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청명 | 해 설 |
ㄱ | |
가각고(架閣庫) | 궁중의 도서ㆍ전적(典籍)을 밭아보던 관청. |
가옥(假獄) | 고려 광종 때 전옥서 이외에 임시로 설치한 옥. |
감문위(監門衛) | 고려 6위의 하나로 궁성(宮城) 안팎의 모든 문을 경비하는 임무를 맡음. |
결혼도감(結婚圖鑑) | 원나라에서 요구하는 여자들을 선발코자 설치한 관청. |
경력사(經歷司) |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안에 둔 관청으로 6방(六房)을 통할함. |
경사교수도감(經史敎授都鑑) | 7품 이하의 벼슬아치에게 경사를 가르치던 관청. |
경시서(京市署) | 개경(開京)의 시전(市廛)을 관장하던 관청. |
고공사(考功司) | 관리의 공과(功過)를 심사ㆍ판정하던 관청. |
공부(工部) |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6부(六部)중 하나로 공업과 농업을 맡아 관장하는 기관이며, 지금의 통상산업부ㆍ농림부. |
공조서(供造署) | 궁중의 장식(裝飾) 기구(器具)를 맡아 보던 관청. |
광군사(光軍司) | 광군(光軍)을 통할하던 관청. |
관습도감(慣習都鑑) | 음악을 맡아 보던 관청으로 아악(雅樂)ㆍ향악의 모든 악기ㆍ악곡ㆍ악보를 정리하는 일 |
광흥창(廣興倉) | 관리들의 봉급을 관리하던 관청. |
교방(敎坊) | 고려 초부터 있는 여악(女樂)을 맡아본 관청. |
교정도감(敎定都監) | 최충헌이 세운 관청으로 비위(非違)의 규찰, 인사행정, 세정(稅政)을 맡아봄 |
국자감(國子監) | 국립대학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며 지금의 서울대학교와 같다. |
군기감(軍器監). 군기시(軍器寺) | 모든 군사에 필요한 병기를 제조하고 무기를 조달하던 관청. |
군자시(軍資寺) | 군수품을 저장하던 관청. |
군후소(軍候所) | 고려 말 병학(兵學)을 담당한 관청. |
궁궐도감(宮闕都監) | 궁궐의 건립이나 중수(重修) 등의 일을 맡아본 관청. |
금살도감(禁殺都監) | 우(牛)ㆍ마(馬)의 도살을 금하던 관청. |
급전도감(給田都監) | 전시과(田柴科)의 시행과 동시에 전지 분급을 맡아보던 관청. |
ㄴ | |
내부시(內部寺) | 재화(財貨)의 보관을 맡아보던 관청. |
내승(內乘) | 고려 말 궁중(宮中)의 승여(乘輿)를 맡아보던 관청. |
내원서(內園署) | 모든 원원(園苑)을 맡아보던 관청. |
ㄷ | |
대묘서(大廟署) | 제사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의 하나. |
대부시(貸付寺) | 어의(御衣)의 원료인 여러 가지 면직물을 저장하고 이를 조달하던 관청. |
도교서(都校署) | 세공(細工)을 맡아 보던 관청. |
도염서(都染署) | 염색의 일을 맡아 보던 관청. |
도호부(都護府) | 염색의 일을 맡아보는 관청. |
동문원(同文院) | 학문과 문서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
동서재장(東西材場) | 목재의 보관 및 조달을 맡아보던 관청. |
ㅁ | |
문한서(文翰署) | 왕의 명령을 글로 기초하던 관청. |
밀직사(密直司) | 왕의 명령을 출납(전달)하고, 궁중의 숙위(宿衛 : 궁중의 지키고 왕을 호위함)ㆍ 군사기밀을 담당하는 관청. |
관청명 | 해설 |
ㅂ | |
병부(兵部) |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6부(六部)중 하나로, 국방문제와 육ㆍ해군을 감독하고 무관(武官)의 인사(人事) 등을 맡아 관장하는 지금의 국방부와 같은 관청. |
보문각(寶文閣) | 경연(經筵)과 장서(藏書) 등을 관리하면서 왕을 모시고 경서를 강론하던 관청으로 뒤에 경연청(經筵廳)으로 고침. |
봉의서(奉醫署) | 왕실에서 사용하는 약을 조제하는 일을 맡던 관청. |
비서성(秘書省) | 왕의 측근에서 축문(祝文)과 경적(經籍)을 다루고, 임금의 명령을 행하는 기관인데 지금의 대통령 비서실과 같은 관청. |
빙고(氷庫) | 궁중에 쓰일 얼음을 보관하던 창고를 관리하는 관청. |
ㅅ | |
사농시(司農寺) | 제사에 사용되는 곡식과 적전(籍田)애 관한 일을 맡아 보던 관청. |
사복시(司僕寺) | 궁중의 가마와 마필(馬匹)ㆍ목장(牧場) 등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1308년 태복시(太僕寺)를 사복시로 바꾸었다. |
