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瑱 4

동암 이진선생 약사(東菴李瑱先生略史)

■ 동암 이진선생약사(東菴李瑱先生略史) 이진「李瑱,1244년(고종 31)~1321년(충숙왕 8)」은 고려 말의 문신(文臣)으로, 초명은 방연(方衍), 자(字)는 온고(溫古), 호(號)는 동암(東菴), 본관은 경주(慶州),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금서(金書)의 후손으로 문하평리(門下評理)를 지내고 상서성좌복야(尙書省左僕射)에 추증된 핵(翮)의 아들이고 익재 제현(齊賢)의 아버지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백가에 능통하여 신흥관료사회에서 신망이 두터웠으며, 제자백가(諸子百家)에 박통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국재 권부((菊齋 權溥), 역동 우탁(易東 禹倬), 매운당 이조년(梅雲堂 李兆年), 이재 백이정(彝齋 白頤正), 덕재 신천(德齋 德齋)과 함께, 안향(安珦) 문하의 이름난 육군자(六君..

안향(安珦) 문하(門下)의 육군자(六君子)

■ 안향 문하의 육군자(安珦 門下의 六君子) 성리학의 본향인 송나라의 대표적 성리학자를 송조육현(宋朝六賢)이라고 부른다. 이는 주돈이, 정호, 정이, 장재, 소옹, 주희(주자)를 지칭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의 문하에 이름난 여섯 학자를 육군자라고 해 추앙해 마지않았다. 육군자는 국재 권부((菊齋 權溥) , 동암 이진(東菴 李瑱), 역동 우탁(易東 禹倬), 매운당 이조년(梅雲堂 李兆年), 이재 백이정(彝齋 白頤正), 덕재 신천(德齋 德齋)등을 일컫는다. 고려 말의 대학자요. 정치가였던 익재 이제현이 동암의 아들이며, 국재 권부의 사위며, 백이정의 문인이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안향의 학문적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안향이 세상을 떠날 때 백이정, 권부 등 문인들에게 “나는 학문이 그대..

도통사(道統祠) 추향제(秋享祭)

■ 도통사(道統祠) 도통사(道統祠) : 경주이씨 16世 동암공 이진(東庵公 李瑱)을 봉안한 사우이다. 원래 조선시대 1734년(영조 10)에 충주지방 유림들이 충주시 신니면 화안리에 건립하였던 것으로 일제 때인 1928년 사우를 중수하고 1938년엔 사우가 강제로 철거당하기도 했다. 1954년 충청북도 도비보조로 사우가 복원되었는데 군사시설의 설치로 철거되어 1995년 현 위치에 이전하여 중건되었다. 도통사(道統祠)는 공자(孔子)를 주벽으로 주자(朱子)와 안향(安珦) 선생 및 문화 9현(국재 권부(菊齋 權溥), 역동 우탁(易東 禹倬), 동암 이진(東庵 李瑱 16世), 이재 백이정(彛齋 白頤正), 매운당 이조년(梅雲堂 李兆年), 덕재 신천(德齋 辛蕆), 노동 추적(露堂 秋適), 근재 안축(謹齋 安軸), 경..

김방경 묘지명(金方慶墓誌銘)/이진(李瑱) 찬(撰)

■ 고려국 상락공 묘지명(高麗國上洛公墓誌銘) - 이진(李瑱) (구 안동김씨) 대저 천하를 통틀어 언제나 존중되는 것이 세 가지가 있으니, 덕(德)이 하나이고, 나이[齒]가 하나이고, 작(爵)이 하나이다. 군자가 세상을 살면서 그 중 하나나 둘을 얻는 것도 오히려 힘들거니와 하물며 셋을 얻겠는가. 그 셋을 얻어서 빠진 것이 없는 이는 오직 우리 상락공 뿐이다. 공의성은 김(金)이고, 이름은 방경(方慶)으로, 영가군(永嘉郡-안동의 고려시대 이름)사람이다. 증조 의화(義和)는 사호(司戶)였으나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에 추증되었고, 조부는 장야서승 겸 직사관(掌冶署丞 兼 直史館) 민성(敏誠)으로 은청광록대부 상서우복야(銀靑光祿大夫 尙書右僕射)에 추증되었으며, 아버지는 정의대부 병부상서 한림학사 충사관수찬관 지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