 쫓기는 피난민.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7. 29. 경북 영덕, 남자는 등에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이고 지향없이 떠나는 피난민 행렬.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7. 29. 경북 영덕, 논두렁에 머리를 처박고 죽은 북한군 병사.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7. 29. "뜨거운 전우애" 한 병사가 부상당한 전우를 업어가고 있다. /

    ⓒ2004 미국 문서 기록보관청

 

↑1950. 7. 29. 마을 소년들이 주먹밥을 만들어 군인들에게 나눠주고 있다.

    ⓒ2004 미국 문서 기록보관청

 

↑1950. 7. 29. 야간전투후 주간 취침. / ⓒ2004 미국 문서기록 보관청

 

1950. 7. 29. 취침 후 병기 손질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8. 4. 피난민들의 보금자리 산동네 판자촌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8. 8. 누가 이 아이를 버리게 했을까?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8. 8. 다리 아래 피난민 움막.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8. 9. 임시 포로수용소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8. 2. 공주 금강철교(公州 錦江鐵橋 /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8. 3. 뙤약볕 속에 전선으로 가는 국군 행렬 /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0. 8. 3. 한국전쟁 무렵의 부산항, 멀리 영도가 환히 보인다.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0. 7. 29. 경남 진주 부근에서 생포한 빨치산[지리산] 무장공비. 원문은 포로로 되어 있다. /

     ⓒ2004

 

↑1950. 12. 16. 흥남부두. 후퇴하려고 수송선을 기다리는 병사들. ⓒ2004 미국국립 문서기록보관청.

 

↑1950. 12. 18. 흥남에서 묵호(동해)로 후퇴한 후 수송선에서 내리는 병사들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0. 12. 24. 유엔군 후퇴 후 텅 빈 흥남부두/ⓒ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0. 12. 24. 유엔군 후퇴 후 불타는 흥남항 / ⓒ2004 박도

 

1950. 12. 26. 전차도 후퇴대열에. 흥남항에서 출발해 부산항에 도착하고 있다.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0. 12. 27. 인천항에서 출발해 부산항에 도착한 피난민들.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 보관

 

↑1950. 1. 3. 1·4 후퇴를 앞두고 불타고 있는 서울 시가지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1. 1. 5. 1.4 후퇴 피난민 행렬 / ⓒ2004 박도

 

1951. 1. 5. 언 한강을 피난민들이 걸어서 건너고 있다. / ⓒ2004 박도

 

1951. 1.4. 한강나루터에서 건너야 할 강을 바라보는 피난민 아이들2004 박도

 

↑1951. 1. 4. 한강 임시 부교. / ⓒ2004 박도

 

↑1950. 12. 29. 양평 , 생포된 포로들.... ⓒ2004 박도

 

↑1950. 11. 29. 최전방의 간호사들 / ⓒ2004 박도

 

1951. 1. 6. 수원역에서 남행열차를 기다리는 피난민들 / ⓒ2004 박도

 

↑1951. 1. 5. 한미합작의 한국군병사 장비.신 발,겉옷,

     모자 : 한국제코트, / 소총, 탄환 : 미제 / ⓒ2004 박도

 

↑1951. 1. 5. 입에 풀칠이라도 하려고 미군부대에 몰려온 한국의 노무자들 / ⓒ2004 박도

 

1951. 1. 4. 무개화차에 몰린 피난민들 / ⓒ2004 박도

 

↑1950. 12. 1. 부산 임시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를 등록하려고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1. 1. 16. 대구 근교 신병훈련소에서 신병들이 M1 소총 사격 교육을 받고 있다.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1. 1. 4. 대구 근교 신병훈련소에서 신병들이 PRI(사격술 예비훈련)을 받고 있다.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0. 11. 5. 국군과 유엔군이 수복한 북한의 어느 지역(평산)에서 주민들이 지역 대표와 치안

     대장을 뽑고 있다. 그들 대표는 무슨 색깔의 완장을 찼을까?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1. 1. 5. 서울. 꽁꽁 언 한강을 피난민들이 조심조심 건너 남하하고 있다. 

     ⓒ2004 미국 국립 문서기록 보관청.

 

↑1950. 9. 22. 전쟁에는 2등이 없다. 포로가 되는 순간부터 치욕이다. 미군들이 생포된 포로의 온 몸을

    수색하고 있다. /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0. 9. 20. 미군이 인민군 포로들을 발가벗긴 채 수색하고 있다.