사선서(司膳署) | 임금의 식사를 맡아보던 관청. |
사설서(司設署) | 의식(儀式) 등에 소용되는 여러 가지 설비를 맡아보던 관청. |
사수시(司水寺) | 병선(兵船)과 수병(水兵)을 맡아보던 관청. |
사역원(司譯院) | 외국어의 번역과 통역을 맡아보던 관청. |
사의서(司儀署) | 의례의 진행 절목(節目)을 맡아보는 관청. |
사재시(司宰寺) | 어산물의 조달과 하천의 교통을 맡아보던 관청. |
사평순위부(司平巡衛府) | 포도(捕盜)와 금란(禁亂)을 맡아보던 관청. |
사헌부(司憲府) | 정사를 논하고 백관을 감찰하며 기강과 풍속을 발로 잡고 억울한 일을 살피는 관청. |
삼사(三司) | 국가의 전곡(錢穀 : 화폐와 곡식)ㆍ출납(出納)과 회계(會計)를 맡아보던 기관. |
상서도관(尙書都官) | 노비의 부적(簿籍) 및 소송을 맡았던 관청. |
상서성(尙書省) | 행정기관의 최고 기관으로 6부(六部)를 감독하고 모든 관리들을 통솔하는 관청. |
서운관(書雲觀) | 천문(天文)ㆍ역수(曆數)ㆍ측후(測候)ㆍ각루(刻漏)의 일을 맡아보던 관청. |
서적점(書籍店) | 주자(鑄字)와 서적 인쇄를 맡아보던 관청. |
선관서(膳官署) | 제사와 연회에 쓰는 음식을 맡아보던 관청. |
성균관(成均館) | 고려 말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유생들에게 교육을 시키고 이들에게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 |
소부감(小府監) | 나라의 모든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를 관리하는 관청으로 소부시(小府寺) 라고도 함. |
수복청(守僕廳) | 묘(廟)ㆍ능(陵)ㆍ서원(書院) 등의 제사를 맡아보던 관청. |
순군(巡軍) | 국내 치안을 담당한 경찰의 직분을 맡았으며 지금의 경찰청과 같다. |
숭문관(崇文館) | 문신(文臣) 중에서 학문이 뛰어난 자를 뽑아 학사(學士)로 임명하여 임금의 측근에서 모시도록 마련한 관청. |
승지방(承旨房) | 왕명을 출납을 맡아보던 관청. |
ㅇ | |
어사대(御史臺) | 왕의 잘못을 간(諫)하고 백관의 과오와 비행을 규탄하는 기관. |
연경궁제거사(延慶宮提擧司) | 궁궐안에서 전명(傳命) 및 잡역(雜役)을 맡아 보던 관청. |
예문관(藝文館) | 임금의 칙령(勅令 : 명령)과 교명(敎命)을 기록하는 왕명을 받들어 글을 짓고 문학을 관장하는 관청. |
예부(禮部) |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6부(六部) 중 하나로 외교관계와 백성의 교육ㆍ풍교(風敎) 등을 관장하는데 지금의 교육부ㆍ외교부와 같은 관청. |
예빈시(禮賓寺) | 나라의 손님을 접대하고 연회를 베풀며 종실(宗室) 및 재상을 접대하는 관청. |
위위시(衛尉寺) | 의장(儀仗)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융기도감(戎器都監) | 군기(軍器) 만드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
관청명 | 해설 |
응방(鷹坊) | 매의 사육과 사냥을 맡아보던 관청. |
응양군(鷹揚軍) | 2군(二軍)의 하나. |
이군육위(二軍六衛) | 중앙군(中央軍)의 조직으로 이군(二軍)은 응양군(鷹揚軍), 용호군(龍虎軍), 육위(六衛)는 좌우위(左右衛)ㆍ감문위(監門衛)를 말함. |
이부(吏部) |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6부(六部) 중 하나로, 관리의 인사관계와 지방의 관청을 감독하는데, 지금의 내무부와 총무처와 같은 관청. |
인물추고도감(人物推考都監) | 노비(奴婢)의 방량(放良)ㆍ면천(免賤)ㆍ쟁소(爭訴) 등을 맡아보던 관청. |
인신사(印信司) | 왕명(王命)의 출납(出納)을 맡아보던 관청. |
ㅈ | |
잡직서(雜織署) | 직조(織造)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장생서(掌牲署) | 제사에 사용되는 짐승을 맡아보던 관청. |
장야서(掌冶署) | 철공(鐵工)과 야금(冶金)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관청. |
전객시(典客寺) | 빈객(賓客)ㆍ연향(宴享)을 맡아보던 관청. |
전교시(典校寺) | 경적(經籍)과 축소를 관장하던 관청. |
