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고려와조선관직

청백리(淸白吏)

야촌(1) 2015. 8. 5. 10:30

 청백리(淸白吏)

 

선정
시기
성명 생몰연대 본관 출신 최고관직 시호
태조 길재(吉再) 1353-1419 해평 문과 봉상박사 충절(忠節)
서견(徐甄) ? 이천 문과 장령(고려)  
세종 김장(金廧) ? 광산 문과 장령  
중종 이언적(李彦廸) 1491-1553 여주 문과 좌찬성 문원(文元)
정연(鄭淵) ? 광주 문과 태안군수  
선조 성영(成泳) 1547-1623 창녕 문과 이조판서 양혜(襄惠)
김행(金行) 1532-1588 강릉 문과 광주목사  
인조 신경진(辛慶晉) 1554-1619 영월 문과 예조참판  
김신국(金藎國) 1572-1657 청풍 문과 영중추부사  
숙종 강유후(姜裕後) 1606-1666 진주 문과 황해도관찰사  
이제(李濟) 1654-1714 전주 음직→문과 대사간  
경종 유상운(柳尙運) 1636-1707 문화 문과 영의정 충간(忠簡)
송정규(宋廷奎) 1656-1710 여산 문과 강원관찰사  
강석범(姜錫範) ? 진주 음직 도정  
이명준(李明浚) 1658-1715 한산 문과 동래부사  
김두남(金斗南) 1657-1715 안동 문과 안주목사  
이하원(李夏源) 1664-1747 광주 음직→문과 숭록대부  
영조 최유현(崔有賢) ? 삭녕 ? 세마  
정조 이겸진(李謙鎭) 1715-? 덕수 문과 대사간  
이의필(李義弼) 1738-1808 전주 문과 광주유수  
이단석(李端錫) 1625-1688 전주 음직→문과 형조참판 충민(忠愍)
순조 남이형(南履炯) 1780-1854 의령 음직 강화유수  
한익상(韓益相) 1767-1846 청주 문과 병조참판  
서기순(徐箕淳) 1791-1854 대구 음직⇀문과 판의금부사 청문(淸文)
심의신(沈宜臣) 1791-? 청송 음직⇀문과 경기관찰사
 

 

한편 정약용의『목민심서』제2권을 보면 “조선시대에 청백리로 뽑힌자는 겨우 110명인데  태조  이후로 45명, 중종  이후로 37명, 인조 이후로 28명이며 경종 이후로는 이렇게 뽑는 것조차 끊어졌다.” 고 개탄하고 있다. (명단은 없다).

 

그러나 중종, 명종, 선조대의 청백리, 염근리 선정은 확실한 자료가 있으며 인조, 숙종, 영조대의 청백리, 염근리 자료도 명확한데 정약용이 주장하는 숫자보다 많은 것을 보면 정약용의 『목민심서』도 정확한 것은 아니다.  

 

또 『순조실록』5년(1805)12월24일 기록에 “숙종20년(1694) 이후 청백리 녹선이 없었습니다.” 라고 하는 것을 보면 더 헷갈리는데 이 기록도『정조실록』을 보면 영조대의 청백리로 선정한 내용이 있으므로 <순조실록>도 정확한 것은 아니다.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를 보면 위 자료와 맞는 경우도 있지만 확인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  <숙종실록>에는 청백리로 선정된 명단이 나와 있으나『영조실록』에는 논의하는 과정만 있고 『정조실록』에는 추천된 사람들의 명단은 있으나 그 중 선정된 사람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위 자료를 분석해 보면

 

위 4가지 자료를 정리해보면 총 221명이 청백리로 선정된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들을 왕대별로 보면 태조대 5명, 태종대 7명, 세종대 16명, 세조대 9명, 성종대 16명, 중종대 37명, 명종대 48명, 선조대 27명, 인조대 12명, 숙종대 22명, 경종대 6명, 영조대 10명, 정조대 2명, 순조대 4명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청백리를 많이 선정한 왕 시절에만 유독 청백리가 많았던 것도 아니고 청백리를 선정하지 않은 왕 때에는 청백리가 없었다고 보아도 안된다.

 

221명을 성씨별, 본관별로 보면 아래와 같으며 한 가문에서 5명 이상을 배출한 가문은 13가문으로 그 중 전주이씨가 가장 많은 8명을 배출했고 6명을 배출한 가문은 진주 강씨, 광산 김씨, 연안 이씨, 한산 이씨, 파평 윤씨, 양천 허씨, 남양 홍씨 등 7가문이며 5명을 배출한 가문은 안동 김씨, 창녕 성씨, 진주 유씨, 광주이씨, 전의 이씨 등 5가문이다. 좀 더 자세하게 표로 만들어 보면 아래와 같다.

