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공 경모비문 역문(尙書公景慕碑文 譯文)
상서공(尙書公)의 휘(諱)는 과(薖)니 신라원신(新羅元臣) 이알평(李謁平)의 후손이요. 고려명신(高麗名臣) 좌복야(左僕射) 호(號 ) 열헌(悅軒) 휘(諱) 핵(翮)의 손자요. 예문관대제학검교정승(藝文館大提學檢校政丞) 시호 문희(文僖) 호(號)는 송암(松巖) 세기(世基)의 아들이요. 문하평리인정(門下評理仁挺) 임해군(臨海君) 시호는 문정(文井) 호(號) 동암(東菴) 진(瑱)의 조카요. 동평장사(同平章事) 시호는 문효(文孝). 호(號)는 국당(菊堂). 휘(諱)는 천(蒨). 부정공(副正公) 휘(諱) 매(邁)의 아우요. 사인(舍人) 휘(諱)는 조(蓨)의 형이다.
가락부원군(鴐洛府院君) 호(號) 이암(怡庵) 관(琯)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시호는 문충(文忠) 호(號) 익재(益齋) 휘(諱) 제현(諸賢)과는 종형제(從兄弟)가 된다. 상서공(尙書公)이 충열왕(忠烈王)의 조정에서 벼슬했는데 왕(王)이 친히 선비를 시험보이매 동암(東庵)과 송암(松巖)이 연달아 을 병과(乙 丙科)에 합격함므로 사람들이 천장급제(天場及第)라고 불렀다.
송암(松巖)의 자제 넷이 연속하여 대과(大科)에 올랐는데 상서공(尙書公)이 가장 문장으로 현달하니 도은이숭인(陶隱李崇仁)이 세과(世科)라 하여 한때의 칭송하는 바가 되었다. 상서공(尙書公)이 가정교훈을 이어받아서 재덕(才德)이 넉넉했으나 사기에 일언일사(一言一事)도 보인바가 없는 것은 공민왕(恭愍王)의 때를 당하여 세상일이 날로 변천함을 보고 산림(山林)에 물러와서 세상일에 간여함이 없는 까닭인가? 석분(石奮)은 말하지 않고 몸소 행하며 장안세(長安世)는 너무 성대하므로 녹봉(祿俸)을 사양하며 모두 복을 남겨 두었다 하였으니 더욱 상서공(尙書公)의 후손이 반드시 번창할 이치가 있다.
찬사(讚辭)에 이르되 아! 아름답다 상서공(尙書公)이여 복이 따르고 덕도 높았네.
물러와 감추고 나아가 등용하였으니 우리 동방에 후손이 복을 받아서 아들과 손자에 내려오면서 대대로 음덕을 같이 하였네.
원보(元普)와 그의 자제 승(昇)은 인주사(仁州事)와 전농판관(典農判官)이 되었고 연손(延孫)은 관찰사(觀察使)가 되어 비로서 거룩한 가업(家業)을 이루었네.
숭수(崇壽)는 공(公)의 현손(玄孫)인데 세조왕비(世祖王妃)의 이질이 되어 충심을 다하였고 철견(鐵堅)은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찬성(贊成)도 지내고 대장(大將)에 오르기도 하였으며 정견(釘堅)과 석견(石堅)은 활을 잡고 북방(北方)을 정벌하며 四형제(兄弟)가 차례로 조정에서 이름을 날리었네.
숭수(崇壽)의 자제 성무(成茂)는 안동판관(安東判官)을 지냈고 그의 셋째자제 예신(禮臣)은 은덕의 높은 풍채가 있었다.
천휴당 몽규(天休堂夢奎)는 화암서원(花岩書院)에 배향하였고 명장(名將)에 몽린(夢麟)이 있고 몽윤(夢尹)은 어린세자 잘 도왔네.
몽량(夢亮)은 덕을 길러 지위가 삼공(三公)에 이르고 그 자제 항복(恒福)은 임진왜란(壬辰倭亂)에 一등 공신이며 도덕(道德)과 강상(綱常)이 해와 별 같이 밝고 빛이나네. 백사(白沙)의 셋째 형님 송복(松福)은 나라를 위하여 몸을 바치었고 두 자제 성남(星男) 정남(井男)은 선후(先後)에 걸치어 동인(銅印)을 찿네. 막내아들 기남(箕男)은 재지(才智)가 뛰어나 아버지 사랑 독차지 하였네.
백사(白沙)의 맏형 운복(雲福)의 자제 탁남(擢男)은 역적 이인거(李仁居)를 토평하여 단서철권(丹書鐵券)을 받았고 몽윤(夢尹)의 맏손자 봉남(鳳男)은 경서를 공부하였네. 도적을 꾸짖어 굴하지 않은 이는 시중(時中)의 어진 배필이었으며 큰 선비 시현(時顯)은 학술에 깊이 관통하였네.
호가 기봉(騏峯) 이름이 시성(時省)은 조행(操行)이 뛰어나고 뜻을 돈독히 하였으며 시술(時術)은 이조(吏曹)에 있으매 한 시대에 명망이 높았네. 세장(世長)은 이조정랑(吏曹正郞)으로 어찌 진로가 막히었던가? 호가 구천(龜川)인 세필(世弼)은 유문(儒門)의 정학(正學)을 전공하였고 양와세구(養窩世龜)는 경술(經術)을 행함에 공부하였네.일문(一門)에 두 현이(賢人)이 세자(世子)의 사부(師傅)로 총명을 보충하였네.
