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완(李浣) 1602년(선조 35)∼1674년(현종 15) 때의 조선 후기 무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징지(澄之), 호(號)는 매죽헌(梅竹軒). 인조반정공신 수일(守一)의 아들이다, 조선 제17대왕 효종(孝宗)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을 보필하며, 국방 체계와 군비, 병력 정비에 기여하였다.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과 공조판서(工曹判書), 형조판서(刑曹判書), 수어사(守禦使-조선 인조때 남한산성에 설치된 수어청(守禦廳)의 으뜸 벼슬로 정이품(正二品)의 품계)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을 지냈다. 이완대장(李浣大將)의 구비설화(口碑說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