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칙임관(勅任官) 조선 말기 관료의 최고 직계(最高職階)로서 1894년(고종 31) 7월 갑오개혁(甲午改革)으로 관료제도가 대폭 개편되었다. 관료의 등급이 1품에서 9품까지 정(正)· 종(從)을 합하여 18품급(品級)이던 것을 1· 2품에는 정· 종을 두되, 3품에서 9품까지는 이를 없애 모두 11개의 품급으로 축소하였다. 아울러 1품에서 9품까지를 당상(堂上)· 당하(堂下)· 참상(參上)의 세 직계로 나누던 것을 없애고, 칙임(勅任)· 주임(奏任)· 판임(判任)으로 3대별하였다. 이 때 정1품에서 종2품까지를 칙임관(勅任官)이라 하였다. 적왕손(嫡王孫)· 총리대신(總理大臣)· 왕손(王孫)· 종친(宗親)은 정1품, 각 아문대신(衙門大臣)과 의정부의 좌우찬성(左右贊成)은 종1품, 도찰원 도헌(都察院都憲)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