     ⓒ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0. 9. 17. 인천. 유엔군 인천상륙작전 후 함포사격 포화에 무너지고 그을린 인천시가지

 

1950. 9. 18. 인천에 상륙하기 위해 전함에서 병사들이 하선하고 있다.

 

1951. 5. 28. 38선 부근 6마일 남쪽 마을에서 탱크의 포화소리에 귀를 막는 소년들. 이들의 누더기 바지

    차림이 그 무렵 소년들의 대표적 옷차림이다.

 

1950. 8. 18. 애송이 북한군 소년 포로를 미군 포로심문관이 취조하고 있다.

    곁에는 통역 겸 여비서라고 표기돼 있다. 엄마 젖 떨어진 지 얼마나 되었을까.

 

1950. 8. 18. 임시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들의 신상명세서를 만들고 있다.

 

1950. 8. 18. 포로수용소 전경

 

1950. 8. 18. 포로수용소 천막 안에서 밥을 먹고 있다.

 

1950. 8. 18. 포로들이 줄을 서서 밥을 타고 있다.

 

1950. 8. 11. 그해 여름 피난민들의 움막. 

 

1950. 8. 13. 잠깐의 휴식시간에 LMG(기관총) 병기 손질을 하고 있다.

 

1950. 8. 13. 박격포 사격 훈련

 

1950. 8. 15. 피난민 행렬

 

1950. 8. 15. 창녕 남지철교. 국군의 최후 방어선으로 핏빛으로 강물이 물들 만큼 피아

    엄청난 희생을 치렀던 격전의 현장이었다.

 

1950. 8. 24. 젖을 먹이는 사랑의 모정......

 

1950. 8. 23. 머리에 짐을 이고 등에 어린 자식을 업고 앞에 붙들고... 고단한 피난 행렬을

     마다 않는다.

 

1950. 8. 18. 낙동강 전선에서 쌕쌕이들이 폭격을 하고 있다.

 

1950. 8. 25. 폭격에 불타고 기총소사(機銃掃射)에 죽어가다.

    기총소사란 항공기에서 땅 위의 표적을 내려다 보고 비로 쓸어 내듯이 기관총으로 쏘는

    것을 말한다.

 

1950. 8. 15. 마산 부근, 피난민들이 배를 기다리고 있다.

 

↑1950. 8. 15. 전란으로 폐허가 된 마을 모습이다.

 

↑1950. 8. 22. 불을 뿜는 전함.

 

쌕쌕이의 융단 폭격으로 초토화가 된 경북 왜관지역이다.

 

↑1951. 1. 2. 누가 이 여인을 모르시나요?  부산 임시 포로수용소에서...

 

↑1950. 8. 포항 부근의 한 마을이 포화에 불타고 있다.

 

1950. 9. 15. 인천상륙작전을 함상에서 진두 지휘하는 맥아더 장군.

 

1950. 9. 15. 인천 월미도로 상륙하는 함정들...

 

↑1950. 9. 16. 인천에 상륙한 후 시가지를 수색 정찰하는 유엔군들...

 

↑1950. 9. 16. 인천부두로 상륙하는 맥아더 장군.

 

↑1950. 9. 16. 인천시가지에서 생포한 북한인민군들....

 

↑1950. 9. 16. 인천 월미도에 나뒹구는 북한 인민군 시신들.

 

↑1950. 9. 15. 인천에서 생포한 포로들....

 

↑1950. 9. 17. 인천 상륙작전 후 서울 진격 작전이다.

 

↑1950. 9. 23. 서울 탈환을 눈앞에 둔 노량진에서 바라본 끊어진 한강 철교 모습이다.

 

1950. 9. 25. 연합군의 한강 도하 작전.

 

1950. 9. 29. 미군 전차가 서울 시내 중심가로 들어오고 있다.

 

1950. 9. 27. 경인가도에서 국군 수복을 환영하는 흰옷 입은 주민들이 태극기를 흔들고 있다.

    북한군이 내려왔을 때는 마음에도 없는 또 다른 깃발을 흔들어야 했던 불쌍한 시민들....

 

1950. 10. 1. 수복한 서울 시청 주변 모습이다.

 

↑1950. 10. 1. 서울 소공동 일대 모습이다.

 

↑1950. 10. 1. 수복 후 남대문에서 바라본 서울역이다.

 

↑1950. 10. 1. 반도호텔(지금의 롯데호텔)에서 바라본 서울 시가지, 멀리 중앙청과 북악산이 보인다.

 

↑1950. 10. 1. 서울 반도호텔에서 바라본 을지로 모습.

