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조 대과급제자 임용(朝鮮朝大科及第者任用).
문반(文班)의 일반 행정관(一般行政官)을 선발(選拔)하는 국가시험(國家試驗)으로 오늘날의 사법(司法)과 행정고시(行政考試)에 해당하는 것을 문과(文科)라 하고 기타 제과(諸科)를 또한 시행되었는데 이는 오늘날의 기술고시(技術考試)에 해당한다.
문과(文科)에 급제한 사람을 성적에 따라 갑(甲), 을(乙), 병(丙)의 3과(三科)로 나누고, 갑과(甲科)엔 3인으로 제1위(第一位)를 장원랑(壯元郞), 제2위를 방안랑(榜眼郞), 제3위를 탐화랑(探花郞)이라 하여, 문과 합격자의 임용(任用) 다음과 같았다,
(1) 문과(文科)의 갑과(甲科)에 1등으로 급제(及第)한 자는 종6품(從六品)에 제수(除授)하고, 차석(次席) 이
하 2명은 정7품(正七品)에 제수(除授)하였다. 이하 을과(乙科)에 합격한 7인은 정8품, 병과(丙科)에 합격
한 23인은 정9품에 제수(除授) 하였다.
(2) 관직에 재직 중인 자가 문과(文科)에 합격한 사람으로 갑과(甲科)의 장원(壯元)인 경우 4품계를, 그 외의
갑과 합격자는 3품계를 승급(陞級)하고, 계궁자(階窮者=正三品堂下官)는 당상관(堂上官)으로 승급(陞
級)하고, 을(乙)과 합격자는 2품계, 병(丙)과 합격자는 1품계를 승급하되, 을과 또는 병과에 합격한 자로
서 「계궁자」는 준직(準職=당하 정3품 관직)에 임명하며, 이미「준직(準職」에 있는 자는 당상관(堂上官)
으로 승진시켰다.
(3) 품계(品階-벼슬의 등급)가 있는 자로서 문과에 합격함으로 인하여 승급될 품계가 품계 없이 문과에 합격
함으로써 인(因)하여 응당 수여될 품계와 서로 같거나 또는 그것에 불급(不及)하면 응당 수여될 품계에
1품계를 승급하여 제수(除授)한다.
<품계가 상등(上等)한 자란 제1인으로서 원계품(元階品)이 승사랑(承仕郞-종8품)이고 불급한 원계품이
종사랑(從士郞-정9품) 이하인 경우와 같은 바 나머지도 여기에 의방(依倣)한다.>
◇위 (3)의 규정은 원품계가 승사랑(承仕郞-從八品)인 사람이 문과에 장원하면 4품계를 승급할 수 있으
므로 선무랑(宣務郞, 종6품)으로 승급될 수 있는데, 아무런 품계가 없는 사람도 과거에 장원하면 종6
품 선무랑이 제수(除授)됨으로 이 경우 원품계가 승사랑이던 사람에가 1급을 더 높여 정6품 승훈랑(承
訓郞)을 제수(除授)한다는 뜻임,
마찬가지로 원품계가 종사랑(從士郞-정9품)인 사람의 경우도 문과에 장원하면 4품계를 높여도 무공랑
(務功郞-正七品)으로 되어 품계 없이 장원한 사람이 선무랑(종6품)을 제수(除授)받음에 비하여 미달하
므로 그경우 역시 제수(除授)될 품계인 종6품보다 1품계를 높여 제수(除授) 한다는 규정임.
(4) 품계를 제수(除授)받은 자는 성균관(成均館), 승문원(承文院) 또는 교서관(校書館)의 권지(權知=후보자
(候補者)의 뜻으로 오늘날의 행정수습관(行政修習官) 또는 사법관시보(司法官試補)와 같은 직분으로 배
속(配屬) 임명한다.
(5) 역과(譯科)에 1등으로 급제한 자는 종7품에 제수(除授)하고. 2등으로 합격한 자는 종8품을 제수(除授)한
다, 3등으로 합격한 자는 종9품계를 제수(除授)하며, 모두 사역원(司譯院)에서 임용(任用)한다.
음양과(陰陽科), 의과(醫科), 율과(律科)에 1등으로 합격한 자는 모두 종8품을, 2등으로 합격한 자는 정9
품을, 3등으로 합격한 자는 종9품을 제수(除授)한다.
본시품계가 있는 자는 모두 1품계를 승급하고 그 승급한 품계가 합격으로 인하여 응당 수여할 품계와
같거나 또는 그에 불급하여서 합격으로 인하여 응당 수여할 품계에 또 1품계를 더하여 품계를 받은 자
는 모두사역원의 권지(權知=候補者)로 임명한다.
(6) 중시인(重試人)의 품계의 제수(除授)는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규정된 문과 합격자로서 본시 품계가 있
는 자의 승품(陞品)의 규정에 따른다.(위 2항 규정 참조). 7품 이하의 관원은 을과 이하에 합격한 자라
도 모두 6품으로 승급한다.
(7) 새로 문과에 합격한 자가 연령이 50세에 도달한 자이면 성균관, 승문원, 또는 교서관에 배속한 후 6품으
로 승급한다. 전기(前記) 3관의 7품 이하의 관원으로서 연령이 50세에 가까운 자도 같다.
(8) 공신(功臣)의 적장자손(嫡長子孫)으로서 상호군(上護軍, 大護軍)에 있으면서 문과에 합격한 자는 그가 7
품이하의 자인경우에 6품으로 승급하고, 6품 이상의 자인 경우에는 1품계를 승급한다.
(8) 등과(登科) 전에 이미 사과(司果)의 체아록(遞兒祿-사과는 오위(五衛)의 관직으로 본시 관직만 있고 소
임직무(所任職務)가 없는 관원임, 그러한 관직에 임명된 자는 6개월간 녹봉을 받은 후 교대하게 되는
데, 그 녹봉을 체아록이라 함)을 받은 자는 6품으로 승급한다.
(9) 문과에 합격한지 10년이 경과한 자는 연품(筵稟-왕에게 대면하여 아뢰는 것)하여 6품으로 승급한다.
'■ 보학 > 조선文科登科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는 '개천에서 용나는' 역동적인 시대" (0) | 2013.10.16 |
---|---|
조선시대 지역별 문과 합격자수 (0) | 2012.12.11 |
생원 진사시 장원이 문과에도 장원한 인물 (0) | 2011.06.09 |
조선시대 문과에 2번 장원한 인물은? (0) | 2011.06.09 |
조선시대 최고령 과거 합격자[丁洵敎] (0) | 201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