 

성씨별 인원(명) 본관별
221  
강(姜) 7 진주6, 금천1
경(慶) 1 청주
곽(郭) 1 현풍
구(具) 2 능성2
권(權) 1 안동
기(奇) 1 행주
길(吉) 1 해평
김(金) 28 광산6, 안동5, 경주3, 연안3, 선산2, 강릉2, 상주1, 고령1, 청풍1,
강진1, 풍산1, 안주1, 불명1
남(南) 1 의령
노(盧) 2
풍천2

 

출신별로 보면 문과 과거시험에 급제하고 관리가 된 사람은 152명으로 제일 많고 음직으로 관리가 된 뒤 문과 과시험에 급제한 사람은 14명이며 유일이나 천거로 관리가 된 뒤에 문과 시험에 급제한 사람은 3명이다.  

 

무과시험 급제자는 14명이고 음직으로 관리가 된 사람은 8명, 학행(學行)이나 유일(遺逸), 천거로 관리가 된 사람도 5명, 효행으로 관리가 된 사람은 4명, 공신은 2명이고 절의(節義)나 녹사 등으로 관리가 된 사람이 4명이다.

 

그 외에 관리가 된 경로를 알 수 없는 사람은 15명인데 이들도 상당수가 문과나 무과를 통해 관리가 된 사람들이라고 생각된다. 시호는 총103명이 받았는데 이를 시호별로 보면 문간(文簡)이 8명으로 제일 많으며 충정(忠貞)이 6명, 문충(文忠)이 5명 등 대개 문(文)이나 충(忠)을 넣은 시호를 받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부자(父子)또는 형제 들이 같이 청백리가 되는 등 친척 간에 청백리가 된 경우도 많다.

 

구분 사례건수 명단
할아버지,  아버지, 아들 7 안성-안팽명, 유헌-유훈, 이기설-이후정, 이지직-이준경,
정척-정성근-정매신, 최만리-최여림, 허종-허욱
부자(父子) 5 강유후-강석범, 송흠-송익경, 유구-유겸, 윤지인-윤용,
이제신-이명준
형제 7 김흔-김전, 유구-유염, 윤부-윤현, 임호신-임보신, 정갑손-정창손, 조언수-조사수, 허종-허침
기타 4
민여임-이상진, 김양진-이준경, 조경-이후정, 서견-이지

 

위 4가지 책자에는 없지만 <조선왕조실록>이나 문집에 청백리라고 하는 분들도 있다. 즉  <중종실록. 8년(1513)11월19일 기록을 보면 “청백리 부산포첨사 박유인(朴有仁)의 아들을 서용하라”는 지시가 있고 이틀 뒤의 기록에는 “청백리 여윤철(呂允哲)의 아들을 서용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내용이 있으며  <인조실록. 21년(1643)4월13일 기록을 보면 “선왕조(선조)청백리 홍성민, 박순은 시호를 청하지 말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 <영조실록> 7년(1731)1월17일 기록을 보면 “부호군 이의만(李宜晩)이 염백(廉白)에 뽑혀 규정을 건너 승진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호피(虎皮)를 하사했다.”는 내용이 있고  <승정원일기>  영조19년10월1일을 보면 “이최원이 과거에 합격하였는데 청백리 이의만의 아들” 이라는 내용이 있다.

 

그런가 하면 『순흥지』를 보면 어류성을 청백리인 감사 윤지완(尹趾完)이 살펴보았다고 되어있고 『경재집』을 보면 하연(河演)이 세조9년(1463)에 청백리에 녹선 되었다는 내용이 있다. 이렇게 보면 4가지 자료상 청백리라고 기재되어 있는 사람 외에 일반적으로 청백리라고 부르던 사람들도 많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오늘날 시점에서 청백리는 어떻게 이해하여야 하나

 

그런데  청백리로 선발된  사람 외에도 청렴하게 살다 간 사람도 많았고  청백리로 선발된 사람 중에도 부정을 저지른 사람이 있었다. 청백리에 선발된 어느 정승은 비가 새는 집에 살았다고 하는데 좀 이해하기 어렵다. 선조시대 임진왜란으로 피란살이를 하던 오희문이 쓴 <쇄미록>을 보면 그  전쟁 중에도 종들을  여러명 데리고  다녔는데 조선시대에  정승이나 판서  정도의 벼슬을 하는 사람이면  밥하는 사람, 빨래하는 사람, 가마 메고  다니는 사람 등 하인이  적어도 10명 정도는 넘는 수준 이었을것이다.

 

청백리의 대표적인 사례인 황희 정승도 집안에 데리고 있던 노비가 30명 정도였고 외거노비가 70명 정도였다고 하니 이것이 보편적인 생활수준이었을 것으로 생각이 든다. 