전구서(典廐署) | 가축의 사육을 맡아보던 관청. 조선 초에 목축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전농서(典農署) | 궁중의 대제(大祭)에 쓸 곡식을 맡아보던 관청. |
전악서(典樂署) | 성률(聲律)의 교열(校閱)을 맡아보던 관청. |
전옥서(典獄暑) | 죄수를 가두는 곳으로 지금의 교도소와 같다. |
전의시(典儀寺) | 제사(祭祀)와 증시(贈諡)를 맡아보던 관청. |
전의시(典醫寺) | 의약과 치료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
전중성(殿中省) | 대궐 안의 모든 사무를 맡은 기관. |
전함병량도감(戰艦兵糧都監) | 전함의 군량미를 보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 |
정포도감(征袍都監) | 군복(軍服)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제기도감(祭器都監) | 제사에 사용되는 기구에 관한 시을 맡아보던 관청. |
제릉서(諸陵署) | 산릉(山陵)의 수호(守護)를 목적으로 설치한 관청. |
제왕자부(諸王資府) | 왕자(王子)의 일을 맡아보던 관청. |
제용고(濟用庫) | 각지에서 진헌(進獻)해온 저마포(苧麻布)ㆍ피물(皮物)ㆍ인삼(人蔘)ㆍ 사여(賜與)하는 의복 등을 맡아보던 관청. |
제용사(濟用司) | 저화(楮貨)에 관한 일을 맡아보건 관청. |
제위보(濟危寶) | 빈민(貧民)ㆍ행려(行旅)의 특산물을 취급하던 관청. |
제폐사목소(除弊事目所) | 나라 안의 큰 폐단을 바로 잡는 일을 맡아보던 임시 관청. |
주전도감(鑄錢都監) | 조전을 맡아보던 관청. |
중방(重房) | 이군(二軍)ㆍ육위(六衛)와 상장군(上將軍)ㆍ대장군(大將軍) 등이 모여 군사(軍事)를 의논 하던 곳. |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 국가의 행정을 총괄하는 관청으로, 왕의 조서(詔書)를 만들어 심사(審査)하고 시행하는 기관. |
중추원(中樞院) | 기관으로 왕의 자문(諮問)에 응하고 왕명의 출납 및 궁중의 모든 업무를 맡아보던 관청. |
집현전(集賢殿) | 왕실 연구기관의 하나로 경적(經籍)의 간행과 서적의 수집 등을 맡아보던 관청. |
ㅊ | |
첨의부(僉議府) |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과 상서성(尙書省)을 어울러 설치한 관청. |
침원서(寢園署) | 종묘(宗廟)의 수위(守衛)를 담당하던 관청. |
ㅌ | |
태복시(太僕寺) | 나라에서 사용하는 수레와 말을 관리하는 관청. |
태사국(太史局) | 나라에서 사용하는 수레와 말을 관리하는 관청. |
태상부(太常府) | 제사와 증시(贈諡)를 맡아보던 관청. |
통례문(通禮門) | 조회의 의례를 맡아보던 관청. |
관청명 | 해설 |
ㅍ | |
팔관보(八關寶) | 팔관희의 의식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 |
ㅎ | |
학사원(學士院) | 사명(寺名)의 제찬(制撰)을 맡아보던 관청. |
한림원(翰林院) | 임금의 명령을 받아서 문서를 꾸미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
합문(閤門) | 국가의 의식(儀式)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조선 때에 통례원(通禮院)으로 고침. |
해전고(海典庫) | 직물(織物)ㆍ피혁(皮革)을 맡아보던 관청 |
행랑도감(行廊都監) | 시가(市街)의 행랑을 관리하던 관청. |
형부(刑部) | 상서성의 6부(六部) 중 하나로 사법(司法)을 담당하였으며 지금의 법무부와 같은 관청. |
형조도관(刑曹都官) | 노비의 부적(簿籍)과 소송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혜민국(惠民局) | 백성의 질병을 고쳐주기 위하여 설치한 의료 기관. |
혜제고(惠濟庫) | 빈민 구호기관. |
호부(戶部) |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6부(六部) 중 하나로, 국가의 재정과 호구(戶口)를 맡아 관장하였으며, 지금의 재정경제부. |
홍문관(弘文館) | 경적(經籍)과 문서(文書)를 다루고 왕의 고문에 응하는 관청. |
화통도감(火桶都監) | 화약ㆍ화기의 제조를 맡아보던 관청. |