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문집.고서.문헌

국학도감(國學圖鑑) - 1970년(3판)

야촌(1) 2019. 12. 20. 21:28

필자소장본 - 1970년(3판)

 

차례

 

책을 내면서 = 3
1. 사람 몸 = 11
  1) 얼굴의 각 부위 = 11
  2) 눈 = 14
  3) 눈썹 = 18
  4) 코 = 19
  5) 입과 이 = 21
  6) 귀 = 22
  7) 머리 = 23
  8) 수염에 관련된 말 = 25
  9) 몸통 = 26
  10) 팔과 손 = 29
  11) 다리와 발 = 30
2. 옷차림 = 33
  1) 옷의 기본 양식 = 33
  2) 발전·변화된 옷들 = 43
  3) 옷 입을 때 따르는 것 = 45
  4) 어린이 옷 = 50
  5) 머리의 처리 = 51
  6) 평소에 신는 신 = 58
3. 머리쓰개 = 61
  1) 추위를 막기 위한 쓰개 = 61
  2) 그밖의 여자용 쓰개 = 64
  3) 남자의 관모 = 66
4. 지위와 직책에 따른 옷 = 77
  1) 여자의 예장 = 77
  2) 직위에 따른 옷 = 82
  3) 임금의 여러 가지 옷 = 89
5. 바느질 도구와 노리개 = 93
  1) 바느질 도구 = 93
  2) 바느질의 실제 = 96
  3) 아기 노리개 = 99
  4) 여자 노리개 = 101
  5) 남자의 소용으로 차는 것 = 104
  6) 주머니 종류 = 106
  7) 부채 종류 = 107
6. 표신(標信) = 111
7. 무늬와 도안 = 119
  1) 사방연속문의 가지가지 = 119
  2) 대상연속문의 응용 = 121
  3) 보물의 도안화 = 127
  4) 상상의 동물 = 130
  5) 글자의 도안화 = 132
8. 집 = 135
9. 창살의 예술 = 157
10. '열두대문 큰집' = 183
  1) 문 = 183
  2) 담장 = 187
  3) 고대광실 = 191
  4) 정원의 이모저모 = 196
  5) 누각(樓閣)과 난간(欄干) = 201
  6) 전각의 지붕 구조 = 204
11. 세간살이 = 215
  1) 붙박이 시설 = 215
  2) 도배와 장판 = 217
  3) 모양을 내기 위한 손질 = 222
  4) 대청에 놓이는 세간살이 = 223
  5) 사랑의 세간살이 = 226
  6) 안방의 세간살이 = 231
  7) 상의 종류와 쓰임새 = 234
12. 서재의 세간살이 = 239
13. 침방과 규방의 세간살이 = 259
  1) 침방(寢房) = 259
  2) 규방(閨房) = 263
14. 부엌 세간살이 = 275
  1) 곡식을 찧어 도정하는 과정에 쓰이는 기구 = 275
  2) 재료를 다루는 기구 = 278
  3) 재료를 익혀내는 기구 = 282
  4) 음식을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어내기 위한 기구 = 286
  5) 음식을 떠 옮기는 기구 = 288
  6) 옹기(饔器) 부류의 기구 = 289
  7) 채나 대쪽을 결어서 만든 기구 = 293
  8) 나무로 만든 그릇 = 295
  9) 상에 놓아 내는 식기 = 296
15. 베짜기 = 301
  1) 실 잣는 과정 = 301
  2) 베를 매는 과정 = 309
  3) 베틀 = 312
  4) 특수한 직물 = 317
16. 바깥방에서 하는 일 = 321
  1) 기억을 도와 행신(行身)을 지키기 위한 시설 = 321
  2) 연모를 갈무리하는 기구 = 323
  3) 짚으로 하는 일 = 324
  4) 자리를 매는 일 = 330
  5) 그밖의 재료를 쓰는 일 = 332
  6) 신 삼기 = 334
17. 농기구 = 339
  1) 땅을 일구는 데 쓰는 기구 = 339
  2) 포장(圃場)을 관리하는 기구 = 346
  3) 물대기에 필요한 시설 = 352
  4) 거름을 모아서 주기 위한 기구 = 355
  5) 타작에 소용되는 기구 = 359
  6) 수확물을 갈무려 저장하는 설비 = 365
  7) 소를 시켜 끌게 하는 농구 = 368
  8) 소에 실어서 나르는 기구 = 375
18. 물건을 만드는 데 소용되는 연모 = 381