 

정승이 두어칸 정도의 집에 살았다면 그 집 노비는 어디서 잤을까? 또 당시는 거의 첩을 데리고 살았으므로 그 첩들은 어디서 살며 아들이 결혼하여도 대개 부모집에 같이 살았는데 결혼한 자식들은 어디서 살았을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또 관리가 먹을 것이 없어 굶을 지경이라면 그 집 노비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주인은 굶거나 말거나 노비들은 잘 먹고 지냈을까? 먹을 것이 얼마 없었다고 하는 분들도 많은데 이런 분들은 다음 녹봉을 받을 때까지 굶었을까? 아니면 꾸어다 먹었을까? 아니면 친척 등 누가 가져다 준 것을 먹었을까? 

 

인조 때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정충신의 일화를 보면, 경상도병사(兵使:종2품) 시절 양식이 없다고 아들이 와서 얘기하니 “나보고 어쩌란 말이냐” 하며 역정을 냈다는데 좀 과장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당시는 고관을 지내려면 사간원이나 사헌부 등에서 시비를 잘걸므로 품행을 단정히 하여야 고위직을 유지하기가 수월하였다.즉 당시의 관리사이에서 관행적으로 주고 받는 범위를 벗으난 물품 수수 등은 탄핵의 대상이 되었다.

 

부정에 연루되었다는 소문이 있으면 젊은 관리들이 관직의 고하를 막론하고 계속 공격을 하므로 자연히 몸조심을 하였다고 보인다. 많은 자료를 보면 대체로 임진왜란  전까지는 녹봉관리들에게 나누어준 토지[科田]에서 나오는 수확으로 그런대로 품위유지가 가능하였으므로 그다지 심한 부정은 없었다고 생각이 된다.당시는 최고의 상납이 노비를 바치는 것이었으나 당시 노비 한명은 소 한두마리 정도의 가격에 지나지 않았다.

 

선조초에 사헌부 헌납 등을 지낸 유희춘의 <미암일기>를 보며 각처에서 보내 온 물품을 전부 기록하였는데 내용을 보면 쌀2말, 깨 3되, 간장1되, 꿩1마리, 먹3개 등 값비싼 물건이 아니며 당시는 이런 정도는 뇌물로 생각을 하지 않았는지 이 사람도 청렴한 편이라고 하였고 황희도 노비를 받은 것이 문제가 되었지만 대표적인 청백리로 꼽히고 있다.

 

그러다가 임진왜란을 거친 후에는 완전히 달라져서 녹봉으로는 살 수가 없고 관리들에게 준 토지도 환수되었으므로 먹고 사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또 양반으로서의 체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출해야 될 경비도 만만치 않았다.

 

후대로 내려올수록 부정이 횡행하게 되었는데, 선조 말기부터 대동법을 실시하면서 상공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였고 숙종 때 쯤에는 전국에 걸쳐 대동법이 시행되어 큰 부자가 생겼고 이들은 더 많은 자본으로 더 큰 이득을 챙겼는데 아무래도 관리들과 통하는 것이 있어야 여러 가지로 편리하기 때문에 부정이 확대되었다.  

 

또 이때는 화폐도 유통되기 시작하였으므로 뇌물 주기도 편리하였고 어음도 유통이 된 시기이므로 뇌물주고 받기가 쉬워졌다. 또 지위가 높은 관리들은 자기의 심복을 혜민서 등 요직에 배치해 주고 그들이 가져다주는 것을 받아먹고 문제가 생기면 뒤를 봐주는 행태가 계속되었다.

 

한편으로는 관리들의 매관 매직이 성행되었으므로 관리가 된사람은 더좋은자리로 가려고 하던가 그자리라도 유지하려면 아는 사람을 통해 청탁을 하여야 하니 돈이 필요하였다.

 

이래서 부정은 돌고 돈 것이다.  어떤 분은 청백리로 선정된 분들 중에도 부정을 저지른 사람이 많다고 폄하하기도 하는데 우리가 문헌에서 보는 것처럼은 아니지만 당시의 상황을 현 시점에서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여러 가지로 생각해 보면 당시의 풍조는 정약용이 주장하는 소위 <오늘의 염리(廉吏)>에 해당하지 않을 까 생각이 되고 당시 관리들의 행태에서 상대적으로 청렴한 사람을 청백리로 선정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즉 필자가 생각하는 당시의 청백리 기준은 부정을 할 수 있는 자리에 있으면서도 부정을 저지르지 않고 일부러 재산을 늘리려고 애 쓰지 않고 녹봉외에 당시의 관습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정도에서 남이 주는 것은 받거나 아니면 글을 가르치는 등 소위 부업을 하여 생계를 유지한 사람이 아니었나 싶다.  

[출처] 청백리란?|작성자 2008j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