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조선 譯科登科錄

역과(譯科)의 시험상세(試驗詳細)

야촌(1) 2013. 12. 27. 23:47

역과(譯科)의 시험상세(試驗詳細)

주) 역과(譯科)의 시험항목은 3개이다. 강서(講書), 사자(寫字), 역어(譯語).

 

구분 액수(額數) - 선발 인원 수 강서(講書)
  분수(分數)가 같으면 문과는 성균관에 거관(居館)한 일수(日數) 많은 자를 취(取)하고, 다른 과(科)에서는 출임(出任) 일수가 많은 자를 취(取)한다. 통(通)이면, 2분(二分), 략(略)이면 1분(一分), 조(粗)면 반분(半分)을 준다. [사자(寫字)와 역어(譯語)도 같다.]
구두(句讀)와 훈역(訓譯)이 모두 차오(差誤)가 없고, 강론(講論)이 비록 통(通)은 못되나 1장(一章)의 대의(大意)를 잃지 않은 자를 조(粗)라하고, 구두(句讀)와 훈역(訓譯)이 모두 분명하고 대의(大意)에도 통효(通曉)하고 있으나 융관(融貫)에 이르지 못한 자를 략(略)이라하고, 구두(句讀)와 훈역(訓譯)에 모두 정숙(精熟)하고 글의 지취(旨趣)에 융관(融貫)하고, 변설(辨說)함에 의문(疑問)이 없는 자를 통(通)이라고 한다.
무릇 강(講)에는 조(粗) 이상을 취하고,강첨(講籤)은 통(通), 략(略), 조(粗) 중 어느 것이나 많은 것을 좇고, 상등(相等)할 때에는 하등(下等)의 것을 좇는다.
 역과초시
(初科初試
한학(漢學)
① 23명, 몽학(蒙學)
② 왜학(倭學)
③ 여진학(女眞學)
④ 각 4명을 선발(選拔)한다.
사역원(司譯院)에서 녹명(錄名) 시취(試取)한다
한학(漢學)의 향시(鄕試)는 황해도에서 7명, 평안도에서 15명을 선발(選拔)한다.
관찰사(觀察使)가 차사원(差使員)을 정하여 녹명(錄名)하고 시취(試取)한다.
한학(漢學)의 사서(四書)「임문(臨文)으로 한다.」



노걸대(老乞大)
⑤,박통사(朴通事)
⑥,직해소학(直解小學)
⑦[배강(背講)]을 강(講)한다.
 역과복시
(譯科
試)
한학(漢學) 13명. 몽학(蒙學). 왜학(倭學). 여진학(女眞學) 각 2명을 선발(選拔)한다.
예조(禮曹)가 사역원(司譯院) 제조(提調)와 함께 녹명(錄名)하고 시취(試取)한다.
초시(初試)와 같다.


5경(五經), 소미통감(少微通鑑) ⓒ,송원절요(宋元節要)를 강(講)하기를 원하는 자에게는 허락하고 임문(臨文)으로 한다.
구분 사자(寫字) 역어(譯語)
 역과초시
(譯科初試
몽학(蒙學)은 왕가한(王可汗), 수성사감(守成事鑑), 어사잠(御史箴), 고난가둔(高難加屯), 황도대훈(皇都大訓), 노걸대(老乞大)

⑤, 공부자(孔夫子), 첩월진(帖月眞), 토고안(吐
     高安), 백안파두(伯顔波豆), 대루
원기(待漏院
     記),정관정요(貞觀政要),
속인실(速人實), 장
     기(章記), 하적후라
(何赤厚羅), 거리라(巨里
     羅)로 한다.


왜학(倭學)은 이로파(伊路波)
⑤, 동자교(童子敎)
⑧, 소식(消息), 서격(書格), 노걸대(老乞大)
⑨, 잡어(雜語), 본초(本草)
⑩, 의논(議論), 통신(通信), 구양물어(鳩養
     語), 정훈왕래(庭訓往來)

⑪,응수기(應水記), 잡필(雜筆), 부토(富土)로 한
    다. 여진학(女眞學)은 천자(千字),
천병서(天兵
    書), 소아론(小兒論)

⑫,삼세아(三歲兒), 자시위(自侍衛), 팔세아(八
    歲兒)

⑬, 거화(去化)⑭, 칠세아(七歲兒), 구난(仇難),
     12제국(十二諸國), 귀추(貴愁),


오자(吳子)⑮, 손자(孫子)
ⓐ, 태공(太公)
ⓑ, 상서(尙書)로 한다.
한학(漢學), 몽학(蒙學), 왜학(倭學), 여진학(女眞學) 모두 경국대전(經國大典)을 번역(飜譯)한다.  임문(臨文)으로 한다.
 역과복시
(譯科覆試
역과초시(譯科初試)와 같다. 역과초시(譯科初試)와 같다.

출전>경국대전(經國大典) 권3(卷之三) : 예전(禮典) - 제과(諸科)

 

 

[각주]

① 한학(漢學) : 한어(漢語)학. 즉 중국어

② 몽학(蒙學) : 몽고어

③ 왜학(倭學) : 일본어

④ 여진학(女眞學) : 만주어

⑤ 노걸대(老乞大) : 세종(世宗)의 명으로 편찬된 중국어와 몽고어 학습 서적.

    영조(英祖) 때에 역관 변헌 등이 재편찬을 했다.

⑥ 박통사(朴通事) : 어학서(語學書)의 일종. 성종(成宗), 숙종(肅宗) 때에 수정 편찬되었다.

⑦ 직해소학(直解小學) : 중국어로 직접 해석한 소학. 중국어 교습서이다.

⑧ 이로파(伊路波) : 조선시대에 발간한 초보 일본어 교습서

⑨ 동자교(童子敎) : 일본 중(僧) 안연(安然)이 저작한 일본어 교습서

⑩ 본초(本草) : 송(宋)의 당신휘(唐愼徽)가 저작한 “經史證類大全本草”의 약칭.

⑪ 정훈왕래(庭訓往來) : 일본 중(僧) 현혜(玄惠)이 저작한 일본어 서적.

    서한문(書翰文)의 예문(例文)을 모아 놓은책.

⑫ 소아론(小兒論) : 저자불명의 여진어 서적. 정종(正宗) 때에 김진하(金振夏)가 편찬하여 간행되었다.

⑬ 팔세아(八歲兒) : 저자불명의 여진어 서적. 정종(正宗) 때에 김진하(金振夏)가 교정하여 간행되었다.

⑭ 거화(去化) : 다른 이름으로는 ‘巨化’라고도 한다.

⑮ 오자(吳子) : 주(周)나라의 오기(吳起)가 편찬한 병서(兵書)

ⓐ 손자(孫子) : 주(周)나라의 손무(孫武)가 편찬한 병서(兵書)

ⓑ 태공(太公) : 주(周)나라의 여상(呂尙)이 편찬한 병서(兵書)

ⓒ 소미통감(少微通鑑) : 남송(南宋)의 강지(江贄-호가 소미이다)가 지은 역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