  1) 땔나무를 하는 데 필요한 기구 = 381
  2) 나무를 다루는 데 쓰는 기구 = 385
  3) 구멍을 뚫는 데 소용되는 연모 = 398
  4) 못 종류 = 401
  5) 돌과 쇠를 다루는 데 쓰는 연모 = 403
  6) 물건을 써는 연모와 약방기구 = 406
19. 공예 = 409
  1) 목재 = 409
  2) 이음새와 붙임새·짜임새 = 412
  3) 짜임과 맞춤새 = 418
  4) 그릇을 구워 만드는 데 소용되는 기구 = 422
20. 등불 = 429
  1) 불을 일으키거나 보존하는 기구 = 429
  2) 주위를 밝히기 위한 조명구 = 432
  3) 밖에 들고 다니는 등불 = 437
21. 여행 = 443
  1) 숙박시설 = 443
  2) 여행하는 말의 꾸밈새 = 445
  3) 말굽의 보호 = 451
  4) 말의 손질과 사육 = 452
  5) 도보로 하는 여행 = 454
  6) 지게와 각 부위 = 457
  7) 우비와 우장 = 460
22. 성곽 = 465
  1) 성신(城身) = 465
  2) 성문 = 468
  3) 성을 공격하는 데 소용되는 기구 = 470
  4) 성을 지키는 데 동원되는 시설 = 471
  5) 성을 쌓는 데 쓴 용구 = 473
23. 배와 가마와 의장(儀仗) = 477
  1) 배의 종류 = 483
  2) 가마의 종류 = 485
  3) 의장의 종류 = 489
24. 무기(武器)와 군장(軍裝) = 495
  1) 활의 각 부분 = 495
  2) 화살과 그 각 부분 = 498
  3) 활 쏘는 데 필요한 부품 = 502
  4) 활터와 관련되는 것 = 503
  5) 활을 만드는 데 소용되는 연장 = 505
  6) 손에 들고 싸우는 연모 = 506
  7) 화포(火砲)의 부류 = 514
  8) 적의 공격을 방어하는 기구 = 516
  9) 군인들의 복장과 장비 = 517
25. 묘제(墓制)와 장의(葬儀) = 525
  1) 위치의 조건 = 525
  2) 치산(治山) 의 규격 = 530
  3) 능 내부의 제도 = 538
  4) 매장의 실제 = 539
  5) 초종(初終)과 장례(葬禮) = 543
26. 종교(宗教)와 의식(儀式) = 549
  1) 토속신앙 = 549
  2) 무격(巫覡)의 소용 기구 = 552
  3) 혼례에 소용되는 기구 = 553
  4) 제사에 쓰는 것 = 556
  5) 절하는 절차 = 558
  6) 승려의 신변 = 560
  7) 절간에 차려놓은 물체 = 563
  8) 불상(佛像) : 여래형(如來型)·불형(佛型) = 566
  9) 보살(菩薩) = 569
  10) 사천왕(四天王) = 570
  11) 배광(背光) = 570
찾아보기 = 573

 

국학도감 1~2

 

 

 

 

 

 

 

 

 

 

 

 

 

 

 

 

 

 

 

 

 

 

 

 

 

 

 

 

 

 

 

 

 

 

 

 

 

 

 

 

 

 

 

 

 

 

 

 

조선시대의 일상 생활상을 알기엔 쉽지 않습니다.

오늘날 옛 삶의 길을 잃은 우리시대에 과거로 돌아가는 방법은 이 책을 통해서 옛 사람들이 살아온 풍경이나 모습을 대강이라도 그려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은 옛 사람들의 삶의 모습이 궁금한 사람에게 좋은 길안내를 해주는 책입니다.

 

앞 시대의 생활풍속을 그림으로 일일이 그려서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그래서 이 책 한권만 있으면 조선시대의 풍속을 대강 짐작할 수 있습니다. 

옛 시대를 배경으로 무언가를 써보려는 사람들에게는 보석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이책 이전에는 국문학자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崎,1891~1968) 선생이 이런 도감을 하나 만들었는데 지금은 절판되어 구할 길이 없습니다. 아마도 이훈종은 그책을 참고로 하여 만들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