 

↑1950. 9. 30. 서울의 아침, 폐허가 된 시가지에 사람들이 부산하게 오가고 있다.

 

↑1950. 9. 29. 서울 탈환 환영대회 직전의 중앙청 홀, 이승만 대통령 내외와 맥아더 장군

 

↑1950. 9. 29. 유엔 깃발로 펄럭이는 중앙청 광장, 서울 탈환

    환영대회가 끝난 직후 바로 옆 건물이 불타고 있다.

    ⓒ2004 NARA

 

↑1945. 9. 9. 광복 후 미군이 서울에 입성하고 있다.

 

↑1945. 9. 9. 미군들이 서울시민들의 환영 인파에 싸여 있다.

 

↑1945. 9. 9. 조선총독이 총독부 홀에서 미군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항복문서에

    서명하고 있다.

 

↑1945. 10. 12. 부산항 부두에서 일본군인들이 본국으로 떠나기 전 미군들에게

    철저하게 검색을 당하고 있다.

 

↑1946. 1. 16. 미소공동위원회에서 소련측 대표가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

 

↑1947. 5. 25. 개성 인근의 38선 미군 초소, 그때만 해도 요란한 철조망은 없었다.

 

↑1948. 5. 8. 다가올 5. 10 총선거를 앞두고 경찰들이 선거 방해를 염려하여 죽창을 거둬들이고 있다.

 

↑1948. 5. 10.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5. 10 총선거에 유권자들이 투표하고 있다.

 

↑1948. 5. 10. 선거 방해 사범으로 체포된 5인, 맨 왼쪽 여인은 장택상을 암살하려다가 체포되었다고

     기록돼 있다.

 

1948. 5. 31. 국회 개원식날 국회 의사당 앞에서 서북청년단들이 소련 철수를 주장하는 데모를 하고 있다

 

그동안 성원해 주시고 애독해 주신 네티즌 여러분께 깊이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제가 NARA에 갈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해준 권중희 선생님, 그리고 사진 자료를 입수하는데 도와주신 재미동포 자원봉사자 여러분께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제 곁에서 원문을 번역해 주신 박유종 선생님, 길잡이가 되신 이도영 박사님,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스캐너를 빌려준 동포 주태상씨 그리고 이선옥씨, 권헌열씨, 정희수씨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많은 분들이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셨기에 이 자료를 독자 여러분에게 보여드릴 수 있었습니다.

제가 입수한 사진 자료는 모두 480여 매이나 그중에서 중복되거나 비슷한 것, 그리고 사진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을 제외한 자료를 30회에 걸쳐 모두 공개하였습니다.

박도 기자는 서울에서 33년간의 교단 생활을 마치고, 지금은 강원도 산골에서 텃밭을 가꾸며 글쓰기에 전념하고 있다. 민족문학작가회 회원으로 작품집에는 장편소설 <사람은 누군가를 그리며 산다>와 산문집 <샘물 같은 사람> <아버지의 목소리> <일본기행> 항일유적답사기 <민족반역이 죄가 되지 않는 나라> 한국전쟁 사진첩 <지울 수 없는 이미지> 등이 있다.

-------------------------------------------------------------------------------------------------------------------------------------------

박도

1945년 경북 구미에서 태어났다. 구미초등학교·구미중학교·중동고등학교·고려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30여년 교사생활과 작가생활을 겸하여 시민기자 생활을 하였다. 지금은 강원도 원주 치악산 밑에서 글 쓰는 일에 전념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장편소설 『사람은 누군가를 그리며 산다』 『약속』 『허형식 장군』 『용서』 등과 산문집 『비어 있는 자리』 『일본기행』 『안흥 산골에서 띄우는 편지』 『백범 김구, 암살자와 추적자』 『마지막 수업』, 역사 유적 답사기 『항일유적답사기』 『누가 이 나라를 지켰을까』 『영웅 안중근』 등이 있다.

 

이밖에 엮은 책으로는 사진집 『지울 수 없는 이미지(1~3권)』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장면』 『개화기와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미군정 3년사』 등과 어린이 도서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 『독립운동가, 청년 안중근』 등이 있다.

'■ 기타 > 그때 그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세동 전 안기부장 이야기  (0) 2008.04.19
1954년 당시 대구 컬러사진 공개 '화제'  (0) 2007.12.30
서울 모습(1968년도)  (0) 2006.08.09
자유당 시절의 주먹.  (0) 2006.05.26
옛날 영화들(2)  (0) 200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