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경주이씨 명인록

이물민(李勿敏) - 경주이씨 월성군파(之秀)

야촌(1) 2012. 1. 12. 00:09

■ 이물민(李勿敏)


   [관직] 주부(主簿-從六品) 역임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예문관(藝文館). ‧춘추관(春秋館)에 소속된 검열(檢閱-正九品)의 별칭(別稱)

              이다. 


  [문과] 세종(世宗) 26년(144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14위(24/33명)


 
[세계도]
 
16世    지수(之秀)
             월성군(月城君)
              ㅣ
17世    규(揆)
             정열공(貞烈公)
                ㅣ
18世    원림(元林)
             사복시공(司僕寺公) / 1368년(공민왕 17) 졸
                ㅣ
19世    만실(蔓實)
             판서공(判書公)
                ㅣ
20世    종직(從直)-양직(良直)-승직(繩直)
             계천군공                           대사헌공
         (鷄川君公)                       (大司憲公)
                ┌────────┘  
21世    불민(不敏)-명민(命敏)-물민(勿敏)-렴민(廉敏)-시민(時敏) 
                                                        주부공                                생원공
                                                     (主簿公)                            (生員公)
                                                   ┌──────────┘  
                                                숭준(崇準--종준(宗準)-홍준(弘準)-공준(公準)   22世
                                                충순위공     용재공         진사공         훈도공      
                                             (忠順衛公) (慵齋公)     (進士公)      (訓導公)  


[인적사항]◇문과급제 : 세종(世宗) 26년(144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14위

◇전력(前歷) : 생원(生員)
◇관직(官職) : 주부(主簿-從六品)


[가족사항]
◇질(姪) : 종준(宗準)
◇부(父) : 이승직(李繩直)
◇조부(祖父) : 이만실(李蔓實)
◇증조부(曾祖父) : 이원림(李元林)
◇외조부(外祖父) : 이량(李亮)
◇처부(妻父) : 김로(金輅)

------------------------------------------------------------------------------------------------------------------------------------

[문과동기]  
 
세종(世宗) 26년(144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총 입격자 : 33명.

 

성명 샐몰년 본관 합격등급
황효원(黃孝源) 자영(子永) 소원(少原) 1414~1481 상주(尙州) 을과(乙科) 1[장원(壯元)]위
주백손(朱伯孫)     ?~? 신안(新安) 을과(乙科) 2위
서거정(徐居正) 강중(剛仲) 사가(四佳) 1420~1488 대구(大丘) 을과(乙科) 3위
윤자운(尹子雲) 지망(之望) 낙한(樂閑) 1415~? 무송(茂松) 을과(乙科) 3위
최한경(崔漢卿) 언보(彦甫)     경주(慶州) 병과(丙科) 2위
박원정(朴元貞) 지성(之成)   1414~1465 죽산(竹山) 병과(丙科) 3위
유성원(柳誠源) 태초(太初) 낭간(瑯玕)    ?~1456 문화(文化) 병과(丙科) 4위
이극감(李克堪) 덕여(德輿)    1427~1465 광주(廣州) 병과(丙科) 5위
진유경(秦有經) 숙형(叔衡)     풍기(豊基) 병과(丙科) 6위
주숙손(周叔孫)       풍기(豊基) 병과(丙科) 7위
한호생(韓虎生)       한양(漢陽) 정과(丁科) 1위
김명중(金命重)   석포(石圃)   의성(義城) 정과(丁科) 2위
이인전(李仁全) 지안(之安)     전의(全義) 정과(丁科) 3위
구종직(丘從直) 정보(正甫)   1394~? 평해(平海) 정과(丁科) 4위
김자흠(金子欽) 경보(敬甫) 회정(檜亭)   강릉(江陵) 정과(丁科) 5위
하순경(河淳敬)       진양(晉陽) 정과(丁科) 6위
윤서(尹恕)       파평(坡平) 정과(丁科) 7위
홍연(洪演) 자원(子源) 호은(湖隱) 1403~? 남양(南陽) 정과(丁科) 8위
조효문(曺孝門)     ?~1462 창녕(昌寧) 정과(丁科) 9위
정신석(鄭臣碩)       영일(迎日) 정과(丁科) 10위
서형(徐逈)       이천(利川) 정과(丁科) 11위
김율(金慄)       안동(安東) 정과(丁科) 12위
안귀행(安貴行)   백산(白山) 1423 ~ ? 순흥(順興) 정과(丁科) 13위
이물민(李勿敏)       경주(慶州) 정과(丁科) 14위
구신충(具信忠)       능성(綾城) 정과(丁科) 15위
윤기(尹期)       양주(楊州) 정과(丁科) 16위
신자승(申自繩) 직부(直夫)     평산(平山) 정과(丁科) 17위
고신교(高愼驕)       장흥(長興) 정과(丁科) 18위
조변륭(曺變隆)       창녕(昌寧) 정과(丁科) 19위
허장(許璋)       양천(陽川) 정과(丁科) 20위
최준(崔濬)       해주(海州) 정과(丁科) 21위
민오(閔悟)       여흥(驪興) 정과(丁科) 22위
윤혜(尹譓)       남원(南原) 정과(丁科) 23위

 

[서거정(徐居正) 선생이 동년친구(同年親舊)의 죽음을 애도한 詩 3수]
 

○ 이동년 물민(李同年 勿敏)을 곡(哭)하다.
 
