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숙주 묘 2

신숙주 신도비명(申叔舟 神道碑銘 )

保閑齋集附錄 ■ 문충공 신숙주 신도비명 병서(文忠公 申叔舟 神道碑銘 幷序) 양성 이승소 찬(陽城 李承召 撰)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 수충협책정난동덕좌익보사병기정난익대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輸忠恊贊靖難同德佐翼保社炳幾定難翊戴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영의정부사 겸 영경연 춘추관 예문관 홍문관 관상감사 예조판서 고령부원군(高靈府院君) 증시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 신도비명.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 자헌대부(資憲大夫) 예조판서 겸 지경연사 예문관제학 양성군(陽城君) 이승소(李承召)는 비문(碑文)을 짓다. 가만히 살피건대, 세상이 쇠퇴해짐에 하늘이 장차 흥기(興起) 시키려면 반드시 성스러운 임금과 보좌하는 어진 신하를 내서 함께 한 세상을 편안케 구제하여 굉장히 큰 계획..

신숙주선생 묘(申叔舟 先生墓)

↑소재지>경기 의정부시 고산동 산53-7 ↑신숙주선생 영정 ●신숙주(申叔舟)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범옹(泛翁), 호는 희현당(希賢堂) 또는 보한재(保閑齋). 덕린(德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공조참의 포시(包翅)이고, 아버지는 공조참판 장(檣)이며, 어머니는 지성주사(知成州事) 정유(鄭有)의 딸이다. 1438년(세종 20) 사마양시에 합격하여 동시에 생원·진사가 되었다. 이듬해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전농시직장(典農寺直長)이 되고, 1441년에는 집현전부수찬을 역임하였다. 1442년 국가에서 일본으로 사신을 보내게 되자 서장관으로 뽑혔다.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참가하여 공적이 많았다. 중국음을 훈민정음인 한글로 표기하기 위하여 왕명으로 성삼문(成三問)과 함께 유배중이던 명나라 한림학사 황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