효우당(孝友堂)으로 호를 지은 세희(世熙)는 어찌하여 운명이 궁박하였나? 수옹(壽翁 : 세필 世龜의 子)의 자제는 세상에서 운옹(雲翁 : 광좌光佐의 호)이라 칭하였네. 구천선생(龜川先生)은 자제가 넷으로 복록이 많았는데 큰 자제 태좌(台佐)는 완인(完人)으로 정성이 왕실(王室)에 맺었고 둘째자제 정좌(鼎佐)는 부사(府使)인데 우애가 가득하였으며 셋째자제 형좌(衡佐)는 판관(判官)으로 바로 도백(道伯)에 임명되었네.
가련하게도 영조(英祖)께서 세자상(世子喪)을 만나매 경좌(景佐)가 어린 세손(世孫)을 가르치었네.
사문(師門 : 先生의 門下)이 비운을 만나매 자기의 아픔과 같이 하였네.
종성(宗城)의 사업(事業) 바라보매 산악(山嶽)과 같이 높았네.상하(上下)가 의지하고 소중히 여기었으니 충정공(忠定公)과 문충공(文忠公) 부자(父子)분이네.종적(宗迪)의 문장(文章)은 성균관(成均館)에서 자자 하였네.
의리를 잡은 종백(宗白)은 육조(六曹)를 거쳐서 이판(吏判)이 되었고 효자(孝子) 경일(敬一)은 종가(宗家)의 제사를 잘 이었으며 삼품(三品)직인 경오(敬五)는 어사가 되어 사방(四方)에 달리었네.
종철(宗喆)의 자제 경양(敬養)은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선택되었고 소종파(小宗派)에 경륜(敬倫)은 절의를 잡고 변방을 지키었으며 시호 효정공(孝貞公)인 석규(錫奎)는 부모(父母)의 병환에 손가락을 베어 하늘이 감동하였네.
문정공(文貞公)인 계조(啓朝 : 석규錫奎의 子)는 영의정(領議政)에 증직되었으니 효정공(孝貞公) 문정공(文貞公)을 다같이 정승의 예절로 받들었네. 유원(裕元)이 재상 지위에 올라 집안의 정종(鼎鍾)을 이었네.
유승(裕承)은 학사(學士)가 되어 집을 지으매 지붕을 이고 담을 바르듯 하였네. 이어서 조상의 업적을 지키었으니 오직 두터운 복을 받으리라. 성관(成冠)한자가 많았으니 선비에 종적을 두었고 동자(童子)들은 머리를 느리고 공부하는 모습 예쁘기만 하네. 낮에는 땔나무하고 밤으로 길쌈하며 봄에 밭갈고 겨울에 글을 읽었네.
아름답도다 우리시조시어! 사적이 사기에 빛이 나네. 오직 신라(新羅)와 고려(高麗)뿐이 아니라 이조(李朝)의 문헌(文獻)에도 찬란하였네. 여섯정승이 높고 높아 백성에 혜택주어 휘장두른 듯 하였고 두 번 깃발을 세웠으니 문헌(大提學)에 풍아소리 쟁쟁하였네.
일곱판사((判事) 나왔으니 서린나무 뱉은 듯 하고 임금의 말씀 맡아쓰고 글로 지어 일마다 혈성(血誠)을 기울이었네.
도체찰사(都體察使)와 도원수(都元帥)많이 배출하매 각도에서 크게 바라보았네.
대장(大將)이 넷 나와서 진을 치매 벌떼같이 모여들었네. 철모(鐵帽)쓰고 갑옷입고 다섯 번 도적의 칼날 무릅썼네. 폐백을 싸들고 산림(山林)에 찿아오니 흰 망아지 빈 골짝에 매여 있네.
여덟분이 선생님(先生任)자리 열었으매 거문고 타고 글 외우는 소리 떠오르고 다섯군데 사액(賜額)했으니 많은 선비 배출하였네. 충절(忠節)과 효렬(孝烈)이 위로 임금에게 들리었으니 정문(旌門)을 다섯군데 받았으며 착한 자손들 왕성하였네.
더욱 번성하고 창대하여 강하(江河)가 도도히 흐르듯하였네. 원천은 하나에서 나왔으나 물가닥은 종횡으로 갈라지었네.
자손이 수천명으로 계산되나 한결같이 선조의 발자국을 따랐네. 시(詩)와 예(禮)로 가업(家業)을 삼으매 외우고 익히어 화목하였네. 대대로 기지를 지키었으니 많은 숫자 머리칼같이 더부룩 하였네.
천억년(千億年)을 내려가며 제사를 정성껐 받들것이네.
십칠세손(十七世孫)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 유원은 근찬(謹撰)하다.
'■ 경주이씨 > 선조유적. 유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훈련원판관 이윤(李火+允) 묘. (4) | 2022.10.04 |
---|---|
이문호 교수(영남대) 조부모 묘. (5) | 2022.10.03 |
농와정(農窩亭) (0) | 2022.06.10 |
경주표암(慶州瓢巖) (0) | 2022.04.15 |
경주 표암재 시조 향사 거행(동영상) (0)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