국자감에선 새로 주부가 되었고 / 國子新注簿
춘추관에선 전에 한림을 지냈는데 / 春秋舊翰林
털털한 성품은 속된 걸 싫어하고 / 疎狂不喜俗
원대한 뜻은 알아주는 이가 적었네 / 磊落寡知音
얼굴은 시를 읊다가 수척해졌고 / 面爲吟詩瘦
병은 통음으로 인하여 깊어졌지 / 病因痛飮深
구천 간사람 불러도 안 일어나니 / 九泉呼不起
늙은이 눈물이 옷깃을 적시려 누나 / 老淚欲霑襟
 
인간 사십 년이 한바탕 꿈이 로다 / 四十人間夢
공명으로 문득 관 뚜껑을 덮었네 / 功名遽蓋棺


눈앞에는 어린애들이 비참하고 / 眼前悲衆雛
거울 속엔 외론 난 새를 위문 하네 / 鏡裏弔孤鸞


신령한 기운이 산하로 돌아가니 / 淑氣山河返
영재는 하늘이 아끼는 법이로다 / 英材造物慳


당당한 풍모는 다시 볼 수가 없고 / 堂堂無復有
무덤 위에 절로 한기만 감도 누나 / 馬鬣自生寒
 
강개함은 전배에게 없던 것이요 / 慷慨無前輩
입신양명은 고작 수년뿐이었네 / 蜚騰只數年


흉금에 가득 찬 건 담력뿐이었고 / 滿腔都是膽
말을 내노면 좌석을 경동시켰지 / 出語動驚筵


술 취하면 유령의 삽은 있었지만 / 醉有劉伶鍤
가난하여 정로의 방석은 없었네 / 貧無鄭老氈


평생에 많은 계책을 품었었는데 / 平生多少策
차마 영원히 잠들게 한단 말인가 / 忍使就長眠


 
[주01]공명(功名)으로~~~덮었네 : 죽은 뒤에 공명을 남겼음을 뜻한다. 진(晉) 나라 유의(劉毅)의 말에, “장부는 관

            뚜껑이 덮인 다음에야 일생 사업의 시비가 정해진다.〔丈夫蓋棺事方定〕”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주02]거울~~~위문하네 : 외로운 난새란 바로 옛날 계빈국왕(罽賓國王)이 난새 한 마리를 얻었는데, 3년 동안이나

            울지 않다가 어느 날 그에게 거울을 보여주자, 제 형체를 보고는 매우 슬피 울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

           여 짝이 없거나 짝을 잃은 데에 비유한다.
 
[주03]술 취하면 …… 있었지만 : 유령(劉伶)은 진(晉) 나라 때 죽림 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술을 매우 즐겨

            마셨다. 그는 항상 녹거(鹿車)를 타고 술 한 병을 가지고 다녔는데, 사람을 시켜 삽(鍤)을 메고 따라다니게 하

           면서 말하기를, “내가 죽거든 그 자리에 묻어달라.〔死便埋我〕”고 했던 데서 온 말로, 술을 매우 즐겼음을

           의미한다.
 
[주04]가난하여~~~없었네 : 정로(鄭老)는 당 현종(唐玄宗) 때의 문인(文人) 정건(鄭虔)을 가리킨다. 현종이 일찍

           이 광문관(廣文館)을 설치하고 정건을 박사(博士)로 삼았는데, 그가 몹시 가난하였으므로 두보(杜甫)가 일

           찍이 그에게 장난삼아 지어준 희간정광문(戲簡鄭廣文) 시에, “재주 명성은 삼십 년을 날렸으되, 빈객은 추

           워도 앉을 방석이 없네.

「才名三十年 坐客寒無氈」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原文]
 
哭李同年勿敏 三首
 
國子新注簿。春秋舊翰林。踈狂不喜俗。磊落寡知音。面爲吟詩瘦。病因痛飮深。九泉呼不起。老淚欲霑襟。四十人間夢。功名遽盖棺。眼前悲衆雛。 鏡裏弔孤鸞。淑氣山河返。英材造物慳。堂堂無復有。馬鬣自生寒。慷慨無前輩。蜚騰只數年。滿腔都是膽。出語動驚筵。醉有劉伶鍤。貧無鄭老氈。平生多少策。忍使就長眠。
 
사가집(四佳集)>卷之二○第二>詩類
 
編輯 作成者 : 李在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